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기업 경기침체 장기화 우려
최근 전북의 주력산업인 조선, 자동차의 구조조정과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계속된 내수침체 등 지역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워진 상황에서 경기 침체 장기화를 예상하는 기업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라북도상공회의소협의회가 최근 도내 제조업체 110개사를 대상으로 최근 경제 현안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 응답에 참여한 총 110개의 업체 중 69개(62.7%)가 우리나라의 최근 경제상황에 대해 중장기적 우하향세라고 평가했으며, 일시적인 경기부진이라는 응답은 24.5%, 회복세 및 전환기에 접어들었다는 응답은 12.7%의 응답률에 그치면서 우리지역 기업들은 최근 경제상황에 대해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중장기적 우하향세라고 느끼는 가장 큰 이유로는 주력산업 침체의 장기화(37.8%), 중소기업의 경쟁력 약화(32.2%), 대기업 중심의 경제 양극화(22.2%)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에 저출산 및 고령화(3.3%), 폐회적인 규제환경(2.2%), 서비스산업의 부진(2.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경영 목표 달성 가능성에 대해 우리지역 기업들은 목표치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하는 응답이 57.3%로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목표치 달성이 39.1%, 목표치 초과 달성은 3.6%로 나타났다. 경영 목표에 미달할 것이라 예상하는 이유로는 내수시장 둔화(46.0%)를 가장 많은 기업들이 꼽았으며, 고용환경 변화(21.0%), 환율변동 가능성(11.0%), 미중 통상분쟁 등 보호무역주의(4.0%), 유가상승(4.0%), 금리인상 기조(4.0%), 기업관련 정부규제(3.0%)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또한 우리지역 기업들은 남북관계 및 대북제재가 개선된다면 남북 경제협력 활동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37.3%, 참여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62.7%로 나타났으며,남북 경제협력 활동에 참여하겠다라고 응답한 이유로는 북한시장에 알맞은 품목을 생산하기 위해라는 응답이 42.6%로 가장 많았고, 인건비 절감과 낮은 언어장벽을 활용하기 위해라는 응답이 31.9%, 풍부한 자원을 활용한 개발을 위해라는 응답이 17.0%순으로 나타났다. 이선홍 전주상의 회장은 최근 내수침체의 지속과 금리인상, 미중 통상분쟁 심화, 원유가 상승 등 우리 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이 그 어느 때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경제 회복을 위해서는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와 함께 경제 심리 회복을 위한 정책적 처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