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5 05:31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김용식의 클릭 주식시황

[주간증시전망] 관세 리스크 진정이후 주가 단기 상승 가능성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1.92% 상승한 2626.87포인트를 기록했고, 코스닥지수는 0.35% 내린 725.07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조953억원과 3765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은 1조6299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1158억원과 972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이 1146억원 순매도했다. 미중간 상호관세 유예 합의 이후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의 순매수세가 유입되었고 반도체, 조선, 방산, 화장품 업종 순으로 순매수를 했다. 특징적으로 보면 반도체는 사우디아라비아가 미국 엔비디아의 AI 칩 구매에 따른 인프라확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는 13일 자사의 최신 AI칩 중 하나인 GB300 블랙웰칩을 사우디 현지 기업에 1만8000개 이상 판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휴메인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소유로, AI 모델개발 및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며, 장기적으로 수십만 개의 엔비디아 GPU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번주 주요 일정은 19일 중국의 소매판매, 산업생산 같은 실물지표 발표가 예정돼 있다. 중국의 디플레이션 환경이 지속되면서 내수경기에 대한 시장기대감이 크지 않은 상황이기에 예상치(6.0%)를 상회한다면 중국 경기부양에 따른 회복기대가 유입될 수 있고, 하회한다면 경기부양 정책의 기대감이 한층 강해질 수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여기에 아시아 최대 IT전시회인 컴퓨텍스 2025가 19일부터 개최된다. 기술주에 대한 투자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관세 리스크가 진정된 이후 주가가 단기에 상승하면서 차익실현 매물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상승한 업종과 종목에 대한 매매보다는 차익실현의 기회로 활용해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5.19 18:36

[주간증시전망] 조선과 방산업종에 주목 필요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0.76% 상승한 2577.27포인트로, 코스닥지수는 0.09% 상승한 722.52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코스피시장에서 기관과 개인은 각각 2840억원 4060억원을 순매도했고, 외국인투자자 5460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시장은 개인 3530억원을 순매수,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1330억원, 1530억원을 순매도했다. 지난주는 이틀 휴장 이후 이틀 상승, 9일 하락으로 마감했다. 미중무역 협상이 시작될 것이란 소식에 따른 기대감이 상승동력으로 작용했고 여기에 주요 협상국 중 영국과 첫 합의안을 발표하면서 관세 노이즈가 진정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최근 무역협상 성사에서 보듯 관세 리스크가 정점을 지나간다는 기대감이 시장에 확산되는 것으로 보인다. 언론을 통해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과 긴장완화와 경제적 타격 축소를 위해 대중관세를 60% 이하로 낮추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주요지표로는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매판매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다만 관세 영향이 온전히 반영한 수치는 아니라는 점에서 증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원달러환율이 1400원을 하회하며 외국인 수급에 우호적 환경이 만들어진 만큼 외국인 순매수 지속 여부에 관심을 가지고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국회는 지난 1일 본회의를 열어 13조8000억원 규모의 2025년 제1차 추경안을 의결한 바 있다. 7일 정부는 13조8000억원 중 12조원을 신속 집행관리 대상으로 지정하고, 전체 추경 예산의 70%를 3개월 내 집행하겠다고 발표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12조원에는 소상공인 지원책(1조6000억원), 지역상권 활성화(1조4000억원), 인공지능(AI) 혁신(1조8000억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내수경기 회복 기대감에 따른 유통, 음식료 업종에 대해 긍정적으로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여기에 인도와 파키스탄의 군사 충돌이 해묵은 종교 갈등으로 번질 수 있어 보인다.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에서 무슬림 무장단체의 테러로 힌두교 관광객 상당수가 사망하는 사건이 터졌다. 이에 인도군이 무장단체 본거지로 추정되는 지역을 공습하고 파키스탄이 맞대응하면서 분위기가 악화되었다. 당분간 조선과 방산업종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이고, 관세 영향과 실적에 따라 업종별 주가 차별화가 심화되고 있어 이번 주도 비슷한 종목 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5.11 16:51

