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금토일] Tip-봄나물의 효능
봄을 시샘하는 겨울 추위가 아직 물러나지 않았지만, 입춘이 지나면서 한낮에 따스한 기운이 감돌아 봄이 성큼 다가왔음을 느끼게 한다.이 때가 되면 우리 몸도 새로운 기운을 필요로 한다. 겨우내 움츠렸던 몸 전체의 각 기관에서 신진대사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른 것으로, 몸이 나른해지는'춘곤증'은 계절변화에 따른 영양분이 부족하다는 일종의 신호다.이런 시기에 주로 찾는 게 봄나물이다.봄나물에는 겨우내 부족한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등을 보충해 줄 수 있는 영양소들이 많아 예부터 조상들이 즐겨 찾았다. 봄나물은 기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면역력을 높여주고, 겨울동안 잃었던 입맛을 돋우고, 나른해진 몸에 생기를 불어넣어준다.요즘에는 하우스 재배로 사시사철 다양한 나물을 맛볼 수 있다. 그렇지만 제철에 나는 과일이 맛있듯이, 봄기운을 듬뿍 담은 봄나물 만큼 좋은 게 없다.대표적인 봄나물은 달래와 냉이, 두릅, 미나리, 씀바귀, 쑥 등이다.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비타민C의 보고'라 불리는 달래는 비타민 부족현상을 예방하고, 몸의 원기회복에 좋다. 단백질, 칼슘, 철분이 많은 냉이는 한방에서 소화제로 쓰일 만큼 위나 장에 좋고, 칼슘과 칼륨, 비타민A·C 등이 많이 들어 있는 미나리는 몸의 열을 없애고 갈증을 해소하며, 소변의 배설을 도와 간기능을 좋게 한다. 독특한 향이 일품인 두릅은 단백질과 비타민C가 많으며, 쓴맛을 내는 사포닌 성분은 혈액순환을 도와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다.식용 가능한 나물 가운데 가장 쓴맛이 나는 씀바귀와 쑥은 식욕이 떨어진 사람에게 제격이다. 씀바귀는 위장을 튼튼하게 해 소화기능을 좋게 하고, 쑥은 비타민과 엽록소가 많아 각종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봄나물의 요리방법은 다양한다. 생으로 먹거나, 익혀 먹는 등 나물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각자의 입맛에 맞게 요리해 먹는 게 최고의 요리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