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역량, 채용 당락에 미치는 영향 50% 이상
스펙보다는 직무 중심의 채용문화가 점차 확산되면서 직무역량이 채용 시 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최근 기업 인사담당자 336명을 대상으로 채용 시 직무역량 평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무역량 평가가 당락에 미치는 영향 수준은 평균 53%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0%(23.8%), 70%(15.8%), 30%(11.3%), 80%(11%), 60%(11%) 등의 순으로 직무 능력은 대체로 당락 결정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지원자의 직무 역량 보유 여부를 판단하는 최우선 기준은 직무 관련 실무 수행 면접(27.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아르바이트, 프로젝트 수행 등 직무 관련 경험(19.6%), 직무 관련 자격증 보유(18.5%), 전공(17.6%), 인턴경험(9.2%), 인적성 검사(3%) 등의 순이었다. 위의 기준이 영향력이 큰 이유로는 경험상 실제 직무에 영향을 많이 미쳐서(63.4%,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장 객관적인 기준이라서(23.5%), 간접적으로 직무 능력을 예상할 수 있어서(21.1%), 직접 검증할 수 있어서(16.4%), 가장 쉽게 평가할 수 있어서(11%), 보편적 증빙 자료라서(6.3%) 등의 답변이 있었다. 직무 역량 평가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채용 전형은 역시 실무진 면접(67.3%)이었다. 다음으로 서류전형(9.2%), 임원면접(8.6%), 인적성검사(8.3%), 실기시험(4.5%) 순이었다. 서류상 직무평가를 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자기소개서의 경우, 가장 영향력이 큰 항목은 인턴 등 사회생활 경험(36.3%)이었다. 이어 지원동기(15.2%), 전공선택 이유와 적성(14%), 성격 장단점(10.7%) 등을 꼽았다. 대부분 작성 시 직무와 연관된 사례를 써야 하는 항목으로 인사담당자들도 이 부분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 직무평가와 인성평가 비중은 평균 52:48로 직무 적합성에 더 무게가 실렸다. 직무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전형을 만든 기업은 31.8%였다. 이들 기업이 새로 도입한 전형은 실무 관련 시험 및 실기전형(33.8%,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상황 면접, 현장실습 면접 등 이색면접 시행(26.3%), 블라인드 채용 실시(12.8%), 토론 등의 그룹 면접 방식 도입(12.8%), 온라인 인적성 검사(12%) 등의 전형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직무역량 평가에 어려움은 없었을까. 응답기업의 76.2%(복수응답)가 짧은 기간 안에 진행되는 채용 전형만으로 평가가 쉽지 않은 점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계속해서 직무 역량 평가 방법 및 기준이 모호함(21.1%), 시간 및 비용과 인력이 많이 소요(13.1%) 등이 있었다. 나열식 스펙보다 지원하고자 하는 직무의 역량 및 적합성은 향후 채용평가에 있어 더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 비해 직무 역량 평가 비중이 변화했느냐는 질문에 인사담당자의 45.8%가 직무 역량 평가 비중이 더 커졌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