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5 04:57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방송·연예

'지붕킥' 새드엔딩…네티즌 찬반논쟁 후끈

지난 19일 비극으로 막을 내린 MBC 시트콤 '지붕뚫고 하이킥'(지붕킥)의 결말에 대한 논란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끊이질 않고 있다.종방이 나흘이나 지났지만 프로그램과 관련된 인터넷 게시판에는 결말에 대한 찬반 논쟁이 식을 줄을 모르고 있으며 네티즌에 의해 결말이 해피엔딩으로 다시 편집된 동영상까지 인터넷을 떠돌고 있다.MBC 시청자 게시판에는 19일 종영 이후 1만2천건이나 되는 게시글이 올라왔다.대부분 결말에 대한 찬반 의견을 담은 글이다.종영 직후에는 결말에 대한 직설적인 의견을 담은 짧은 글이 많았다면 시간이 흐르면서 '지붕킥'에 대한 작품론이라고 할 만한 장문의 분석글도 적지 않게 등장하고 있다.세경(신세경)과 지훈(최다니엘)의 죽음이라는 제작진의 결말에 대해 반대하는 측에서는 결말에 복선이 없었다는 점이나 대중 시트콤 치고는 결말이 지나치게 난해하다는 점을 지적하는 의견이 많다.이용자 신분(ID) 'Imw4733'로 글을 올린 한 네티즌은 "개연성 제로에 설득력 제로다. 7개월 동안 신자매(세경·신애)의 성장과 희망을 기다리던 애청자들에게 이런식으로 뒤통수를 날렸다"며 제작진에 대한 비판글을 올렸다.ID 'sooasis'씨도 "지붕킥 종영 후 상처가 너무 큽니다. 가슴이 뚫린 듯. 허무함과 쓸쓸함 속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답니다"며 결말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반면 제작진의 결말을 옹호하는 글도 적지 않다. 시청자들의 기대에 반하기는 하지만 김병욱 PD의 작품세계에 대해 박수를 보낼 만 하다는 의견이다.'lofonight'씨는 "지붕킥은 이상을 지향하면서도 현실에서 발을 떼지 않은 시트콤이다. (PD는) 냉혹한 현실의 장벽을 이야기하면서 화면을 끝내고 그 이면에 자신의 이상을 숨겼다. 현실 역시 우리 삶에 그리 친절하지 않다"며 나름의 해석과 함께 제작진의 결론에 박수를 보냈다.결말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며 시청자가 스스로 결말을 바꿔 편집한 동영상이나 줄거리 글들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적혈야화'라는 이름의 네티즌이 만든 한 동영상에는 실제 결말에 흑백 화면으로 등장하는 세경과 지훈의 죽음이 실은 순재(이순재)의 꿈이었다는 식으로 결론이 바뀌어 있다. 세경이 CF 모델로 성공하고 준혁(윤시윤)과의 사랑도 이뤄진다는 결론으로 다시 편집됐다.

  • 방송·연예
  • 연합
  • 2010.03.24 23:02

실종 19년 '개구리 소년'…영화 크랭크 인

대구에서 소년 5명이 집단 실종된 이른바 '개구리 소년' 사건을 소재로 만든 영화가 사건 발생 19년을 앞두고 촬영에 들어갔다.23일 '전국 미아·실종자 가족찾기 시민의 모임(전미찾모)' 등에 따르면 당시 사건 내용을 바탕으로 한 영화 '아이들…'(가제)이 이날 경기도 안성 일대에서 첫 촬영을 했다.1991년 3월 26일 우철원(당시 13세)군 등 5명의 어린이가 대구 달서구 와룡산으로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며 집을 나갔다가 실종돼 2002년 9월26일 와룡산에서 유골로 발견된 사건은 타살로 결론났지만, 범인은 여전히 잡히지 않고 있다.게다가 실종일을 기준으로 한 사건 공소시효(15년)도 2006년 3월25일 자정에 만료돼 현행법상 범인을 잡아도 처벌할 수 없는 상태다.이 사건은 1992년 '돌아오라 개구리 소년'으로 영화화한 적이 있지만, 아이들을찾기 위한 어린이, 청소년용 상업영화로 제작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영화 '리턴'의 이규만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고 투자는 롯데엔터테인먼트가, 제작은 누리픽처스와 롯데가 공동으로 맡았다.영화는 이 감독 등이 2년 반 전에 기획해 범죄 스릴러 장르의 시나리오 작업을 끝내고 촬영을 시작했다.제작사 측은 일단 사건이 발생한 '시기적 리얼리티'를 영화에 반영하려고 소년들이 실종한 3월 말을 배경으로 한 '계절 장면'을 영상에 담을 예정이다.영화는 서울에서 좌천당한 방송국 연출자인 남자 주인공이 대구에서 '개구리 소년' 사건을 접하면서 겪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롯데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남자 주인공의 캐스팅은 거의 확정했고 마지막 조율 단계에 있다. 아이들이 사라지는 장면과 헬기를 동원해 수색하는 부분 등을 먼저찍고 본격적인 촬영은 6월 중순이나 7월 초에 시작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1991년 '개구리 소년' 부모와의 만남을 계기로 실종 아동 찾기 운동을 시작한 나주봉 전미찾모 회장은 "19년 세월동안 엄청난 고통 속에 살아온 피해자 부모들은 지금도 경제적 어려움과 정신적 아픔으로 신음하고 있다. 이번 영화를 통해 미아와 실종자 찾기에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반인륜적인 범죄의 공소시효가 폐지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한편, 나 회장과 피해자 부모 등은 26일 실종사건 19주년을 맞아 피해 아동들의시신이 발견된 대구 와룡산 세방골에서 위령제를 지낼 계획이다.

