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7 07:57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기획

[세계기록유산이 된 '동학농민혁명기념물'] ②동학농민군 유광화 편지

번거로운 인사말은 접어두고 동생 광팔 보시게 (際煩舍弟光八卽見) 나라가 환난에 처하면 백성도 근심해야 한다네 (國之患難民之所患) 내가 집을 나와 수년을 떠돌아다니며 집안일을 돌보지 않았으니 (余出家逗遛於數年不顧家事) 자식된 도리를 다하지 못한 것이네 (固然不似子道也) 광팔이 자네가 형 대신 집안을 돌보고 있으니 다행이라 하겠네 (汝光八兄代任齊家爲之幸矣) 우리가 왜군과 함께 오랫동안 싸우는 것은 은혜에 보답하고자 함이라네 (與之倭軍屢日戰之所以報恩之冡也) 그러나 형편이 극히 어려워 (然而事勢極難故) 하늘을 이불삼고 땅을 자리 삼는 고초가 이루 다 말할 수 없다네 (天衾地席之苦楚則不可狀也) 전에 보내 준 얼마간의 재물은 유용하게 썼다네 (囊者遣財多少要需之) 사정이 어려워져 또 한 번 돈과 비단을 청하니 살펴 주길 바라네 (近況極甚於前故更請錢帛此便通察付送之) 또한 매우 급한 일이라네 (燋眉之急也) 죽고 사는 것은 나라의 운명과 함께하는 것일세 (死生縣命國運) 뒷일은 자네에게 부탁하겠네 (後事所託於昆弟) 예를 갖추지도 못했네 (摠摠不備禮) 갑오년 늦가을 형 광화 (甲午 晩秋 兄 光華) 이 편지는 1894년 전라도 나주에서 동학농민군으로 활동한 접주 급의 지식인 유광화(劉光華)가 고향 집에 있는 동생 광팔(光八)에게 보낸 한문 편지이다. 유광화는 1858년 4월 15일 나주 다도에서 출생한 인물로, 유몽렬과 김해김씨 사이에서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해 부모를 봉양하는데 온힘을 다했으며, 학문에도 정진해 문장가로 이름을 날렸다고 알려졌으며 성격도 올곧아 불의를 용납하지 않았다고 한다. 유광화는 1894년 37세의 나이에 다섯 살 배기 아들과 갓 태어난 아들을 둔 아버지였음에도 동학농민혁명에 직접 참여하였다. 그는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 과정에서 동학농민군 주력이 공주를 거쳐 서울로 북상할 때 여기에 참여하지 않고, 손화중․최경선의 동학농민군에 합류하였다. 유광화는 이 과정에서 동학농민군의 군수물자를 마련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던 것으로 보인다. 1894년 여름부터 동학농민군과 나주 수성군 사이에 벌어진 나주 공방전이 광주에 근거지를 둔 농민군 지도자 손화중, 최경선의 지휘를 받아 진행되었다. 당시 유광화는 최경선 휘하의 광주 포에 소속되어 있었다. 최경선 부대에서 활약하였던 유광화는 9월 2차 봉기 때 전봉준과 함께 공주로 북상하지 않고 손화중․최경선 등과 협력하여 일본군의 해상상륙에 대비하였다. 공주로 북상하였던 전봉준의 주력이 패전하여 장성 갈재에서 해산하고 은신하게 되자, 광주의 손화중․최경선 부대도 1894년 12월 1일에 군을 해산하고 철수하였다. 이때 유광화도 최경선과 함께 남평을 점령하고 화순으로 이동하였으나, 12월 10일 화순 도곡에서 관군의 추격을 받아 전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유광화가 동생 광팔에게 보낸 이 편지는 전투가 진행되던 1894년 10∼11월경(늦가을)에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 급한 전쟁의 상황에서 동생에게 보낸 유광화 편지는 비록 짧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당시의 상황을 알려주는 중요한 기록으로, 위기에 빠진 나라를 구하기 위해 앞장서서 일어났던 농민군의 군자금 모금 상황 등이 잘 반영되어 있다. 또한 편지에서 ‘나라를 위해 자신이 가사를 돌보지 않고 몸을 바친다.’는 뜻을 거듭 드러내고 있어, 당시 농민군 지도자들이 어떠한 의식을 갖고 혁명에 참여하였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유광화 편지는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동학농민군의 몇 안 되는 기록 중 하나로, 한문으로 작성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유광화는 유교적 또는 성리학적 사상을 가지고 있는 지식인이었다. 유광화와 같이 농민들이 주를 이루었던 동학농민군에도 상당수의 지식인들이 참여했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생사가 오가는 전쟁통에서 쓰인 짧은 편지이지만, 자료에 드러난 내용을 통해 당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농민군들의 실제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편지에서 유광화가 혁명에 직접 참여하며 집에 있는 동생에게 활동 자금을 보내달라고 하여 당시 농민군들은 모자라는 활동 자금을 개인적으로 조달하는 경우가 많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전쟁 중에라도 부호를 약탈하거나 민폐를 끼치지 않기 위한 농민군의 합리적인 방편이었을 것이다. 전에 보내 준 얼마간의 재물은 유용하게 썼다네.’의 표현을 통해 유광화는 이전에도 동생에게 재물을 조달받은 적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동학농민군은 최대한 자신들이 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자발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등 매우 합리적인 방법을 강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편지 내용 중 ‘왜군과 오랫동안 싸우는 것은 은혜에 보답하고자 함’ 이라는 표현은 당시 동학농민군의 항일의지가 얼마나 강했던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와 함께 ‘하늘을 이불삼고 땅을 자리 삼는 고초가 이루 다 말할 수 없다네.’라는 표현에서는 당시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농민군들의 상황을 단적으로 느끼게 한다. 동시에 유광화라는 사람이 얼마나 문학적인 감수성을 지니고 있었던 인물이었는지도 짐작케 한다. 일본군과의 전투를 앞두고 하늘을 이불 삼고 땅을 자리 삼을 수밖에 없었던 당시 동학농민군의 절박하고 애통한 마음이 고스란히 잘 표현되어 있다. 짧은 편지이지만 동학농민혁명의 현장을 생생히 전해주고 있다. <동학농민군 유광화 편지>는 동학농민군이 동학농민혁명 전투과정에서 직접 작성한 편지 원본이라는 점에서 동학농민혁명 관련 기록물 중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 이 편지는 1995년 전남대 이상식 교수의 소개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으며, 유광화의 후손이 2021년 기증하여 현재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 소장되어 있다. 이 편지는 2022년 문화재청의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23년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될 때 대표적인 기록물로 목록에 포함되었다. /이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 이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

