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이 된 '동학농민혁명기록물] (51) 죄인군물성책과 물금첩기
 △죄인군물성책(罪人軍物成冊) 「죄인군물성책(罪人軍物成冊)」은 1894년 11월 동학농민군 토벌 과정에서 확인한 동학농민군 명단과 물자를 기록한 자료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크기는 25×27cm이다. 이 자료는 「친군경리청장졸성책(親軍經理廳將卒成冊)」, 「선봉대장진배행장관좌목(先鋒大將陣陪行將官座目)」, 「친군장위영장졸실수성책(親軍壯衛營將卒實數成冊)」, 「교도소출주장병성책(敎導所出駐將兵成冊)」, 「본진별군관차출기(本陣別軍官差出記)」, 「창의인명록(倡義人名錄)」, 「죄인록(罪人錄)」 등과 함께 『각진장졸성책(各陣將卒成冊)』으로 합본되어 1996년 『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에 실렸다. 이 자료에는 1894년 11월 16부터 11월 26일 사이에 물리친 동학농민군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백정복(白正福), 고영만(高永萬), 이복만(李福萬), 최도수(崔道水), 김자근봉(金者斤奉), 김순천(金順川), 이정천(李正川), 민성심(閔成心), 호한성(扈漢成) 총 9명이다. 이들은 모두 2004~2009년 사이에 활동한 국무총리소속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로 등록되었다. 다음으로 관군이 이들을 격파한 후에 획득한 군물(軍物)이 기록되어 있다. 총 35자루, 창 80자루, 철환(鐵丸) 3두(斗), 화약 100근, "대선생신원기(大先生伸冤旗)"라고 적혀 있는 거소위대장기(渠所謂大將旗) 2기(旗), 영기(令旗) 1쌍, 반낭(飯囊) 18건, 대장석(大將席) 1건, 환도 5자루, 동학농민군 지도자가 탔던 백마 1필, 소 1쌍, 장이(長耳) 1필, 엽전 100냥, 홍의장삼(紅衣長衫) 1건, 뇌장(雷杖) 하나 등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이들은 적어도 100여 명 이상의 동학농민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적지 않은 무장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선생신원기(大先生伸冤旗)라고 적혀 있는 대장기를 지닌 것으로 보아 동학교단의 교조신원운동의 연장선상에서 활동을 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동학농민군 개별 부대의 무장 상태 및 지향을 엿볼 수 있는 점에서 매우 소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물금첩기(勿禁帖記) 「물금첩기」는 1894년 관군 측이 동학농민군 진압 과정에서 체포하거나 침탈하지 않아야 할 사람들을 정리해 놓은 명단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크기는 25×28cm이다. 이 자료는 「친군경리청장졸성책(親軍經理廳將卒成冊)」, 「선봉대장진배행장관좌목(先鋒大將陣陪行將官座目)」, 「친군장위영장졸실수성책(親軍壯衛營將卒實數成冊)」, 「교도소출주장병성책(敎導所出駐將兵成冊)」, 「본진별군관차출기(本陣別軍官差出記)」, 「창의인명록(倡義人名錄)」, 「죄인록(罪人錄)」 등과 함께 『각진장졸성책(各陣將卒成冊)』으로 합본되어 1996년『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에 실렸다. 물금첩기(勿禁帖記)는 다른 관사 혹은 외부로부터의 침탈을 방지하기 위해 발급해 주는 이른바 “물금첩(勿禁帖)”의 발급 내역을 기록해 놓은 문서인데 “물금첩(勿禁帖)”은 동학농민군과 관군 양쪽에서 모두 발행하였다고 한다. 일명 “물침표(勿侵標)”라고도 한다. 여기에서의 「물금첩기(勿禁帖記)」에는 관군에서 발급한 내역이 수록되어 있다. 종이에 고을의 이름, 면(面)의 이름, 동(洞)의 이름, 마을의 이름, 해당자의 이름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를테면 “무안(務安) 일로면(一老面) 인의산(仁義山) 이치옥(李致玉) 이치순(李致純) 수성장(守城將) 정규섭(丁圭燮)”, “공주(公州) 노성소삼면(魯城少三面) 가절리(佳節里) 윤참봉(尹參奉) 형제(兄弟)” 등으로 기록되어 있어 각 고을별, 면별, 마을별 침탈되어서는 안될 사람들의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관군에 의하여 동학농민군으로 지목되지 않고 보호를 받아야 할 인물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공주(公州) 요당면(要堂面) 신성리(新城里)”라고 기재된 경우 경우는 마을 전체가 침탈 대상에서 제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자료에는 충청도 공주, 노성, 임천, 유성, 온양, 아산, 진천, 청안, 부여, 진잠, 천안, 연기, 문의, 면천, 보령, 전의, 정산, 청주, 서천, 한산, 충주, 전라도 익산, 여산, 무안, 해남, 진도, 영암 등에 발급한 물금첩의 내역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해당 지역에서 동학농민군 진압을 위하여 남하한 관군이 끼친 영향력의 정도를 알 수 있다. 또한 동학농민군과 구별되거나 동학농민군에 대척점에 서 있었던 인물 내지 마을들의 내역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수성장(守城將)의 직책을 가지고 있던 인물들이 동학농민군에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을 것이다.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동학농민혁명기록물 중에는 이 「물금첩기(勿禁帖記)」 말고도 1894년 11월 나주목에서 발급한 「홍우전물침접(洪祐銓勿侵帖)」, 1894년 12월 무안군에서 발급한 「물침첩(勿侵帖)」, 남평현감이 발급한 「이정돈물침첩(李廷燉勿侵帖)」 등도 있다. 이와 같은 각종 “물침첩(勿侵帖)” 및 「물침첩기(勿禁帖記)」는 동학농민군 활동에 가담하지 않았던 인물 및 마을들을 중심으로 동학농민혁명 당시 향촌 사회의 동향을 알려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유바다 고려대 교수 유바다 고려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