[주간증시전망] 내수 및 정책 수혜 업종에 관심 필요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62.88포인트 상승한 2546.30포인트를 기록했고 코스닥지수는 11.92포인트 상승한 729.69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수급별로 보면 이 기간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8344억원 외국인은 1202억원 순매도했고 기관은 1조292억원 순매수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이 1792억원 외국인이 21억원 순매수했고, 기관은 1249억원 매도했다. 트럼프 미국대통령과 베센트 재무부장관의 온건적 발언으로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가 높아졌으나, 여전히 실제협상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확실한 상황으로 보인다. 실제로 24일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진행 중인 협상은 없다며 문제 해결을 원한다면 중국에 대한 일방적 조치들 먼저 취소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이는 중국과의 빅딜 가능성까지 언급한 미국의 주장과는 반대되는 상황이다. 최근 달러인덱스와 주가가 급락하고, 국채 장기물금리가 급등함에 따라 트럼프가 완급조절에 나선 것으로 보여진다. 관세리스크는 지속되겠으나 이달 초 나왔던 극단적 변동성장세의 재발 가능성은 작다고 보여진다. 국내는 1분기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역성장했다. 데이터는 전년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향후 국내 경제에 대한 우려감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주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적인 무역정책 기조가 다소 완화되며 대내외적 거시경제 지표에 대한 우려로 인해 제한된 상승세를 보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곧 여당과 야당의 대선후보가 확정되면서 강도 높은 내수부양책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GDP 역성장은 강한 내수부양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기에 향후 펼쳐질 대선레이스와 함께 내수주에 관한 관심이 지속될 전망이다. 정책모멘텀과 내수부양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유통, 음식료, 반도체, 증권, 자동차업종같은 내수 및 정책 수혜 업종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4.27 17:30

[주간증시전망] 대선 후보자들의 공약 기대감이 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52.22포인트 상승한 2484.94포인트로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21.80포인트 상승한 717.77포인트로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은 각각 2884억원과 6115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은 1조 2757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이 2441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472억원과 기관을 순매도했다. 지난 18일 국무회의를 열고 12조2000억원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발표했다. 산불피해 복구예산과 통상문제, 인공지능 분야와 소상공인, 취약층지원책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한국은행은 다음 달 금통위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다행히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리스크가 정점을 찍었다고 진단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은 90일유예 이후 협상단계에 돌입했고, 관세정책과 관련해 예상되는 리스크는 이미 시장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주가상승 기대감이 커진 상황이다. 여기에 조기 대선 국면에서 정책 기대감과 대선 후보자들의 공약 기대감이 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격적인 1분기 실적발표 시즌에 돌입했고, 국내외 주요 기업의 실적과 전망에도 주목해야 한다. 오는 22일 테슬라를 시작으로 24일 아마존, 인텔 등 미국 기술주의 실적이 발표된다. 시장에서는 1분기 기술주들의 호실적을 기대하고 있다. 미국의 관세 부과를 앞두고 선구매 수요가 강했기 때문이다. 다만 주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실적 가이던스는 관세 영향을 감안해 보수적으로 제시할 가능성이 커보인다. 이번주 주가 조정으로 가격이 낮아진 업종은 반등을 시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가격과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종목은 차익실현의 빌미가 될 수 있어 보인다. 낙폭과대 업종인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인터넷, 제약·바이오 업종 중심의 조정 시 매수관점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4.20 17:10

[주간증시전망] 국내는 물론 글로벌증시도 트럼프에 출렁

코스피지수는 7일 2465.42포인트로 시작해 11일 2432.72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했다. 일주일간 1.33% 하락했고, 코스닥지수는 같은 기간 687.39에서 695.59포인트로 오르며 한 주를 마감했다. 지난주 7일 상호 관세가 시행되자 코스피는 하루만에 5.57% 하락했다. 근 1년만에 최대 낙폭이었다. 바닥을 찍은 코스피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하면서 10일 6.6%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10일 상승분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이 기존에 알려진 125%가 아닌 총 145%에 이른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11일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 1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그전까지 원달러환율이 현 수준을 중심으로 등락할 경우 선제적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 보인다. 다만 국내 경기전망 악화에도 불구하고, 미국 관세충격을 추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지난 2월 인하에 이어 연속적인 금리 인하는 쉽지 않아 금리 동결을 예상하는 분위기이다. 당분간 국내는 물론 글로벌증시도 트럼프의 한마디에 출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관세발효로 물가와 금리가 불안한 가운데 향후 발표될 지표도 중요해 보인다. 16일엔 미국 소매판매지수와 산업생산지수가 발표될 예정이다. 당분간 미 채권시장에서도 실물지표보다 관세정책이나 트럼프 발언에 더 주목할 것으로 보여 관세협상 진전 여부를 확인하며 미 장기금리는 변동성 높은 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방향성의 추세화를 예상하기보다는 리스크를 대비하고 기대수익률을 낮춰 잡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지만 이미 코스피 2440포인트선은 12개월 PBR 0.8배를 아래에 있는 저점 구간으로 2400포인트대에서는 변동성을 활용한 비중확대와 이벤트로 인한 2400포인트선 이하에는 적극 매수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4.13 18:07