  • 기획
  • 기고
  • 2024.05.23 14:59

[참여&공감 2024 시민기자가 뛴다]백 가지색, 백 가지 가치를 만든다

월초부터 마음이 조급해지는 5월이 지나가고 있다. 5월 20일을 넘기니 ‘아! 올해 5월도 잘 넘겼구나!’ 안도의 한숨이 나올 정도다. 필자는 아이를 키우며 문화예술 분야에서 일하는 ‘워킹맘’인데, 4~5월은 부쩍 챙겨봐야 할 문화예술 현장이 많고, 사업 진행을 위한 출장과 회의 횟수가 증가하는 때이다. 더불어 어린이날과 어버이날, 스승의날 등 챙기지 않으면 마음 불편한 기념일이 줄줄이 있고, 학부모 참관수업에, 딸아이 발레 경연대회까지 달력에 일정이 빼곡하다. 바쁜 일정에 마음이 급하지만, 어느 하나 포기할 수는 없으니 일도 하면서 가족도 챙기는 일석이조 방법이 주말에는 가족 동반 문화예술 현장이다. 주로 초등학교 저학년 딸아이와 함께 하는데 횟수가 늘어나면서 의도치 않게 우리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예술 사업의 차별성과 딸아이가 그 현장에서 받는 영향을 목격하게 된다. 물론 문화예술이 수요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성향과 경험에 따라 매우 천차만별이어서 필자의 사례만으로 일반화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으나, 개인적인 심상은 “누구나 문화예술을 경험하고자 한다.” “좋은 예술은 수요자(관객)을 가리지 않는다”이다. 딸아이는 반응이 확실한 어린이 수요자이다. 필자를 포함한 대다수의 부모들이 예술을 통한 교육효과를 기대하는 하기 때문인지, 어린이를 타깃으로 하는 문화예술사업은 각 기관에서 ‘효자사업’으로 인정받을 만큼 반응이 좋다. 특히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참가를 위해 사전 신청 관문을 통과해야 할 때도 있다. 딸아이도 가장 선호하는 것이 ‘문화예술교육’ 분야이다. 에너지 넘치는 어린이들이 관람 예절을 지키며 조용히 공연을 보거나, 사뿐사뿐 걸으며 (도대체 무슨 의도인지 알 수 없는) 미술 전시를 보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일까. 그나마 직접 악기를 연주하거나, 신나게 춤을 추고, 찢고 붙이고 그리는 것이 행복할 것이다.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사업 중 미술 분야는 그림을 그리거나 색칠하고, 자르고 붙여서 무엇인가 완성하여 결과물을 남기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과물까지 있어 선호도가 높다. 그런데 이런 미술 관련 교육 사업은 양적으로는 증가한 것으로 보이나, 다양성 면에서 유사한 사업이 중복되는 등 아쉬움이 크다. 박물관, 미술관에서 만나는 어린이 체험 프로그램도 유사한 형식을 반복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어린이들의 연령이 높아지면서 단순한 색칠하기, 만들기, 퍼즐 맞추기 등 일차원적인 프로그램은 외면받기도 한다. 스마트기기 사용을 통해 첨단 기술과 자극적인 온라인 콘텐츠 속에서 노출된 국민들의 관심을 얻기 위해서는 좀 더 입체적인 시각과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그런 면에서 딸아이가 좋아하는 전주문화재단 팔복예술공장의 예술놀이 프로그램은 차별적인 구성과 운영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술 작가들이 자신의 창작 작업과 연결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그 교육 사업에 참여한 어린이들의 반응과 피드백을 다시 작가 자신의 창작 작업에 접목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순수예술과 예술교육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창작자와 수요자 양쪽에 색다른 경험을 선사한다. 예술가의 창작활동을 놀이로 확장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보다는 과정 중심으로 진행되기 마련인데, 때문에 어린이들은 작가의 생소한 언어를 생각해보며 예술적 감수성을 키워내고, 작가 역시 교육법을 익히고 다양한 관객층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전주문화재단은 올해 전주지역의 13개교 초등학교 4학년 학급단위를 대상으로 180회차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인데, 이런 운영방식은 문화예술교육 기회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장점이 되기도 한다. 필자의 딸아이는 국악, 클래식, 미술 다양한 문화예술을 접하면서 지루할 때는 모든 관심을 끄고 꾸벅꾸벅 졸거나, 재미있을 때는 그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때로는 공연을 잘 보고 난 뒤 간식을 사달라며 조건을 흥정하면서 자신만의 예술 참여 방법을 터득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난 3월에 참가했던 전주-멜버른 어린이 교류 프로그램에서 온라인으로 만난 호주의 또래 친구 소식을 궁금해 한다. 이 사업은 일반적인 문화예술교육사업과 새로운 관점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필자가 흥미롭게 본 부분은 어떤 가시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소통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점이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현장 도착했을 때 두 가지 부분이 인상적이었는데, 먼저 참가 인원이 매우 소수인 점이다. 