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지방신문 난립
요즘 시중엔 신문이 또하나 생긴다는 게 화제다. 전북지역에서 발행되는 일간신문이 9개이니 하나가 더 추가되면 10개가 된다. 신문사가 자꾸 생기니 한때는 “늘어날 바엔 아예 10개를 채워라”는 식의 빈정거림이 회자됐었다. 한데 가능할 것 같지 않던 이 수치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하나 둘씩 느는 사이 어느덧 전북지역의 일간신문이 10개에 이른 것이다. 인구 180만명이 채 안되는 지역에서 일간신문이 10개나 된다니 세간의 화젯거리일 수도 있겠다. 문화관광부에 등록된 지방 일간신문은 88개다. 지역별로는 부산 3개(1개는 경제지), 대구 5개, 인천 6개, 광주 13개, 대전 11개, 울산 5개, 경기 11개, 강원 2개, 충북 6개, 전남 2개, 경북 5개, 경남 6개, 제주 3개 등이다. 호남지역의 지방신문이 대략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부산은 인구가 400만명에 이르는 큰 지역이다. 2000년 기준 1인당 GRDP(지역총생산량)가 2,723만원이다. 전북은 인구 180만명에 1인당 GRDP는 1,472만원이다. 부산은 인구도 많고 1인당 GRDP도 많은데 신문이 2개 밖에 안된다. 왜 그럴까. 대검 형사부장으로 가 있는 이동기 전 전주지검장이 이 현상을 두고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부산에서 근무할 때 보니까 어떤 기업이 신문사를 만들 움직임이 보이면 기존 신문들이 그 모기업을 융단폭격하더라. 그러니 신문 만들 엄두를 못낸다” 신문 창간에 집착하는 이유는 신분상승 효과나 모기업 방패막이로 활용하려는 게 큰 이유다. “기업을 할때는 도청의 사무관 만나기도 어려웠는데 신문사 사장이 되니까 도지사가 밥 먹자고 하고, 민원도 잘 해결되더라” 건설업을 하면서 신문사를 차린 기업인이 한 말이다. 난립으로 인한 역기능이 양산되는 게 문제다. 경영악화와 비윤리적 행위를 낳고 기자들의 근무환경을 더 열악하게 만든다. 결국 신문의 질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감언이설로 많은 젊은이들을 꼬여 저임금의 현장으로 몰아넣은 뒤 나중엔 신문사를 팔아 이익을 챙기는 파렴치 인간들도 문제다. 기자들은 이런 인간을 ‘신문사 벤처사업가’로 부른다. 숟가락 3개면 족할 밥그릇에 10개 숟가락이 들락거린다면 인심이 사납게 된다. 민폐 관폐도 많다. 지방신문 난립이 악화가 양화를 몰아내는 불상사로 이어질까 두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