  • 방송·연예
  • 연합
  • 2010.03.24 23:02

SBS '삽질검찰' 로고 사용 공식사과

SBS '그것이 알고싶다' 제작진이 이른바 '삽질검찰' 로고를 사용한 것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그것이 알고싶다'는 지난 20일 밤 '나는 여동생을 쏘지 않았다- 정인숙 피살 미스터리'편을 방송했으며, 당시 검찰 수사 기록 등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검찰 로고를 방송에 내보냈다.하지만 이 로고는 검찰 공식 로고가 아닌, 네티즌들이 검찰 수사를 비난하고 조롱하는 뜻으로 삽과 도끼 등을 넣어서 패러디한 소위 '삽질검찰' 로고였다.이에 '그것이 알고싶다' 제작진은 22일 프로그램 게시판에 사과문을 올렸다.제작진은 "검찰의 정식 로고가 아닌 잘못된 검찰의 로고가 방송에 나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라며 "확인결과 이는 검찰의 로고를 사용하여 그래픽을 만드는 과정에서 제작진이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올라있는 검찰 로고 이미지를 검색하여 사용하는 중에 잘못된 로고를 사용하여 방송 화면을 만들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라고 밝혔다.이어 제작진은 "여러 차례 확인과정을 통해 이와 같은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했음에도 본의 아니게 제작진의 실수로 시청자 여러분들에게 심려를 끼쳐 드려 죄송하게 생각합니다"라며 "아울러 시청자 여러분들의 지적이 있기 전까지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해 먼저 저희의 잘못을 알려드리지 못한 점 사과드립니다"라고 사과를 전했다.하지만 제작진은 "단순실수였으며 당시 정인숙 사건을 둘러싼 검찰수사를 조롱하거나 비하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현재 지난 20일 방송분의 다시보기 서비스는 중지된 상태고, 제작진은 문제의 장면에서 공식 검찰 로고를 삽입한 뒤 다시 제공할 예정이다.한편, '그것이 알고싶다'는 지난 20일 '나는 여동생을 쏘지 않았다- 정인숙 피살 미스터리'편을 통해 제 3공화국 최대 스캔들이었던 정인숙 살해 미스터리와 당시 범인으로 지목된 친오빠 정종욱씨의 결백 주장 등을 다뤘다

  • 방송·연예
  • 노컷
  • 2010.03.23 23:02

친정엄마와 딸이 함께한 애틋한 2박3일

"우리 어머니가 아흔네 살인데 몸이 불편하세요. 집에 가면 저는 엄마이자 딸인데 지금도 아흔 넘은 엄마한테 신경질을 내죠." (김해숙)"밖에서 워낙 인터뷰도 많이 하고 그래선지, 집에 들어가면 엄마 말에 대답도 잘 안 하고. 못된 딸이 돼가는 것 같아요." (박진희)22일 동대문 메가박스에서 열린 영화 '친정엄마' 제작보고회에서 엄마와 딸로 각각 출연한 김해숙과 박진희는 영화를 찍으면서 자연스럽게 어머니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털어놨다. '친정엄마'는 지난해 관객 13만 명을 감동시킨 연극 '친정엄마와 2박3일'이 원작이다. 딸밖에 모르고 살았던 엄마와 엄마에게 항상 고맙고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만 살갑게 대하지 못했던 딸의 첫 2박3일 여행을 그렸다.이 영화에서 첫 장편영화 연출을 맡은 유성엽 감독은 "원작인 연극이 있지만, 연극과는 어법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연극이 호소적이었다면 우리 영화는 잔잔한 울림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지난해 박찬욱 감독의 영화 '박쥐'에서 신하균의 엄마 역할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해숙은 전통적인 엄마 상에 도전했다. 김해숙은 "징글징글한 어머니상을 해보고 싶은 욕망이 있었다"면서 "'친정엄마'의 엄마 캐릭터는 자식을 위해 희생할 수 있는 전형적인 엄마 상이다. 딸밖에 모르고 딸을 위해서만 살아가는 엄마를 표현하려 했다"고 말했다.

  • 방송·연예
  • 연합
  • 2010.03.23 23:02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