한국 어린이 1인, 호주 어린이 1인으로 구성된 그룹 두팀 총 4인이 참여하였다. 각국 2명의 어린이들의 색다른 만남과 경험을 위해 약 15여명 남짓의 성인 진행자들 - 예술작가, 촬영팀, 운영인력-이 차분하지만 적극적으로 돕고 있었다. 두 번째는 언어적인 소통을 염려하며 살짝살짝 참견하는 학부모를 밖으로 내보낸 뒤 외부의 간섭 없이 아이들의 순수한 방법만으로 소통을 진행한 부분이다. 아이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어설픈 통역을 해주려 했던 극성 엄마는 스스로가 부끄러울 수밖에 없었다. 양국 어린이들은 서로의 언어를 모르지만 이내 소통이 가능해졌다. 움직임을 보고, 표정을 보고, 그러면서 스스로 취하는 몸의 움직임도 자연스럽고 부드러워졌다. 어떤 사업을 기획할 때 참가자 인원이나 사업의 횟수 혹은 수익이 성과를 판단하는 지표가 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이다. 그러나 문화예술 분야에서 양적 성과만을 강조했을 때는 예술적 차별성과 매력, 감동의 깊이가 감소 될 수도 있다. 예산도 물가상승 비율이나 예술가에 대한 타당한 인건비 측정이 고려 되기보다는, ‘예산은 절감, 성과는 상승’을 요구받기도 한다. 질적 인 성장과 고민은 논의 대상이 되기 어렵고, 목표 성과 도달로 평가받거나 건설적인 변화 모색 마저도 인정받기 어려울 때도 있다, 그런데 이 사업에서는 양적 성과 대신, 어린이들이 자기 자신과 모니터 건너편 호주 친구에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한 시간동안 네 명의 어린이 참가자들은 전폭적인 도움을 받으며 시공간 제한을 넘어서는 소통의 시간을 만끽했다. 반가운 시도였다. 예술 분야에서 이런 과감성을 자주 만났으면 하는데, 혹시 본 사업이 한국의 예산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닌 호주연방정부 국제문화외교예술기금(International Cultural Diplomacy Arts Fund)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면 살짝 서운할 일이다. 프로그램의 운영도 단순하고 순수했다. 어린이들은 세로로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8400km 떨어진 지구 반대편의 친구와 만나고 짝꿍이 되었다. 서로의 몸짓을 보며 상대가 무엇을 표현하는지 관찰하고, 친구의 몸을 따라서 그리고 오려서 한지로 된 그림자를 만들기도 했다. 호주에 있는 친구의 그림자는 이곳 전주에서 바람에 날리기도 하고, 함께 달리기도 하였다. 양국 어린이들은 같은 공간에 있지 않았지만 함께 웃을 수 있었고, 언어가 아닌 상상력으로 서로 소통했다. 어떤 면에서는 어색하고 효율성 낮은 방식으로 볼 수도 있지만, 딸아이는 한 참 뒤에도 호주에 있는 친구 ○○○가 잘 지내는지, 지금 친구가 있는 곳은 겨울로 향하고 있고, 우리가 사는 이곳은 여름으로 가고 있음을 이야기하곤 했다. 그 한 시간의 경험으로 아이는 지금 내가 있는 곳이 아닌 다른 시간과 공간, 타인의 삶을 이해하기 시작한 것이다. 필자는 이런 독특하고 창의적인 프로그램만이 해답이라 외치고 싶은 것은 아니다. 어린이들은 분명 단순하게 인쇄된 만화 캐릭터 도면에 몇몇 색으로 칠하는 색칠 체험이나 풍선을 불기 프로그램도 두 팔 걷고 즐겁게 참여할 것이다. 딸아이는 K-pop 댄스 프로그램이 있다면, 그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최신 아이돌 음악에 맞춰 제일 신나게 즐길 것이다. 필자는 수요자들이 각자의 취향과 상황대로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길 바라는 것이다. 쉽게 할 수 있는 경험도, 이색적인 경험도 저마다의 역할이 있다고 믿고 있다. 문화예술에 있어서는 장르, 소재, 예술가, 방법, 지역 등의 제한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안되는 이유보다 가능한 이유를 찾기를 제안하고 싶은 것이다. △가장 아래에 위치한 여러권의 책에서, 책을 만드는 한 권의 책까지 이런 주제가 마음이 떠오르면 생각나는 어른이 있다. 십여년전 명인명창의 공연 사진집 제작에 대한 자문을 구하고자 만난 출판사 열화당의 이기웅 대표이다. 출판계의 거물이자 우리나라 출판도시의 밑그림을 그린 이기웅 선생은 대책없이 무작정 찾아온 우리 일행을 반가운 손님으로 대해주며, 열화당의 구석구석을 설명해 주고, 명인명창 공연 사진집에 대한 직접적인 조언 대신 ‘책을 만드는 책’ 이야기를 건냈다. 세상에 많은 책이 있지만, 그 쓰임은 모두 다르며, 그래서 만들고자 하는 책이 교양을 위한 것인지, 정보 전달을 위한 것인지, 기록을 위한 것인지 판단이 필요하다 했다. 그러면서 그는 '책을 만드는 책'을 추구한다고 말했다. 모두를 위한 책을 만들기 보다는 책을 만드는 사람을 위한 책을 말하는 것이었다. 가장 아래에 위치한 가쉽, 얕은 지식을 위한 책부터, 가장 중요한 최종 한 권의 책까지 선생은 피라미드를 그리면서 지향하는 바에 대한 고민할 부분들을 짚어주었다. 그러나 하위의 책을 부정하거나 폄하하지는 않았다. 선생의 조언은 책뿐만 아니라 예술 전반에 해당한다. 모두의 예술을 생각하고, 예술가를 만족시키는 예술, 마니아가 선호하는 예술을 생각할 때 '책을 만드는 책'을 떠올린다. 어떤 구분을 통해 한계를 두기보다는, 팔릴 예술이 아닐지라도, 예술가를 키워내는 예술, 관객을 춤추게 하는 예술, 위로하는 예술, 친구가 되는 예술 등 우리 곁에 여러 예술의 쓰임과 역할이 제한 없이 넘쳐나길 기대해 본다. 한지영 (사)전주세계소리축제 콘텐츠운영부장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기획
  • 기고
  • 2024.05.22 13:53