[주간증시전망] 관세 피해주인 반도체, 자동차에 주목 필요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3.62% 하락한 2465.42포인트를 기록했다. 수급별로 보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3조9531억원, 533억원을 순매수했지만, 외국인이 4조6953억 원을 순매도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는 0.92% 하락한 687.39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수급별로 보면 개인과 기관이 각각 3756억원과 3379억원을 순매수했지만, 외국인이 6891억원을 순매도했다. 지난주 탄핵인용으로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원화 강세가 전개된다면 외국인투자자들의 투자수급도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미국의 관세충격으로 하락한 지수는 2430포인트선에서 지지력을 확보한 만큼 반등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다만 탄핵인용 가능성이 이미 상당 부분 국내 증시에 반영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실제로 탄핵인용이 선고된 오전11시 22분 이후 국내지수는 호재 발생에도 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보이며 재차 하락했다. 이미 윤 대통령 탄핵 확률이 80%로 집계됐던 점을 감안하면 선반영에 따른 차익실현으로 해석될 수 있어 보인다. 이처럼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도 불구하고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여전히 제한적인 수준에 머무를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한국 증시는 뚜렷한 상승 모멘텀이 부족해 약보합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고, 업종별로는 조선, 방산, 바이오 등 관세 영향이 적은 업종의 상대적 강세가 예상된다. 당분간 증시는 상호관세 및 이에 대한 대응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5일 보편관세, 9일부터는 국가별로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 재무장관은 보복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한 발표된 관세율이 최고치이며, 협상을 통해 인하될 수 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이처럼 관세로 인한 전반적인 수요감소 및 글로벌 물동량 감소를 고려할 때, 관세영향이 제한적인 내수주 즉 유통, 편의점업종이나 관세에 무관한 엔터, 증권업종이 대안이 될 수 있어 보이고, 관세 발효 이후 국가별 협상 절차에 진입하면 오히려 대표적인 관세 피해주인 반도체, 자동차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4.06 17:34

[주간증시전망] 반도체업종 비중확대 전략이 유효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85.15포인트 하락한 2557.98포인트로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개인은 1585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 2716억원과 기관은 135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지수는 25.65포인트 하락한 693.76포인트로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개인은 1731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88억원과 964억원 순매도했다. 현재 한국은 높은 수준의 상호관세를 부과를 적용하는 더티 15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대통령의 행동으로 볼 때 자동차 관세가 4월 2일 상호관세로 마지막일지 알 수 없다는 사실과 특정 품목에 대해 전세계를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게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줬다. 향후 불공정무역조사 및 상호관세 발표 전후로 변동성이 재차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다행히 각 국가가 협상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나, 기존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이라면 정책 불확실성은 완화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번주 월요일 31일부터 공매도 재개가 된다. 지난 2020년 3월 이후 5년여 만에 국내 증시에서 전 종목 공매도가 다시 시작될 예정이다. 그동안 크게 올랐던 종목 중심으로 공매도 물량이 많아질 가능성이 크다. 공매도 금지 기간 동안 많이 올라갔던 종목들은 트럼프 수혜주로 여겨지며 쏠리는 현상이 많았는데, 당분간 이러한 움직임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 삼성전자의 실적 발표에서 양호한 가이던스를 나타낸다면 증시의 버팀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에 대한 눈높이가 낮아진 상황이고, 반도체 가격은 최근 들어 올라가고 있어 실적이 좋지 않아도 가이던스가 좋거나 해석이 좋을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번주는 미국뿐 아니라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공매도 재개, 정책 공백기 지속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구간으로 변동성이 클 수 있지만 불확실성 해소 뒤 외국인 수급이 가장 집중될 수 있는 반도체업종 비중확대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3.30 18:41

