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1 00:51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임실

임실 농업인 월급제 시행 본격

임실군과 농협임실군지부는 27일 농업인 월급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군청회의실에서 체결했다.이날 협약식은 심민 군수를 비롯한 김장근 농협중앙회 임실군지부장, 이재근 임실농협장, 김학운 오수관촌농협장, 엄귀섭 임실군조합공동사업대표 등이 참석했으며 참여기관들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농민들이 영농에 필요한 자금을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공동 노력키로 했다.도내 최초로 시행하는 농업인 월급제는 벼 재배 농업인의 영농기 필요자금을 수확기 이전(5월~9월)에 월급제로 지급해 영농자금 이자부담을 줄임으로써 농업인의 소득향상에 기여하고자 시행하는 사업이며 총 사업비 2억8000만원(군비)으로 관내 벼 재배 농가중 농협과 수매출하약정을 체결한 농가에게 행정에서 농협으로 이자(연4%)를 보전하는 사업이다.심민 군수는 이 자리를 통해 금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농업인 월급제가 도내에서 최초로 시행하는 만큼, 행정과 농협이 상호 협력하여 힘과 뜻을 함께 한다면 타 지역의 본보기가 될 뿐 아니라 농업인의 영농자금 불편을 최소화하고 농업인 소득향상에 기여할 것이다고 강조했다.특히 군은 민선6기 군수 공약사업의 하나로 농업인 월급제를 시행함에 따라 많은 농업인들로부터 환영을 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민선6기 농정방향인 활력있는 농촌, 함께하는 희망농업을 실현하기 위해 열과 성을 다해 나갈 방침이다.한편 농업인 월급제와 관련한 의문사항은 군 농업정책과 유통가공팀(640-2432~3)과 읍면 산업팀을 직접 방문 또는 전화 문의하면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 임실
  • 박정우
  • 2015.05.28 23:02

소규모 마을 통·폐합 '어쩌나'

인구 및 세대수가 현저히 적은 농촌지역 소규모 마을단위에 대한 행정구역 통폐합 조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이같은 상황은 10세대 이하인 소규모 마을과 300세대가 넘는 대규모 마을의 경우 이장 선출이나 마을에 지원되는 각종 사업 등에서 비효율적 행정관리를 낭비하고 있기 때문이다.임실군의 경우 전체 인구는 4월말 현재 2만9649여명에 세대수는 1만4052가구로서 전년보다 다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또 12개 읍면으로 분리된 상황에서 전체 법정리는 131개인 가운데 행정리는 256개로 분류, 모두 256명의 이장들이 활동중에 있다.하지만 이중에는 10세대 이하인 마을이 5개 읍면에 걸쳐 6개소로 밝혀져 이들 지역에 대한 통폐합 여론이 불거지고 있는 것.특히 임실읍 대곡리 상리마을의 경우는 35사단 이전에 따라 마을 자체가 소멸됐으나 잔류중인 5세대의 원주민들이 통폐합을 거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여기에 갈마리 해평마을의 경우도 지난 1월중 주민증록상 세대수가 8세대에 그치고 있지만 이웃마을과의 통폐합을 반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이와 함께 운암면 금기마을과 신평면 두류마을을 비롯 삼계면 해곡마을 및 덕치면 사곡마을의 경우도 10세대 이하의 마을로 분류됐지만, 통폐합에는 모두 반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반면 주민등록상 세대수가 165세대 이상 380세대 이하의 대규모 마을인 임실읍 하동과 상동, 수정 등 5개 마을에서는 분리를 요구하는 민원이 제기돼 대조를 보이고 있다.이처럼 소규모 마을들이 통폐합에 반대하는 이유는 마을이름이 소멸되거나 주민에 대한 각종 지원사업이 중단된다는 우려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군 관계자는현재 통폐합을 반대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현지 실태를 조사중에 있다며행정적 효율성을 위해 가능한 통폐합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임실
  • 박정우
  • 2015.05.14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