코인으로 돈 잃었는데 세금 내라고?⋯응답하라, 대선·총선 공약

공포와 탐욕의 격한 소용돌이⋯. 올해 초 비트코인은 국내 거래소에서 1개당 1억 원을 돌파하고 일일 거래대금도 12조 원을 넘어섰지만, 최근 중동 지정학적 위기 등에 따라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미국과 홍콩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으로 세계 가상자산 '불장의 불씨'는 당겨졌고, 올 11월 5일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 선거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등 변수는 호재로 작동할 가능성이 높다. 일부 가상자산 트레이더들은 비트코인이 내년 상반기께 신고가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내년 1월 1일부터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거래로 차익을 얻으면, 250만 원을 초과하는 수익의 20%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 2025년 거래분의 차익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며, 2026년 5월에 신고해야 한다. 당초 개인에 대한 가상자산 과세는 지난 2021년 소득세법 개정을 통해 근거를 마련하고 2022년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과세 준비 부족 등의 이유로 2023년으로 한 차례 미뤄졌다. 이후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 등을 중심으로 투자자 보호와 인프라 등이 먼저 정비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반발이 일면서 국회는 소득세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2025년으로 가상자산 과세를 한 차례 더 유예했다. 하지만 가상자산 과세를 둘러싼 논란은 현재 진행형이다. 기본공제 금액과 손익통산·손실이월공제 등이 그것인데,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와 비교했을 때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난 2022년 3월 제20대 대선과 올해 4월 제22대 총선 때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한 공약들이 쏟아졌다. 윤석열 대통령과 여야가 각각 제시했던 공약들이 제대로 이행된다면 이러한 논란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30일 제22대 국회의원 임기 시작을 앞두고, 가상자산 과세 쟁점과 해법을 짚었다. △가상자산 과세 쟁점 '기타소득이냐, 금융소득이냐' 현재 국내법상 '가상자산'에 대한 정의는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특금법 제2조 제3호에서 가상자산은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로 정의하고 있다. 지난 2022년 개정된 소득세법상, 내년부터 양도하거나 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가상자산 소득은 복권 당첨금과 유사한 '기타소득'으로 분리과세될 예정이다. 회계처리 및 세무상 가상자산을 '금융자산'이 아닌 '무형자산'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인데, 지난 2104년부터 비트코인을 비롯한 전환가능한 가상화폐에 대해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인 '재산(Property)'으로 보는 미국과는 대조적이다. 그간 가상자산이 성격상 주식 등 금융자산과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기타소득으로 분류되면서 금융투자소득 과세에 비해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지난 4월 국회 국민동의청원 성립요건을 충족한 '코인 과세유예 청원'에서 청원인은 "제도 개선 및 투자자 보호 장치 마련 후 과세를 검토해달라"며 손익통산 등 금투세와의 과세 형평성 문제를 거론했다. 국내 상장 주식 및 주식형 펀드 등 금융투자소득은 기본 공제가 연 5000만 원인 반면, 가상자산 소득은 기본 공제가 250만 원에 그친다. 이렇다 보니 "세금을 내는데 왜 차별을 두는지 묻고 싶다"고 지적하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특히 손익통산 및 손실이월공제에서 금투세와 큰 차이를 보인다. 금융투자소득의 경우 모든 금융투자상품 간 손익통산이 이뤄지고 5년간 결손금 이월공제를 허용하고 있다. 반면 가상자산의 경우 가상자산 간 손익통산에 한정되고 이월공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정확한 과세액은 국세청 누리집 '거주자의 가상자산소득 과세 개요'에 공지된 소득금액·세액의 계산방법에 따라 정해질 것인데, 필요경비 규모 및 손익 실현 여부에 따라 세무사의 도움이 필요할 정도로 다소 복잡해질 수 있다. 