[주간증시전망] 미 연준, 연말까지 두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2.99% 상승한 2643.13포인트를 기록했다. 수급별로 보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조8021억원과 679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은 3조2952억원 순매도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는 2.02% 하락한 719.41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수급별로 보면 개인과 기관이 각각 3175억원과 596억원 순매수한 반면, 기관이 3072억원 순매도했다. 지난주 국내 증시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결과에 대체로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으나 연말까지 두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다. 코스피시장은 IT를 중심으로 반도체 업종이 상승세를 기록하며 2600포인트선을 회복했고, 2025년 들어 반도체 업종을 순매도하던 외국인투자자들은 이번주 반도체 순매수로 전환했다. 다음주는 국내정치 불확실성 해소 가능성, 완화적 통화정책 기대감은 긍정적인 영향과 트럼프의 관세정책, 미 경기 침체 우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를 일주일 앞둔 시점에서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무역 상대국에게 재차 압박을 가하며 주가 변동성을 높일 수 있어 보인다. 미 재무장관은 최근 국가별로 관세율을 다르게 매길 것이라 밝혔는데, 이는 관세가 결국 미국이 협상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한 수단임을 재확인시켜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트럼프 관세우려가 정점을 지난 이후에는 미국 감세안, 한국 정치 불확실성 해소와 이후 나타날 경기 부양책 등 주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해석되고 있다. 31일 공매도 재개를 앞둔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4월 상호관세에 대한 우려로 증시에 하방 압력으로 상존하지만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미국 기술주들의 실적과 경제지표들의 견조함이 확인되었음에도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투심이 약화되어 약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보이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심이 개선되고 있기에 반도체, 이차전지 업종을 중심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3.23 17:54

[주간증시전망] 국내증시 추가적 하락할 가능성 낮을 것으로 평가

코스피지수는 전주대비 0.11% 상승한 2566.36포인트를 기록했다. 수급별로 보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3330억원과 3600억원 순매수했지만, 외국인은 2조4000억원 순매도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는 0.90% 오른 727.70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수급별로 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350억원과 1500억 순매수했지만, 기관이 1700억원 순매도했다. 이번주 국내증시의 상승 요인으로는 탄핵심판 선고를 통한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로 보인다. 여기에 더불어 지난 13일 본회의에서 가결된 상법 개정안도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사의 전자 주주총회 도입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기업들의 배당정책 같은 주주환원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하락요인으로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과 미국 경기침체 우려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 거버넌스 재편 움직임은 국제무역 환경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번주 17~21일 개최 예정인 엔비디아의 인공지능 콘퍼런스 ‘GTC 2025’도 시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하반기 출시 예정인 블랙웰 울트라와 차세대 그래픽카드 루빈에 대한 정보가 공개될 예정이다. 과거 젠슨 황 CEO의 기조연설 이후 AI 투자 모멘텀이 지속된 사례가 있어 이번 연설도 반도체 및 AI 관련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그간 약세를 보인 국내증시가 추가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 증시에 대한 펀더멘탈 우려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대부분 반영됐으며, 2분기 이후로는 하반기 개선 기대감을 반영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달 말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외국인 투자자들의 시장참여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과 동시에 31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수급 개선이 기대되는 국면에서 대형주가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대형주의 외국인 지분율도 35%로 수급 부담도 낮고 펀더멘털도 대형주가 중소형주보다 긍정적일 것으로 보여 유리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3.16 17:54

[주간증시전망] 상호관세 세부내역 발표에 따라 주가 변동성 예상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1.21% 상승한 2563.48포인트를 기록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주 대비 2.19% 하락한 727.70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코스피시장에서 기관은 878억원 순매수했고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625억원과 2331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이 4109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90억원과 3057억원 순매도했다. 이번 주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지난달 25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 절차를 종결한 이후 사건 쟁점을 검토 중이고, 전직 대통령 탄핵심판 사례를 살펴봤을 때 이르면 14일 선고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탄핵심판 결과에 따라 조기 대선국면으로 접어들면 정책기대로 인한 증시 모멘텀 유입이 가능성이 있다. 국내 증시의 중요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이고, 내수 진작을 위한 추경 및 추가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관세부과 이슈도 지속되고 있다. 미 행정부는 오는 12일 한국을 비롯해 그동안 관세를 면제받아온 국가에 적용하기로 한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를 예정대로 시행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부과가 현실화되며 예방주사를 맞은 상황이고, 미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관세를 별도로 언급했지만 이 또한 한국은 FTA를 근거로 관세 면제요청을 보낸 상황이다. 다행히 미 대통령이 협상카드로 조선업 협력이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 투자 등을 언급한 만큼 오히려 일부업종에 투자 심리가 살아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과 관련된 불확실성은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관세 정책은 결국 협상을 위한 것이라는 관점을 유지되고 있기에 향후 상호관세 세부내역 발표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면 매수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당분간 관세영향이 상대적으로 제한된 헬스케어, 필수소재 등 경기 방어주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3.09 17:09

