완주군 민관 연계 복지행정 성과
완주군이 복지사각지대를 발굴하고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실행하면서 민간 기관·단체와 연계하는 거버넌스를 형성, 큰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지역주민들의 복지 현장을 챙기는데 소수의 행정인력만으로는 역부족인 상황. 완주군은 이에 따라 복지 관련 기관·단체들과 손잡고 현장을 중심으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한편 이를 통해 교차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다.완주군이 지난달 구성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단’(단장 이근형 주민생활지원과장)에 참여한 민간 부문은 각 읍·면 이장과 부녀회장, 자원연대, 복지위원,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위원, 노인 돌보미, 자원봉사센터, 대한적십자사 봉사회, 각종 복지시설 등이다. 이들 발굴단원들은 복지업무 담당 공무원과 읍·면 마을담당 공무원들과 협력, 현장 중심으로 복지사각지대를 찾아내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발굴단이 이같은 연계망을 통해 지난 한달동안 발굴하고 신고를 받은 실적은 183가구. 이들 가구 가운데 기초적인 조사과정을 거쳐 19 가구가 공적지원을 받고 있고, 32가구는 민관연계 지원 혜택에 포함되었다. 발굴단은 “지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금융조사 등에 한달 가까운 시일이 소요되어, 125 가구는 현재 사실 여부 등을 파악중”이라며 “조만간 복지 지원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현장 확인에 도움을 주는 단체는 완주군 전역을 아우르는 완주군자원봉사센터(센터장 임규탁)와 대한적십자사 봉사회 완주지구협의회(회장 이선재). 이들 단체는 업무 협약 등을 통해 현장을 구석구석 방문,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특히 완주군이 특수시책사업으로 구성한 복지조직인 ‘자원연대’와‘희망지기’도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조례에 따라 구성된 자원연대는 읍면별로 20명 이상씩 모두 278명이 참여, 지역내 인적·물적 자원을 관리하면서 복지 수요를 찾아내고 있다.또 ‘복지 이장’으로 불리는 희망지기 105명은 매일 3가구씩 방문, 상담일지를 기록하며 현장 상황을 읍면사무소에 연계시키고 있다.송주진 완주군수 권한대행은 “행정인력으로 충당할 수 없는 현장업무를 다양한 민간단체들이 메워주고 있다”며 “이들 연계망을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해소 정책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