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0 03:52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날씨

역대 최장 49일 장마 끝…무더위 온다

지루했던 올해 장마가 사실상 4일로 끝날 전망이다. 이후에는 무더위가 본격적으로 찾아오는 가운데 지역별로 곳곳에 소나기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이날 기상청에 따르면 서울·경기도와 강원 영서지방에 있던 장마전선이 북쪽으로 올라감에 따라 지난 6월 17일 중부지방부터 시작된 장마가 사실상 끝날 것으로 예상된다.허진호 기상청 통보관은 이날 "북태평양 고기압이 북쪽으로 확장되면서 장마전선이 다시 활성화돼 우리나라로 유입하기는 어려운 환경"이라며 "사실상 오늘(4일)로 장마가 끝났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허 통보관은 "앞으로 중부·전라남북도 지방에 10~70㎜, 경상남북도·경기 서해안·제주 남해안에 5~40㎜의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고기압 가장자리에서 대기 불안정으로 인한 비"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중부지방을 기준으로 올해 장마는 49일간 지속된 것으로 역대 '가장 긴'장마로 기록된다. 지금까지 가장 긴 장마는 지난 1974년과 1980년의 45일이었다.올해 장마는 중부지방에서 6월 17일,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같은 달 18일 시작됐다. 중부지방은 평년보다 7일, 제주도와 남부지방은 5일 일찍 시작했다.4일로 장마가 완전히 끝날 경우 중부지방은 평년(32일)보다 17일, 남부지방은 평년(32일)보다 16일 길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장마가 끝난 뒤에는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가운데 잦은 소나기가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지역 최고기온은 4일 31.3도를 기록했으며 주 후반(8일)부터 33도를 웃도는 등 폭염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 날씨
  • 연합
  • 2013.08.05 23:02

주말 전북 집중호우 침수피해 잇따라

주말 도내 곳곳에 집중 호우가 내려 침수 피해가 잇따랐다.28일 전북도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 군산 산업단지 109.5㎜, 김제진봉 107.0㎜(김제 97.0㎜), 임실 신덕 102.0㎜, 장수 92.0㎜, 완주 83.0㎜ 등의 비가 내렸다. 오전 3시40분 군산에 호우 경보가 발효된 것을 시작으로 김제를 비롯해 전주익산남원완주진안장수임실정읍까지 호우주의보가 내렸다. 군산산단에는 오전 3~4시 66.5㎜, 같은 시각 김제지역에도 60.0㎜의 비가 집중됐다. 전주지역도 오전 4~5시 42.0㎜의 비가 내린 뒤 오전 10시30분에서야 호우 특보가 모두 해제됐다.집중 호우로 농경지축사 등에서 재산 피해가 났다. 김제시 백구면 농경지 20.6㏊에서 벼가 침관수됐고, 임실군 임실읍 이도리에서도 주택 1가구가 침수돼 배수작업을 벌였다. 진안 정천면 양계장에서는 낙뢰에 따른 정전으로 닭 1만 마리가 폐사했다. 김제 지평선산단 공사 현장에서 배수로가 넘쳐 인근 한우 축사에서 42마리 가운데 3마리가 실종됐다는 신고가 들어와 나머지 소가 인근 축사로 피신했다.지리산 국립공원 탐방로는 이날 오전 5시30분부터 5시간 통제됐으며, 진안군 백운동계곡에서는 캠핑객 2명이 고립돼 구조됐다. 장수군 장수읍 금강천에서는 50대로 추정되는 신원미상 여성의 변사체가 발견돼 신원과 사고경위를 조사하고 있다.한편 이번 주 전북지역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돼 시설물 관리 및 안전사고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전주기상대에 따르면 29일 도내에 30~80㎜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며, 장마전선이 남북으로 오르내리면서 오는 8월 1일까지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기상대 관계자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8월 1일까지 비가 내리며, 곳에 따라 돌풍과 천둥, 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내리겠다"고 말했다.이세명

  • 날씨
  • 강정원
  • 2013.07.29 23:02

최악 폭염…사람도 농작물도 '헉헉'