[주간증시전망] 기준금리 25bp 인하예상

코스피지수는 한 주 동안 2.45% 상승한 2654.58포인트로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도 2.42% 오른 774.65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11~19일 7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였고 원달러 환율은 한 주간 9.20원 내린 1434.90원에 거래를 마쳤다. 수급별로 보면 코스피시장에서 기관은 1조1950억원을 순매수했고, 개인과 외국인투자자는 각각 1조1480억원과 3160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시장에서 개인만 3500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기관은 1150억원, 외국인은 1590억원을 매도를 기록했다.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올 초만 해도 국내 증시는 저평가 돼 있었다. 최근 증시가 오르면서 밸류에이션 매력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카드를 다시 꺼내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에도 다음 한 달 안에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목재 등에 대해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했고 연방정부 예산축소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간 트럼프 수혜 업종으로 꼽히던 방산, 조선 업종들도 조정을 받는 모습이였다. 주요 이벤트로는 이번 주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를 주목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엔비디아의 실적에 따라 인공지능 관련주와 반도체주의 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2월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증시가 단기과열 구간에 진입한 상태로 보인다. 그간 소외업종 중심으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유리해 보인다. 실제로 중국 한한령 해제소식이 전해지며 오름세를 보이는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화장품 업종에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이다. 업종별 순환매가 뚜렷한 상황 속에서 그동안 수급이 유입되며 강한 상승세를 보였던 조선, 기계, 인터넷, 제약바이오 업종의 추격 매수보다는 조정 시 매수 전략과 반도체, 자동차, 2차전지업종같은 소외 업종 중심의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2.23 17:44

[주간증시전망] 상호관세카드애 업종별 희비가 엇갈릴 가능성 높아

코스피지수는 한주동안 80.4포인트(3.2%) 상승하며 2591.05포인트로 장을 마쳤다. 14일에는 장 중 2600선을 도달하기도 했다. 코스닥지수 한주동안 16.2포인트(2.2%) 상승하며 756.32포인트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카드를 꺼내 들었지만, 시장은 협상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모습이다.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도 3월 말까지 협상 여지를 열어둔 만큼 국가 간, 업종별 희비가 엇갈릴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번주는 관련 뉴스에 따라 특정 업종이나 테마주로 자금이 쏠릴 가능성이 커 보인다. 급 물살을 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종전협상, 국내 탄핵심판 절차 등에 따라 관련 주가들이 급등락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 이벤트로는 9일 공개되는 1월 FOMC 회의록도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파월 연준의장을 비롯한 연준 위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와 이민정책에 따라 물가가 다시 상승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국내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마무리된 만큼 앞으로 실적 전망치를 따져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다행히 건설, 기계, 디스플레이, 방산, 운송, 조선, 통신 업종은 연간 이익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고 있다. 관세 정책에 따른 단기 주가변동성이 시장에 저가매수 기회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는 상황에서 이슈에 따라 가격 메리트가 부각된 종목을 사들이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여전히 글로벌증시 대비 저평가 영역에 위치한 코스피지수의 밸류에이션이 정상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단기적으로 가격 메리트가 있는 저평가 대형주들로 순환매장세가 진행될 가능성을 보고 대응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2.16 18:17

[주간증시전망] 관세 이슈에 주목 필요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4.55p(0.2%) 오른 2521.92에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이 기간 개인은 3617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125억원과 2650억 원 순매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나서자 설 연휴 직후 크게 출렁인 국내증시는 안정을 되찾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3일 캐나다 총리,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한 뒤 관세부과 시점을 한 달 미루는 내용의 협상안을 내놓았다. 이후 관세 전쟁이 당장 현실화되지 않은 것이라는 기대감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의 방한이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주에도 가장 주목해야 할 이슈는 관세 이슈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언급하면서 불씨가 재점화되었고, 10일이나 11일, 상호 관세에 대해 발표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앞으로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이 어떤 양상으로 흐르는지 지켜봐야 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이 10일 이전에 협상에 나설 수 있을지가 관건이며 앞서 중국은 미국의 관세 부과에 반격에 나섰다. 미국의 관세 정책에 반발하며 오는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 일부에 10~15%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주도 미국의 경제지표에도 주목해야 한다. 12일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된다. 13일에는 미국 1월 생산자물가지수, 14일에는 미국 1월 소매판매 지표가 발표될 예정이다. 관세전쟁이 수출 주력 제품에는 부담으로 작용하지만 제품이 아닌 소프트웨어와 엔터 업종에 대한 기대는 유효한 상황이다. 최근 외국인 매수세도 소프트웨어, 미디어, 교육 엔터 업종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에서도 소프트웨어 업종이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시작했다. 특히 데이터분석 기업 팔란티어는 4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해 주가가 20% 넘게 상승세를 보였다. 여기에 미국의 수혜가 되는 조선, 방산, 전력기기 업종도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2.09 17:29