다만 대략적인 예를 들자면 내년에 가상자산에 투자해 1억 원을 잃은 사람이 2026년에 5000만 원을 회복했을 경우, 이 사람의 총손익은 5000만 원 손실이다. 하지만 현행 가상자산 과세가 그대로 시행되면 이 사람의 2026년 연간 손익은 5000만 원의 차익을 얻은 것으로, 250만 원을 공제한 후 4750만 원에 대해 20% 세율이 적용된 950만 원 가량의 세금을 2027년에 납부해야 한다. 이렇다 보니, 손실이월공제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투자자는 "돈 잃었는데 세금을 내야 하느냐"고 반발할 수 있다. △대선·총선 가상자산 공약, 무엇이 담겼나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022년 대선 후보 당시 내놓은 가상자산 관련 공약은 '가상자산을 제도권으로 편입하기 위한 법제화'와 '투자자 보호장치 마련'에 중점을 뒀다. 주요 공약은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 △가상자산 소득 비과세 확대 △ICO(Initial Coin Offering) 단계적 허용 등이다. 먼저 가상자산 관련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제정, △불공정거래를 통한 부당이익을 환수하고 △'디지털산업진흥청'을 설립하며, △디지털자산거래계좌와 은행을 연계시키는 전문금융기관을 지정할 계획임을 밝혔다. 또한 '가상자산 개미투자자 안심투자' 정책공약을 발표하면서 가상자산 소득 기본공제를 주식과 동일한 수준인 연 5000만 원으로 상향 조정할 것임을 공약했다. 당시 윤 대통령은 "코인 수익 5000만 원까지 완전 비과세로 하겠다. 현행 250만 원인 양도차익 기본공제를 주식과 동일하게 상향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과세 문제는 선정비 후과세"라며 "일단 가상자산에 대한 제도·거래 기반을 먼저 구축한 다음에 시간을 두고 봐야 하지 않겠나. 양도소득세 5000만원 면제라는 것은 가상자산 과세가 시작되더라도 더 많은 분이 투자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지난 4월 치러진 제22대 총선에서도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각각 다양한 공약들을 제시했다. 여야가 가상자산 관련 공통적으로 내세운 공약은 시장질서 확립에 중점을 둔 '가상자산기본법' 제정이다. 증권형 토큰(STO) 관련 입법도 연내 마무리 및 신속 추진하겠다는 공약도 유사하다. 특히 여야는 현행 소득세법에 따른 가상자산 투자소득 과세 방안을 개편하겠다는 내용을 공약으로 담았지만, 방법론상으론 차이점이 뚜렷하다. 과세방안과 관련 국민의힘은 '가상자산 법제화 완료 시까지 투자소득 과세 시행 연기 검토'를 약속한 반면, 민주당은 내년 1월부터 우선 과세하되 매매차익 공제한도를 5000만 원으로 상향조정하고 손익통산 및 5년간 손실이월공제를 허용하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국민의힘은 가상자산 현물 ETF에 대한 공약은 없는 반면, 민주당은 '비트코인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현물 ETF 발행·상장·거래 허용'과 '가상자산 현물 ETF 매매수익은 금융투자소득으로 분류과세해 다른 금투상품과 손익통산·손실이월공제를 적용'하겠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만, 대선·총선 공약에서 가상자산을 무형자산으로 볼 것인지, 금융자산으로 규정할 것인지는 명확하게 드러나 있지 않다. △과세 형평성 담보⋯대선·총선 공약 이행이 관건 헌법 제38조.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세의 의무를 진다.' 납세의무는 국방 의무, 교육 의무, 근로 의무와 함께 우리나라 국민의 4대 의무 중 하나다. 가상자산 거래로 차익을 챙겼다면 세금을 내야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다만 가상자산 시장에서 믿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시장 투명성 강화, 금투세와의 형평성 문제 등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투자자들의 조세 저항은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견은 있겠지만, 해법은 이미 나와 있다. 이동건 한밭대 회계학과 교수는 지난 2021년 논문을 통해 "가상자산의 회계상 분류를 기존의 무형자산으로 보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므로 금융자산으로 변경해야 할 것"이라며 "가상자산소득을 금융투자소득으로 분류과세하고, 기본공제 연 5000만 원을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가상자산의 성격에 적합한 새로운 회계기준을 개발해 투자무형자산으로 회계처리'하거나 '무형자산에서 제외되는 자산의 범위에 가상자산을 포함'하는 등의 대안도 제시했었다. 과세 형평성 문제 등 그간 쌓여 온 해묵은 논란은 대선·총선에서 제시됐던 가상자산 관련 공약이 잘 이행된다면 풀릴 수 있다. 결국 제22대 국회에서 관련 법 제·개정을 위한 여야 협치와 합치가 열쇠다.