중부지방에는 폭우가 쏟아지고, 남부지방에는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이른바 '반쪽 장마'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이달 중순 남부지방은 20년 만에 가장 더웠던 것으로 기록되는 등 이상고온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최악의 폭염과 '반쪽 장마'의 원인 등에 대해 알아봤다. △남부 20년 만에 최악의 폭염= 기상청에 따르면 올 7월 중순(11~20일) 남부지방의 평균 최고기온은 31.9℃로 집계됐다. 이는 평년기온(28.6℃)을 3.3℃ 웃도는 것으로, 1994년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이다. 평균 최고기온은 매일 최고 기온의 평균치다.기상관측 이래 7월 중순 평균 최고기온이 가장 높았던 해는 35.3℃로 '최악의 폭염'으로 기록된 1994년이다. 다음은 32.2℃를 기록한 1973년이고, 31.9℃를 기록한 올해가 뒤를 이었다. 평균기온도 27.3℃로, 1994년(29.0℃), 1973년(27.6℃)에 이어 관측 이래 3번째로 높았다. 또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1일까지 남부지방에서는 일 최고기온이 33℃를 넘는 폭염이 총 131회에 달했다. 같은 기간 중부지방은 20회에 불과했다. △'반쪽 장마'의 원인= 일반적으로 장마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에 따라 비 구름대가 북쪽으로 올라가면서 힘을 잃고 사라진다. 하지만 올해는 중부 지방에 머무는 장마전선을 북태평양 고기압이 북쪽으로 밀어 내지 못하면서 길게 이어지고 있다. 특히 중부지역에 물폭탄이 쏟아지는 이유는 장마전선이 좁게 형성된 탓이다.기상청 관계자는 "올해 장마전선은 남쪽 고기압과 북쪽 고기압 사이의 거리가 짧아(강한 기압경도) 전선이 굵고 좁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대신 남부 지방에선 불볕더위가 계속되고 있다. 남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도 변수다. 서해상에서 수증기를 많이 머금고 있는 '물폭탄'이 남서풍을 타고 한반도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폭염에 농작물 '타격'=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전북지역 농작물도 타격을 입고 있다. 워낙 덥다보니 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거나 각종 병에 걸리는 일이 많다.고추나 가지, 토마토 같은 과채류는 연일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칼슘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익기도 전에 땅으로 떨어지고 있으며, 수박의 경우 햇볕에 노출되면서 껍질이 타버린다. 또 파와 배추도 입이 시들고 성장이 더뎌지는 등 폭염의 피해는 대부분의 작물에서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땅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적당히 대주고 액상칼슘을 뿌려주는 등 관리에 신경을 써 달라"고 당부했다.△전북지역 비 소식은= 중부지방에서 남하하는 장마전선 영향으로 24일 오전에 비가 전북지역 전역으로 확대된 뒤 오후 늦게 대부분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이후 계속된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오는 26일 오전과 27일 오후에 남해안을 중심으로 비가 내리고, 28일 오후와 29일에는 장마전선이 북상하면서 또다시 전북지역에 비를 뿌릴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 날씨
  • 강정원
  • 2013.07.23 23:02

'반쪽 장마' 7월 중순 남부지방 20년 만에 최악 폭염

중부지방에는 장맛비가 쏟아지고 남부지방에는불볕더위가 이어진 '반쪽 장마'를 겪은 이달 중순 남부지방은 20년 만에 가장 더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기상청에 따르면 7월 중순(1120일) 남부지방의 평균 최고기온은 31.9도로 집계됐다. 이는 평년기온(28.6도)을 3.3도 웃돌면서 1994년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이다. 평균 최고기온은 매일 최고 기온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기상관측 이래 7월 중순 평균 최고기온이 가장 높았던 해는 35.3도로 '최악의폭염'으로 기록된 1994년이다. 다음은 32.2도를 기록한 1973년, 31.9도를 기록한 올해가 뒤를 이었다. 평균기온도 27.3도로 1994년(29.0도), 1973년(27.6도)에 이어 관측 이래 3번째로 높았다.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1일까지 남부지방에서는 일 최고기온이 33도를 넘는 폭염이 131회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중부지방은 20회에 불과해 대조를 보였다. 이 같은 불볕더위는 지난 8일 서울경기도와 강원 지방을 중심으로 장맛비가내린 가운데 남부지방에는 폭염특보가 발효된 이래 계속되고 있다. 같은 기간 남부지방 26개 지점의 평균 강수량은 15.5㎜로 평년(106.7㎜)보다 85% 가량 감소했다. 반면 중부지방 평균 강수량은 174.5㎜로 남부지방보다 11배 가량많았다. 이처럼 이달 중순부터 남부지방에서 비는 적게 오고 연일 폭염이 이어지는 이유는 장마전선이 북한 지방과 중부 지방 사이를 오르내리면서 중부지방에는 비를 뿌리고 남부지방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기 때문이다. 남부지방에 자리 잡은 북태평양고기압이 덥고 습한 남서풍을 유입하고 있는데다강한 햇볕까지 더해져 낮 기온이 30도를 크게 웃도는 불볕더위가 연일 나타났다. 기상청은 24일 밤부터 장마전선이 남하해 2528일 남해안과 제주도를 중심으로장맛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예보했다. 장마 기간이 예년에 비해 더 길어질 가능성을 보여준다. 허진호 기상청 통보관은 "장마전선이 주로 중부지방에 머무는 오는 24일까지 남부지방에는 폭염과 열대야가 계속 이어지겠다"며 "24일 장마전선이 남부지방으로 남하한 이후 다시 북태평양고기압이 확장되면서 장마전선이 북상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번 장마의 끝은 아직 예측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 날씨
  • 연합
  • 2013.07.22 23:02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