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17:55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방송·연예

"자살, 최후의 선택일까"-MBC 다큐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가운데서도 자살률이 높기로 유명하다. 더욱이 자살하는 사람의 수도 급격하게 늘고 있어 자살은 사회문제로까지 대두하고 있다. MBC TV는 개인 문제로 치부해 온 자살을 생물ㆍ사회학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자살을 막기 위한 사회적 시스템의 필요성을 담은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2부작 '생사의 기로에서'를 20~21일 오후 3시10분 방송한다. 20일 1부 '자살, 최후의 선택일까?'에서는 자살 시도 위기에 놓인 사람들과 가수 진주 등 자살의 위기에서 벗어난 사람들의 증언을 통해 자살의 원인을 짚어 본다. 또 주변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만이 자살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연예인 자살 보도 이후 자살률이 급증하는 현상과 3대에 걸쳐 6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집안의 예를 통해 자살의 무의식적인 학습효과와 유전성에 관한 연구도 소개한다. 아울러 IMF 이후 급증한 한국의 자살률과 경제문제로 자살을 시도한 일본 사토 씨의 예를 분석해 자살과 사회변동의 관계도 살펴본다. 21일 '남겨진 사람들' 편에서는 자살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이 겪는 정신적인 고통과 이들에게 가해지는 사회적인 편견을 알아본다. 17살에 자살한 아들에게 매일 이메일을 쓰는 어머니, 두 아이를 남겨 놓고 자살한 딸을 그리워하는 어머니 등을 인터뷰했다. 이어 미국 뉴욕에서 펼쳐진 자살예방 캠페인인 '아웃 오브 다크니스'를 소개한다. 이 캠페인에서는 자살자 유가족, 자살 시도자 등이 가족, 친구 등을 위해 밤을 꼬박 새워 걸으며 상처를 치유하고 희망을 발견해 나간다. 세계 평균 자살률의 두 배가 넘는 헝가리에서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해 '자살 마을'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던 키시쿤 헐리시를 찾아 자살 극복 방안을 찾는다. 이 시는 우울증에 대한 집중 교육으로 자살률을 획기적으로 낮췄다. 이와 함께 정신건강에 1억 달러를 투자하는 LA 카운티와 우리나라에서도 막 시작되고 있는 자살예방 움직임을 전한다.

  • 방송·연예
  • 연합
  • 2007.12.19 23:02

영화 불법 다운로드 국민 47.3%가 경험

국내 소비자 2명 가운데 한 명이 일주일에 1편꼴로 인터넷에서 불법으로 영화를 내려받는 것으로 조사됐다.또 지난해에 비해 한국영화 선호도는 낮아진 반면 할리우드 영화는 높아졌으며 액션물의 인기는 높아지고 코미디물의 인기는 떨어졌다.영화진흥위원회가 최근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을 통해 전국의 만 15~49세 남녀 2천3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7 영화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최근 1년간 인터넷파일 공유 사이트를 통해 무료 또는 100원 수준의 사이버 머니로 영화를 내려받은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47.3%였다.이들은 1년 평균 54.5편(1주일 1.1편)을 내려받는 것으로 조사됐고, 다운로드하는 가장 큰 이유로 경제성(32.7%)과 시간 편의성(20.9%)을 꼽았다. 이들은 또 앞으로 단속이 강화되면 극장(34.3%), 합법 다운로드(16.1%)로 전환하겠다는 응답을 많이 했지만 불법으로 계속 내려받겠다는 의견도 7.9%에 달했다.직ㆍ간접 경험이 없는 응답자의 경우에는 그 이유로 번거로움(28%)과 바이러스 위험(18.3%)을 주로 꼽았지만 저작권 침해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는 응답자는 12%에 불과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국적별 영화 선호도는 한국영화가 47.0%로 지난해 59.2%보다 낮아졌고, 미국 영화는 34.3%로 지난해 20.4%보다 높아졌다.장르별 선호도는 액션이 28.6%로 가장 높았고 로맨틱코미디(14.9%)와 SFㆍ판타지ㆍ무협(12.9%)이 뒤를 이었다. 액션의 인기는 지난해 18.4%보다 높아졌지만 코미디는 21.7%에서 12.0%로 뚝 떨어졌다.소비자들은 영화를 고르는 기준으로 줄거리(86.9%), 장르(78.7%), 주위의 평가(70.7%)를 앞세웠지만 전문가 평가(33.3%), 제작 국가(30.1%), 감독(29.1%)은 그리 높지 않았다.이번 설문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2.0%포인트다.

  • 방송·연예
  • 연합
  • 2007.12.19 23:02

'나는 전설이다' 개봉 첫 주 100만 관객 육박

윌 스미스 주연의 SF 블록버스터 '나는 전설이다'가 개봉 첫 주에만 국내에서 100만 명에 약간 못 미치는 관객을 동원하며 초반 기세를 떨치고 있다. 17일 수입배급사 워너브라더스 코리아에 따르면 12일부터 전국 389 개 스크린에서 상영 중인 이 영화는 15~16일 주말 이틀 간 58만1천400명을 보태 모두 96만2천600명(서울 21만1천200명)을 동원했다. 개봉 첫째 주에 100만 명을 가볍게 넘겼던 '캐리비안의 해적-세상의 끝에서'(271만3천 명), '스파이더맨3'(255만9천 명), '트랜스포머'(185만9천 명), '슈렉3'(161만6천 명)의 대열에는 끼지 못하지만 '본 얼티메이텀'(52만9천 명), '오션스 13'(51만 명)보다는 훨씬 좋은 성적이다. 한편 같은 날 개봉한 '색즉시공 시즌 2'(감독 윤태윤)는 한국형 성인용 코미디의 원조격인 '색즉시공'의 속편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나는 전설이다'의 공세에 밀렸다. 그러나 이 영화는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에도 불구하고 주말 427개관에서 40만2천 명(CJ엔터테인먼트 집계)을 모았고 첫 주에 모두 66만7천명의 손님을 맞이하는 등 순조롭게 출발했다. 설경구ㆍ김태희 주연의 '싸움'(감독 한지승)의 성적은 빈곤했다. 전국 370여 개 스크린에서 개봉해 주말 이틀간 17만4천745명, 12일 개봉 이후 30만73명을 불러모으는데 그쳤다.

  • 방송·연예
  • 연합
  • 2007.12.18 23:02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