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전주 버스 요금 단일화 추진
박성일 완주군수의 핵심 최우선 공약인 완주-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가 조만간 선시행 후정산방식으로 전격 시행될 계획이다.또 65세 이상 어르신장애인임산부 등 교통약자에 대한 단계적 무상버스도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이후 추진된다.박성일 완주군수는 완주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시행 계획을 민선 6기 출범 첫날 첫 업무로 처리했다. 박 군수는 전주시와 이미 실무적인 차원서 접촉을 했고, 기본적인 동의과정을 거쳤다며 비용부담에 대한 용역을 마치기 이전에 선시행 방식으로 가능하면 이른 시기에 시내버스 단일화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지난해 9월부터 완주-전주 시내버스 요금적용 방식이 단일요금제에서 구간요금제로 전환됨에 따라 시내버스 이용객들의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완주군은 5월 현재 완주군 인구는 8만8000여명으로, 이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9.3%를 차지해 전국 평균인 12.4%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라며 그동안 많은 완주군민이 시내버스 이용불편 해소를 위해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와 무료 환승을 실시하라고 지속적으로 요청했다고 말했다.완주군은 67대 군의회와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관련 간담회설명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했고, 전주시와 요금 단일화 추진을 공조하고 재정지원금을 협의하는 등 완주군민에 대한 단일화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 왔다.완주군은 구간요금제로 1km당 116.14원인 요금을 박성일 신임 군수의 결단으로 완주군 전역을 1200원 기본요금으로 묶음으로써, 모든 완주군민들이 총 30억원의 경제적 부담에서 벗어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또 무료환승제와 함께 그동안 수년간 제외되었던 고산 6개면에도 단일요금제를 시행, 교통의 벽오지를 이동하는 완주군민들에게 거리 차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보인다.완주군 운주면 대둔산과 고당리 피묵마을의 경우 그동안 전주까지 왕복 1만4200원을 냈으나, 단일화시 왕복 2400원만 냄으로써, 1만1800원(83.1%)의 요금을 절약하게 된다. 아울러 봉동읍 제촌마을 4800원(66.6%), 구이면 원백여마을 4000원(62.5%), 화산면 상호마을 8780원(78.5%) 등 많은 지역에서 요금이 대폭 인하된다.박성일 군수는 완주-전주 시내버스요금 단일화시 동일 생활권인 완주와 전주에서 기본요금으로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면서 주민의 시내버스 이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고, 완주-전주 지역간 상생을 이룰 수 있는 반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완주군과 전주시의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인 시내버스는 1일 144노선을 4254회 운행한다. 이 가운데 절반을 훨씬 상회하는 104노선 2521회가 완주군을 운행하고 있으며, 연간 이용객 수도 415만명(전주시 완주군 시내버스요금단일화연구 용역결과)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