[주간증시전망] 미국 증시의 변동성 확대 활용 필요

지난 1월 31일, 코스피 지수는 0.77% 하락한 2517.37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설 연휴 국내 주식시장이 휴장한 사이 딥시크 쇼크, 빅테크의 실적 발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동결로 이벤트가 반영됐다. 수급별로 보면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은 1조902억원과 기관도 199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이 1조1179억원을 순매도하며 장중 한때 2500선이 붕괴하기도 했다. 코스닥 지수는 728.29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06억원과 28억원을 순매수했지만, 개인은 283억원을 순매도를 기록했다. 지난주 딥시크의 등장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 1월 마지막 거래일에 딥시크 쇼크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직격탄을 날리면서 외국인 매도세가 두 종목에 집중되었다. 삼성전자는 2.4%, SK하이닉스는 9.9% 하락했다. 그동안 AI 인프라 산업을 독점하다시피 한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분석으로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반도체 주가 큰 조정을 맞았다. 여러 논란에도 딥시크는 비싼 고사양칩을 사용하지 않아도 수준 높은 AI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딥시크 쇼크로 주식시장의 주도주 변화 가능성도 감지되고 있다.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메타플랫폼스와 애플, 세일스포스 등 클라우드, AI 응용 기업이 주목받았고, 국내 주식시장에서 반도체주가 하락할 때 NAVER, 카카오, 한글과컴퓨터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딥시크 AI 모델의 뛰어난 성능을 감안하면 저사양 HBM을 활용한 AI학습모델의 저변이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보여 AI 관련 소프트웨어, 서비스의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모습이다. 이로 인해 국내 증시의 변동성이 확대된다면, 비중을 늘리는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여전히 코스피가 저점수준에 머물러 있고 딥시크로 인해 코스피지수의 단기 충격을 불가피했지만 미국 증시의 변동성 확대는 오히려 신흥국이나 아시아 증시에 기회가 될 수 있기에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2.02 17:16

[주간증시전망] 미 관세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업종으로 대응 필요

코스피 지수는 전주 대비 0.31% 상승한 2523.55포인트를 기록했다. 수급별로 보면 유가증권 시장에서 개인은 1조2756억원 순매수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891억원과 8253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 지수도 0.95% 상승한 724.69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45억원과 1490억 순매수했고 개인이 1203억원 순매도했다. 미 노동부는 지난 15일 12월 CPI가 전월 대비 2.9% 올랐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추정치에 부합하는 수치다. 근원 CPI는 3.2% 올라 추정치인 3.3%을 하회했으며 CPI 발표 이후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되살아났다.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이 있다. 취임과 동시에 행정명령 서명 가능성을 예의주시하며 단기 변동성 확대를 전망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첫 날 100건 이상의 행정 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공언했는데 실제로 이뤄질 경우 정책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세부적으로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에 관세를 부과할 것인지 여부가 중요하게 보여 진다. 트럼프 당선인은 매월 2~5%의 점진적 보편관세 부과를 고려하는 등 관세 부과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할 수 있어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진다. 여기에 일본과 미국의 통화정책 발표도 확인해 봐야 된다. 오는 23~24일 일본은행의 1월 금융정책결정위원회가 열릴 예정이다. 최근 우에다 가즈오 총재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어 일본은행의 입장 발표에 따라 단기적으로 증시에 반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22일 기아와 LG디스플레이, 23일 SK하이닉스, 24일 LG에너지솔루션이 작년 4분기 실적을 공개한다. 이번주는 트럼프정책과 협력하거나 관세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업종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단기적으로 조선, 방산, 엔터테인먼트, IT 장비, 제약바이오, 증권업종을 위주로 대응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1.19 17:31