  • 기획
  • 이용수
  • 2024.05.20 16:17

[세계기록유산이 된 '동학농민혁명기록물'] ①연재를 시작하며

“동학농민혁명은 부패한 지도층과 외세의 조선 침략에 대항하여 정의롭고 평등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민중이 봉기한 사건이다. 이 과정에서 동학농민군은 집강소라는 민-관 협력 거버넌스 체제를 설립하는데 성공했고, 이를 통해 부패한 관리를 처벌하고 부당한 관행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거버넌스는 당시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민주주의의 새로운 실험이었다. -중략-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은 민중이 역사의 주체가 되어 보편적 가치를 달성하고자 전진시켜나가는 역사적 과정을 보여주는 기억의 저장소이다.”(세계기록유산 등재신청서 내용 중) 2023년 5월 10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216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을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조선 백성들이 주체가 되어 자유, 평등, 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지향했던 세계사적 중요성을 인정받게 된 것이다. 등재된 기록물은 총 185건이다. 동학농민군이 생산한 일기와 회고록, 유생들이 생산한 각종 문집, 그리고 조선 관리와 진압군이 생산한 각종 보고서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동학농민군이 직접 생산한 기록물은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농민군이 직접 작성한 편지를 비롯하여 그 최고지도자 전봉준이 작성한 글, 동학 교단의 최고지도자 최시형에 의한 각종 임명장, 그리고 이 사건이 끝난 뒤 동학농민군 자신이 직접 보거나 경험한 내용을 정리한 회고록 등이 있다.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민간기록물은 기록물 생산 주체에 따라 ‘동학농민군을 진압한 사람들의 기록물’, ‘동학농민혁명 견문 기록물’로 구분된다. 1894년 당시 일부에서는 민보군(민병대)을 조직하여 직접 동학농민군 진압에 참여하였는데 그 과정을 일기로 작성한 것도 있고 동학농민혁명이 끝난 뒤 직·간접적인 경험을 정리하여 발간한 문집 등이 포함되어 있다. 진압에 참여한 이유와 진압과정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동학농민운동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던 사람들이 경험하거나 보고 들은 내용 등을 정리해 놓은 기록물도 있다. 대부분 일기체 형식으로 작성되었으며 후일 개인 문집으로 발간되었다. 조선 정부는 정부군과 지방 행정조직을 동원하여 동학농민군을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이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에는 정부의 논의과정, 진압군이 직접 작성한 공문서와 보고서, 진압에 참여한 사람들의 명단, 체포되어 재판을 받은 동학농민군의 판결문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동학농민군 최고 지도자인 전봉준의 재판기록은 동학농민군의 지향과 인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기록물이다. 이들 기록물들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을 비롯하여 고려대 도서관, 국가기록원, 국립중앙도서관, 국사편찬위원회,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연세대 학술문화처, 천도교 중앙총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독립기념관, 고궁박물관, 천도교 중앙총부 등 여러 기관에서 소장 관리하고 있다. 전북일보는 동학농민혁명 130주년을 맞아 2023년 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의 가치와 의미를 들여다본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사장 신순철)과 공동으로 기획한 이 연재물은 등재된 185건 기록물 중 50건을 선정하여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할 예정이다. 대상 기록물은 동학농민군 기록물 10건, 민간진압 기록물 9건, 민간견문 기록물 6건, 조선정부 기록물 25건이다. 현재 국가 지정 문화재로 등록된 관련 기록물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소장 <유광화 편지>와 <한달문 편지>, 고궁박물관 소장 <갑오군정실기> 등 3건이 있다. 동학농민군 자신이 작성한 <한달문 편지>는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여 체포된 한달문이 나주 감옥에서 고향 집의 어머니에게 구명을 요청하면서 보낸 편지다. <유광화 편지>는 동학농민군 유광화가 동생에게 보낸 편지로, 그는 “나라가 환란에 처하면 백성도 근심해야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두 사람은 모두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갑오군정실기>는 동학농민군 핵심 진압부대인 양호도순무영의 설치부터 폐지까지 각급 기관과 주고받은 공문과 보고서를 모아 놓은 기록이다. 최근에도 가치가 충분한 여타 기관이 소장한 새로운 자료들도 적지 않게 발굴되었다. 이 기획에는 신영우 충북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배항섭(성균관대) 김양식(청주대) 조재곤(서강대) 왕현종(연세대 교수) 유바다(고려대) 교수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병규 연구조사부장과 전동근 선임 연구원이 필진으로 참여한다. 이 연재를 기회로 개인 소장 자료를 비롯, 앞으로 전면적인 자료의 심층 조사와 발굴정리 작업이 보다 활발히 추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조재곤 서강대 연구교수

  • 기획
  • 기고
  • 2024.05.16 15:57

[참여&공감 2024 시민기자가 뛴다]'익산에 살아있는 백제의 수호 사찰 제석사지'

