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 지역의 변천사 한눈에...진안역사박물관 21일 개관
진안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진안역사박물관이 오는 21일 개관을 앞두고 마무리 작업에 벅차를 가하고 있다.진안읍 단양리 813번지 북부예술관광단지내에 위치한 진안역사박물관은 45억2000만원을 들여 부지 2177평에 건평 395평,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지어졌으며 역사관, 문화관, 기획전시실 등 3개의 전시실과 영상실, 수장고, 사무실을 갖추고 있다.민속품 840점, 용담댐 수몰지 한국화 38점, 일제강점기 행정문서류 40점, 기증 고문서 250점 등 총 1184점의 유물을 확보한 역사박물관은 용담댐 수몰지에서 발굴된 766점의 매장문화재 중 약 100여 점을 국립전주박물관에서 대여, 전시할 계획이다.주요 전시내용을 보면 제1전시실(역사관)에서는 진안의 역사를 구석기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개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특히, 이들 중 정천면 진그늘유적에서 발굴된 구석기시대 유물은전라북도 내륙에서는 처음 발굴된 것이으로 구석기시대부터 진안에 인류가 거주했음을 보여주는 귀중한 유물이다. 제2전시실(문화관)은 진안의 문화를 보여주는 공간으로 인삼도구와 함께 진안 전통문화를 디오라마로 제작하여 보여주고 있다.섬진강의 발원지이자 금강의 최상류에 속하는 산간지대에서 성행했던 민물고기 잡이에 사용했던 민물어구와 전국적으로 드물게 남아 있는 돌너와집 등을 축소모형으로 전시, 학생들의 학습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이와 함께 세계적인 영산인 마이산을 매직비전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하고 용담다목적댐 건설로 인해 고향을 잃은 실향민의 애환과 그리움을 담아내는 수몰 전 지형과 마을 등을 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했다.미술관이 없는 지역의 여건을 고려, 미술관을 겸하도록 건축된 제3전시실에서는 개관기획전으로 용담 등 수몰지역을 그린 한국화와 서예 그리고 지역의 특징을 보여 줄 수 있는 고문헌이나 고문서 등을 전시할 계획이다.이에 진안역사박물관 관계자는 “박물관을 지역의 역사와 문화의 수집·정리 뿐만 아니라 지역민과 함께 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 지역의 역사와 전통문화의 구심점으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