[주간증시전망] 순환매 장세 이어질 듯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3.03% 상승한 2515.86포인트롤 기록했다. 코스닥지수도 1.72% 상승한 717.89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은 1조4000억원 순매수했고, 기관과 개인은 각각 1조6500억원과 2600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이 7500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200억원과 3200억원 순매도했다. 지난주 그동안 대내외 불확실성을 선 반영하며 저평가였던 코스피시장에서 삼성전자 실적발표 등 불확실성 변수들과 원달러 환율 정점을 확인하면서 반등세를 보였다. 그간 매도세였던 외국인 투자자들도 지난 6~9일 4거래일 연속 순매수하면서 코스피지수는 지난 12월 3일 후 이후 한 달여 만에 2500포인트대로 안착했다. 이번주 다수의 이벤트가 있지만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보여진다. 포트폴리오 조정 과정에서 그동안 외국인 투자자들의 외면으로 국내증시는 극심한 저평가 영역이 있었지만 현재 코스피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되고 있는 모습이다. 14일 미국 12월 CPI와 16일 중국 산업생산과 소매판매지수를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금리인하 속도 조절에 나서고 있지만 한국은 금융안정과 경기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16일 예정되어 있는 한국은행 금통위의 금리 향방도 중요해 보인다. 13일~16일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가 열린다. 국내 다수기업이 참여하는 만큼 이슈별 종목 장세가 예상된다. 최근 중국과 인도, 미국에서 감염병 확산으로 관심도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의 취임식 같은 불확실성을 앞두고 국내 증시에서는 주도주의 상승보다는 순환매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저점을 지나고 있는 반도체, IT 장비 업종은 물론이고 중국 소비 관련 업종인 음식료와 화장품도 매수 관점에서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1.12 18:05

[주간증시전망] 국내 기업들의 실적 전망 하향 분위기 고려해야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1.54% 상승한 2441.92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했다. 지수는 지난해 마지막 거래일과 올해 첫 거래일에 연일 하락하며 2400포인트선을 하회했다. 지난 3일 지수는 하루에만 42.98포인트 상승하며 2440포인트선까지 급등했다. 이는 시진핑 주석이 신년사에서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 실시를 천명하며 중국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유입되었고 정유, 석유화학, 엔터, 여행업종 등 중국 관련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앞으로 국내외 기업들의 4분기 실적 시즌이 시작된다. 연초를 맞이해 기업들의 실적변화에 투자심리가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측되며 국내에서는 기업들의 실적 전망 하향이 이어지고 있는 분위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시가총액 상위 업종인 반도체 업종에서의 하향 영향이 큰 가운데 타 업종에서 실적 반등 신호가 포착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으로 보인다. 고환율 수혜를 입을 수 있고 높은 수익성을 통한 실적확보가 가능한 기업군을 중심으로 대응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8일 삼성전자의 2024년 4분기 잠정실적이 발표된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컨센서스를 하회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국내 증권사들은 삼성전자의 실적을 하향하고 있다. 수요가 시장 예상치보다 부진해 메모리 가격하락 및 재고 조정이 지속되고, 경쟁 심화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분의 부진이 예상된다고 보고 있다. 오는 7~10일 열리는 CES 2025는 시장의 기대요인이다. CES 2025에서 AI가 접목된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이 소개될 예정이다. AI가 적용된 디지털 헬스케어, 로봇 기술 기대감에 관련주의 단기 모멘텀으로 유효해 보인다. 코스피 2400포인트선은 12개월 PER 8.16, PBR 0.79배 수준이다. 이미 선반영된 정치불안, 반도체 실적 우려 등 대부분의 불안요인이 반영된 지수대로 보인다. 코스피지수의 변동성 확대는 비중확대 기회로 활용해 실적 대비 저평가된 업종이자 낙폭과대 업종인 반도체, 자동차, 기계, 2차전지, 중국 소비주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1.05 16:26

[주간증시전망] 낙폭이 과대한 업종에 관심 필요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1.28% 하락한 2404.77포인트를 기록했고, 코스닥 지수는 2.69% 하락한 655.97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기관은 5207억원 순매수했고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8998억원과 157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2343억원과 747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이 2856억원을 매도했다. 지난주 국내증시는 미 국채 10년물 금리의 급등세와 원달러환율이 1460원선을 돌파하며 장중 2400포인트가 깨지는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지수는 정치적 리스크로 인해 원화가 약세를 보이며 수급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고 코스닥지수도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세를 보였다. 그동안 계엄사태와 수출성장 둔화 우려 등으로 억눌려 있던 국내 증시가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바닥에 근접해 있는 모습이다. 연초에 2025년을 대비하며 수익률을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기에 밸류에이션이 하단에 근접한 코스피시장이 부각될 수 있는 시기로 보인다. 주요지표를 봐도 내년 1월 1일 발표되는 한국 수출입 동향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유럽도 경기부양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데다 최근 11월 미국 ISM 제조업지수가 반등하며 국내 수출이 성장하기에 우호적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로 인해 코스피의 펀더멘털과 실적을 향한 불안심리를 잠재울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2개월 주가수익비율 8.2배, 주가순자산비율 0.8배 수준에서 선 반영된 측면이 있는 정치 불확실성과 실적우려가 된다 해도 이미 저평가 구간으로 진입한 상황으로 보여 진다. 이 지수구간 전후에서 지지력 점검 이후 반등시도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해 보며 업종으로 실적 대비 저평가되고 낙폭이 과대한 업종인 반도체, 바이오, 금융, 자동차업종에 관심을 가지고 대응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4.12.29 21:49