'제석사지(帝釋寺地)' 행정구역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247-1번지이다. 제석사지의 위치상 특성은 북고남저(北高南低)의 지형적 형태로 북쪽으로는 미륵산(彌勒山, 430m) 용화산(龍華山, 342m) 시대산(始大山, 229m) 자리하고, 남쪽으로는 미륵산과 용화산에서 발원한 옥룡천, 부상천, 왕궁천이 흐르는 하천 유역의 충적지와 낮은 구릉지에 안정적으로 조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석사는 백제 무왕이 수도를 왕궁평으로 옮기려고 지은 궁궐 근처에 불교의 수호신인 제석천을 중심 불상으로 모신 절이었다. 기록에 의하면 무왕 40년(639)에 벼락으로 절이 모조리 불에 탔을 때 탑 아래 넣어두었던 동판에 새긴 금강반야경과 불사리만은 보존되어 다시 절을 지은 후 보관했다고 한다. 탑터로 생각되는 지역에서 제석사라고 적힌 기와조각이 발견됨으로써 절의 이름이 밝혀졌다. 주목되는 점은 1965년 백제 무왕의 궁터라고 전하는 왕궁평 성안의 석탑에서 발견한 유물과 이곳에서 발견된 유물이 비슷하다는 점이었다. 이처럼 몇 안되는 백제 절터로서 문헌기록에서 절을 지은 시기와 폐허가 된 연대를 알 수 있다는 점, 무왕대의 왕궁평 유적과의 관련성, 백제 유적으로는 처음으로 암막새가 나왔다는 사실로 백제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백제세계유산 왕궁리유적과는 불과 1km 남짓 떨어져 있으며, 미륵사지, 익산 쌍릉, 익산 토성 등 백제와 관련한 굵직한 유적지가 모두 6km 이내에 인접해 있다. 1998년 5월 12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1993년부터 시작되어 8차에 걸쳐 시행된 시·발굴조사 결과의 반영이라 추측된다. 처음에는 사역중심부 중심으로 시굴조사를 시행하였는데 1탑 1금당의 백제의 전형적 가람형식이 확인되어 전면 발굴로 전환되었으며 막새 등 다수의 백제 관련 유물이 발굴되었다. 특히 이곳에서 발굴된 암막새는 백제 사찰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출토된 것이어서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큰 유물이라 하겠다. 더불어 제석사지는 물론 여러 학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현재 건립연대와 폐사 관련 기록이 남아있는 유일한 백제사찰로도 그 가치가 크다. 7세기 중국에서 불경을 기록한 문헌으로 1950년 초반 일본 사찰에서 발견된『관세음응험기』기록에 따르면 백제 무왕은 현 익산지역으로 추정되는 지모밀지로 천도하여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로 제석정사를 축조하였는데 정관 13년(무왕 40년, 639년)에 뇌우로 화재가 발생하여 불당, 7층 부도, 회랑, 승방이 모두 소실되었다고 적고 있다. 그런데 일부 학자들은『관세음응험기』가 정사가 아니고 다른 기록에서는 찾을 수 없다는 이유로 그 기록의 신빙성 자체가 의심된다고 주장하였으나, ‘제석사지 폐기유적지’가 인근에서 확인되었고, 이곳에서 다수의 소조상·연꽃무늬 수막새와 불탄 흔적이 있는 유물을 포함하여 305점의 유물이 발굴되면서 이제는 무왕의 제석사지 경영과 화재 관련 기록은 정설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제석사지는 탁월한 발굴 결과와 고문헌 기록의 고증을 통해 아직 규명되고 있지 않은 과거 백제의 위상과 천도 등의 주요 역사적 사실을 알려주는 주요 유적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현재 제석사지에 방문해보면 이 위대한 유적의 흔적을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제석사지를 방문하려면 좁고 구불구불한 1차선 도로를 지나서 언제 무너질지도 모르는 구 가옥을 몇 채 지나 석부재가 나란히 전시된 장소의 건너편 농작지 옆으로 가야한다. 그리고 승방지, 금당지, 목탑지, 중문 등의 건물지가 복토되어 잔디로 조성된 매우 익숙한 유적지에 도착하게 된다. 도착과 동시에 절터 발굴에서 발견된 석부재의 다양함과 넓게 경계된 사찰 영역표시, 목탑지 위에 덩그러니 남아있는 소나무와 심초석을 보면서 막연히 '이곳이 역사 유적지이고 옛 가람이였구나'하는 느낌을 갖게 된다. 그러나 그것이 끝이다. 제석사지에 대해 비교적 사전지식이 있는 사람은 백제의 독특한 가람구조와 회랑터 그리고 목탑지와 연계한 금당지와 승방지를 찾아내고 비교적 발굴성과가 있다는 동쪽 회랑지와 그 너머에 있는 폐기유적을 확인할 수 있겠으나, 제석사지가 실제로 숨겨놓고 있는 놀라운 백제 건축기술은 현장에 가서도 안내판에 남아있는 사진으로 확인해야 한다. 실지로 제석사지 목탑지 심초석 밑에 숨겨져 있는 13m에 이르는 판축층은 왜 백제의 건축기술이 놀라운 지를 보여준다. 이는 작년 시행된 익산 쌍릉 재발굴에서도 느꼈던 경이로움이다. 물론 이 백제의 토층을 일반인에게 공개하면서 열화나 경화 등의 훼손 없이 상세히 보여주면서 현 상황을 그대로 보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러나 백제의 유적은 땅속에서만 확인이 가능하다는 백제유산의 현재 상황을 계속 확인하는 것 같아 왠지 서글픈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향후 제석사지 종합정비계획에서 기획한 여러 사업과 전시사업이 조속히 추진되어 백제사찰의 생생한 모습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면 한다. /이영일 전북특별자치도 학예연구관(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추진단 파견)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기획
  • 기고
  • 2024.05.15 22:24

