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조선소 재가동과 향후 '과제'
군산조선소가 지난 28일 재가동하면서 전북경제의 재도약을 알렸다. 우여곡절 끝에 재가동을 하긴 했지만 재가동을 유지할 수 있는 전문인력 확보와 지역내 군산조선소 인력 편중 문제 등 풀어야할 과제도 남아 있다. 군산조선소 재가동의 의미와 과제를 살펴본다. 군산조선소는… 군산조선소는 지난 2008년 5월 7일 기공식을 시작으로 2009년 2월 선박 건조를 위한 첫 착공식을 했다. 2009년 7월 축구장 면적 4배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도크와 골리앗 크레인(1650톤)을 완공한 데 이어 2010년 2월 의장안벽(부두) 공사를 마무리해 생산 라인을 갖추고, 매년 10척 안팎(2015년 최대 17척)의 선박을 건조하는 등 활기가 넘치는 곳이었다. 매출 총액은 연간 8000억 원을 웃돌았으며, 가동 중단 직전인 2016년까지 총 70척을 건조했다. 준공 후 연간 약 1조 원 가량의 수출 실적을 올렸으며, 한때 전북 제조업의 12%, 군산 산업의 24%를 책임졌다. 하지만 거세게 몰아친 세계 경제침체는 영원할 것만 같던 군산조선소의 작업 소리를 멈추게 했다. 조선업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2017년 7월 폐쇄했으며, 그 여파로 86개(사내 및 1·2차 사외) 협력업체가 문을 닫고 사내·외 직원 5250명(군산지역 전체 노동자의 24%)이 일자리를 잃었다. 하지만 전북도민의 간절한 염원은 역경을 딛고 일어설 발판이 되었으며, 끈질긴 노력은 새로운 시작을 향한 힘이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5년 3개월 만인 지난 28일 희망의 불이 다시 밝혀졌다. 군산조선소는 내년부터 대형 컨테이너선용 블록 10만 톤을 제작하며, 연간 약 1800억 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문 인력 확보 최대 ‘난제’ “군산조선소 물량 확대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인력 확보다.” 지난 28일 강재 절단식에 참석한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해 김관영 전북도지사, 한영석 현대중공업 부회장 및 근로자들은 군산조선소의 안정적 재가동을 위한 핵심 과제로 전문 인력(선박 용접 기량자) 양성·공급을 꼽았다. 현대중공업 인력가동 현황에 따르면 내년 말까지 군산조선소 필요 인력은 1000여 명이다. 올해 말까지 400여 명을 채용할 예정으로, 이를 제외하면 내년에 추가로 600여 명의 신규 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국내 조선업이 심각한 인력난을 겪는 데다 군산조선소 폐쇄로 일자리를 잃고 군산을 떠난 전문 인력이 다시 돌아온다는 것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기획재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반영을 요구한 ‘조선업 생산기술 인력 양성’ 예산을 절반으로 줄여 전북도와 군산시의 인력 양성 계획이 난관에 봉착했다. 5년 3개월 만에 군산조선소로 돌아온 근로자 류해수 씨(50)는 “많은 사람이 군산을 떠나 울산 본사에 가고 또 협력사 직원들은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상황에 이르렀지만, 5년여 만에 재가동 선포식이 열려 희망차고 가슴 벅차다”며 “물량은 있는데 인력이 없어 또 멈출 수 있으니 안정적인 인력 공급이 이뤄지도록 현대중공업을 비롯해 정부·전북도·군산시가 힘을 보태야 한다”고 말했다. 인력 공급 군산조선소-중소기업 고르게 이뤄져야 전북도와 군산시가 들여다볼 부분은 국가산업단지 등 지역 내 전문 인력(용접사) 수급난이다. 군산조선소 재가동으로 국가산단 등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용접사들이 조선소로 유출될 경우 중소기업의 인력 부족 악순환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군산조선소는 내년까지 총 1000여 명을 채용할 계획이지만, 향후 수주 물량이 증가하면 고용 인원도 증가할 예정이다. 군산조선소의 고용 인원 증가는 환영할만한 일이지만, 문제는 인근 산업단지 근로자들의 이직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중소기업보다 군산조선소가 상대적으로 좋은 복지 혜택을 제시하고 있어서다. 특히 군산조선소 폐쇄로 지역 내 중소기업에 취업했던 근로자들이 군산조선소로 다시 옮겨가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군산시에 따르면 벌써부터 지역 내 중소기업에서 근로자들이 군산조선소로 이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북도와 군산시는 군산조선소와 국가산단 내 중소기업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중장기적 방안으로 용접 숙련사 양성 및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중소기업 대표 김 모씨는 “인력 공급이 군산조선소에만 치우쳐서는 안 된다”면서 “현재도 구인난이 심각한데 지역 내 용접 인력이 군산조선소로 옮겨가면 중소기업들은 미숙련공에 의존할 수밖에 없지만, 이마저도 여의찮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