[주간증시전망] 반도체, 음식료, 화장품, 제약바이오 비중 확대가 바람직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2.73% 오른 2494.46포인트로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조7681억과 3346억 순매도했고, 기관은 1조6235억 순매수했다. 지난주 계엄령선포 이후 극대화되었던 정치적 불확실성은 어느정도 완화된 상황에서 기관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순매수세가 유입된 점이 증시의 하단을 지지해줬다. 여기에 금투세가 폐지되면서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코스닥 내 중소형주들을 중심으로 회복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었다. 또 중국정부가 내수진작을 위해 소비 진작책들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되는 점도 수혜가 기대되는 화장품, 음식료, 엔터 등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14일 두 번째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재석 의원 300인 중 찬성 204표로 가결되면서 윤 대통령의 직무가 즉각 정지되었다. 이로 인해 정치적 불확실성이 시장에 조기 반영된 만큼 해소 기대감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오는 17~8일 예정된 미국 FOMC 결과와 중국 경기 부양책 세부내용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과거 사례에서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한 주가 영향은 대부분 단기적 이슈였고, 중장기적 주가의 방향성은 글로벌 경기 방향성이 좌우했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미국 FOMC에서 추가 금리 이하에 나설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1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치에 부합함에 따라 12월 금리 인하 기대가 한층 높아지는 모습이다. 9일 중국 중앙정치국회의에서 완화적 통화정책 및 이구환신 등 경기부양책이 언급되며 중국 소비 관련주가 강세를 보인 바 있다. 여기에 추가로 구체적인 경기부양정책이 발표될 경우 중국관련 소비주의 움직임을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시장은 비교적 확실한 수혜가 기대되는 개별 업종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정치적 불확실성이 유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배당 성향이 높고 개별 이슈가 있을 업종인 통신, 반도체, 음식료, 화장품, 제약바이오 비중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4.12.15 19:02

[주간증시전망] 탄핵과 관련한 정치적 불확실성 지속 될 듯

코스피 지수는 한주간 1.13% 하락했고, 코스닥 지수도 2.49% 하락하며 한주를 마무리했다. 이는 계엄 후폭풍 영향이다. 시장은 우려했던 것 보다는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개인과 외국인투자자의 매도세가 거셌다. 불확실성이 커지자 개인은 1조8426억원과 외국인은 2434억원 규모로 순매도했다. 기관이 1조8193억원어치를 사들였지만, 지수 하락을 막지는 못했다. 이번 주에도 탄핵과 관련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과거 탄핵정국을 참고하면, 증시는 탄핵안이 통과된 후 오히려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탄핵소추안이 국민의힘 불참으로 불성립된 만큼, 이번주에도 여진이 이어질 가능성은 커 보인다. 대외적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인플레이션 감축법 축소, 대중 반도체 규제 같은 정책 리스크가 상존해 있어 긍정적인 상황은 아니다.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되더라도 외국인투자자들이 대규모 매수세를 보일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이는 모습이다. 미 연준의 금리 결정이 올해 한 번 더 남아 있는 상황이다.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는 11일과 12일 연달아 발표될 예정이다. 결과에 따라 17~18일 진행되는 FOMC에서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지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2일 마무리되는 중국의 중앙경제공작회의는 내년 양회를 앞두고 중국의 성장목표와 경기부양책 같은 경제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자리다. 내년 경제성장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이 어떻게 나오는가에 따라 내수부양에 대한 기대감으로 중국 소비 관련주가 주목받을 가능성이 있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앞으로 증시는 탄핵 이슈보다는 증시 펀더멘털과 대외 여건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지금 이 시점에 매도하는 것은 실익이 없어 보이고 실적 대비 저평가된 종목과 반도체 자동차 기계업종 같이 낙폭이 컸던 종목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4.12.08 18:04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