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회의원 전북특별자치도 초석 쌓기 로드맵] ② 도합 26+5선 팀플레이 ‘전북 원탁회의’ 가시화
4·10 국회의원 총선거를 통해 당선된 22대 국회의원들의 역량을 하나로 모으기 위한 ‘전북도민 원탁회의’가 가시화할 조짐이다. 이번 총선 이후 중진급 의원들이 주축을 이루게 된 전북 정치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각계각층의 이해관계를 조정해야 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원탁회의는 전북 국회의원을 비롯해 자치단체, 교육계, 학계, 노동계, 산업계, 언론계가 한데 모여 ‘끝장 토론’을 벌이는 장으로 기획되고 있다. 참석자만 해도 100여 명 규모로 전북을 넘어 우리나라 정치사에서도 없었던 일이다. 도합 26선에 더해 호남 몫 비례대표로 당선된 5선 조배숙 당선인까지 ‘개인기보다 팀워크’가 중요해졌다는 의미다. 22일 전북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원탁회의는 전북 성공시대를 만들기 위한 초석 쌓기 작업의 뼈대를 만드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탁회의는 다음 달 20일께 열릴 예정이다. 원탁회의가 발족하는 배경은 과거 전북 정치인들의 행태에 있다. 당장 문재인 정부와 21대 국회 전반기 전북정치권의 상황은 공약 실현과 법안 통과에 최적의 인적조건을 갖추고 있었지만, 국회의원 개인의 입신양명에 그쳤다. 진안출신 정세균 국무총리와 군산출신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포진해있을 당시에도 제3금융중심지는 지정되지 못했다. 전북에 지역구를 둔 10명의 국회의원 외에도 전북이 고향이거나 연고를 둔 의원도 36명이나 됐다. 전북정치권과 전북 출신 고위공직자의 성공이 곧 '전북의 성공'을 이끌 것이란 기대가 무너진 것도 정치인의 성공과 별개로 지역은 인구·교육·일자리·경제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낙후가 가속화 했기 때문이다. 더 앞서 노무현 전 대통령 집권 초기도 전북 의원에는 5선의 김원기, 김태식 의원을 필두로 4선의 정균환, 이협 의원, 3선의 장영달 의원, 재선에 정동영 의원 등이 포진해있었다. 전국 평균 선수가 2선인데 반해 전북은 3선대를 기록했고, 원내와 당내 영향력도 전국구 급이었다. 실제로 이들 중 상당수가 최고위원, 원내총무, 사무총장을 거쳤던 중량감 있는 인사였다. 하지만 중앙정치권 갈등 과정에서 결국 이들은 사분오열됐고,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데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 스스로 ‘국회의원 드림팀’을 강조하는 22대 국회의원 당선인들의 상황은 그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 진용은 화려해졌지만, 속내를 살펴보면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손익계산은 이미 시작됐다. 전북 의원들의 대표 공약은 다른 전북 의원의 이해관계와 상충 되는 경우도 더욱 많아졌다. 전주·완주 통합과 통합새만금시, 제2혁신도시 공약 등이 대표적이다. 자연스럽게 전북 정치의 ‘자중지란’을 막을 숙의 민주주의가 절실해졌고, 이는 곧 ‘전북도민 원탁회의’ 정례화에 명분으로 작용했다. 원탁회의는 일회성 행사가 아닌 국회의원 간 ‘밤샘 워크숍’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원탁회의를 조율하고 있는 이경재 전북애향본부 사무처장은 “국회의원과 자치단체장을 넘어 경제계, 노동계, 언론계, 학계, 시민단체는 물론 일반 도민들까지 전북현안을 놓고 솔직하게 이야기를 하는 자리로 마련할 생각”이라며 “회의에서 나온 의제들은 데이터로 만들어 22대 당선인의 현안 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