[팔도건축기행] 제주목 관아와 관덕정

제주읍성은 조선시대 제주의 중심지였다. 성곽 길이는 3㎞에 이르렀고, 바다 방향을 제외하고 동문, 남문, 서문 등 3개의 문이 있었다. 제주목 관아와 관덕정은 제주읍성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관덕정은 개방적이면서 목사와 판관의 집무 영역 중간지점인 읍성의 중심부에 건립됐다. 내륙지방 정자(亭子)와 누(樓)에서 사례를 볼 수 없는 목사가 행정을 집행하는 관아의 성격을 지닌 건물이었다. 건축의 독특한 평면 형식과 구조, 기단과 월대, 답도의 구성은 광장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고려한 것이었다. 제주목 관아와 관덕정이 자리한 곳은 ‘선덕대(宣德臺)’라는 사대(射臺, 활을 쏠 때 서는 자리)가 있던 장소로 이전부터 광장의 기능을 갖는 곳이었다. 이러한 성격은 조선시대 군사적, 정치적, 사회적 광장으로 기능이 확대됐다. ▲ 조선시대 제주 정치·행정·문화의 중심, 제주목 관아 제주목(濟州牧) 관아는 조선시대 제주지방 통치의 중심지였다. 탐라국 시대부터 ‘성주청(星主廳)’ 등 주요 관아시설이었던 곳으로 추정되고 있다. 제주목 관아는 세종 16년인 1434년 관부의 화재로 건물이 모두 불에 타 없어진 후 바로 역사를 시작해 다음 해인 1435년 골격이 이뤄졌다. 사실상 조선시대 내내 중·개축이 이뤄졌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집중적으로 훼철(毁撤)되면서 관덕정을 빼고는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이 사라졌다. ▲ 일제강점기 제주읍성 해체, 그러나 광장은 남아 제주읍성이 해체되고 내부 공간 구조가 바뀌게 된 가장 큰 요인은 일제강점기 신작로의 개설과 1926년 제주읍성 인근 산지항 축항공사로 해석되고 있다. 산지항 축항을 목적으로 북수구에서부터 서문과 남문 중간지점까지의 성곽을 해체하고 성돌을 공사에 사용하게 된다. 일제강점기 객사와 객사 남쪽 목사의 영역인 상아(上衙) 영역에는 학교와 경찰서 등의 관공서가 설치됐고, 남쪽 판관의 집무처인 이아(二衙)는 자혜의원이 들어서면서 본래의 모습을 잃게 됐다. 읍성의 나머지 구간은 광복 이후 도시 형성과정에 훼손됐다. 도로의 개설, 성곽의 해체로 인해 광장의 물리적 장소성은 약화됐지만, 광장으로의 접근성은 강화됐다. 관덕정 광장은 제주 근현대의 도시 시민광장으로 시민항쟁과 정치, 경제, 문화 활동의 중심지가 됐다. ▲ 발굴로 다시 찾은 역사의 현장 1991년 제주시는 시내 중심가의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해 제주시 삼도2동 43-3번지 일대 200여 평을 지상·지하 주차장부지로 예정하고 사업을 추진했다. 제주시는 이 지역에 대한 매장문화재를 확인하기 위해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에 발굴허가를 받아 1991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제주목 관련 문헌조사와 현장 지표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조선시대의 제주도 읍치 장소인 제주목 관아 지역으로 밝혀지면서 제주시는 제주대학교 사학과에 의뢰해 1998년까지 4차례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전체 발굴을 통해 외대문, 중대문지를 비롯해 이를 축으로 홍화각(弘化閣), 연희각(延曦閣), 우련당(友蓮堂), 귤림당(橘林堂), 망경루(望京樓) 등의 건물터와 유구(遺構)가 확인되고 유물(遺物)도 출토됐다. 결국, 18세기 제주목 관아 건물의 전체 배치가 확인된 것이다. ▲ 기와 5만장 헌와(獻瓦), 제주도민의 손으로 복원 발굴 당시 시굴갱 조사를 통해 조선전기층 아래로 고려시대와 탐라시대 문화층이 자리 잡고 있음이 확인됐다. 제주목 관아지 전역에 고대 탐라국 시대부터 건물이 형성됐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었다. 제주목 관아지는 1993년 3월 30일 국가지정 사적 제380호로 지정됐으며, 발굴과정에서 확인된 초석과 기단석 등을 토대로 ‘탐라순력도’와 ‘탐라방영총람’ 등 당대의 문헌과 자료, 전문가의 고증과 자문을 거친 후 1999년 9월부터 복원사업에 돌입했다. 이 과정에서 제주도민들은 복원사업에 들어가는 기와 5만여 장 전량(全量)을 헌와(獻瓦)했다. 민관(民官)의 합심으로 제주목 관아는 2002년 12월에 1단계 복원 사업으로 제주목사의 집무실이었던 ‘홍화각’을 비롯해 집정실인 ‘연희각’, 연회장으로 쓰였던 ‘우연당’과 ‘귤림당’ 등의 관청 건물과 부대 시설이 복원됐으며, 2단계 복원 사업을 통해 2006년 2월 조선시대 20개의 목 가운데 제주목에만 유일하게 있었던 2층 누각인 ‘망경루’의 복원이 완료됐다. ▲ 병사들의 훈련장 ‘관덕정’ “이 정(亭)을 만든 것은 놀이나 관광이 아니라 본래 설치함이 무열(武閱)을 위한 것이다.” 관덕정은 세종 30년인 1448년 안무사(安撫使) 신숙청(辛淑晴)이 창건한 후 1480년(성종 11)에 목사 양찬에 의해서 중수됐다. 병사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운 정자다. 관덕정은 이후 1599년(명종 14), 1690년(숙종 16), 1753년(영종 29), 1779년(정조 2), 1833년(순조 33), 1851(철종 2), 1882년(고종 19) 보수되는 등 총 7차례에 걸쳐 중수했다. 일제강점기인 1924년 일본인 마에다 요시지(島司 前田善次)가 도로를 내기 위해 보수하면서 15척(454.5㎝)이나 되는 곡선의 처마를 2척이나 줄이면서 가치를 훼손시켰으며, 1969년 10번째 중수에서는 대대적으로 해체해 새로 보수하고 주위에 문을 달아 흰 페인트칠을 하면서 관덕정의 위용은 사라져 버렸다. 관덕정은 해방 후 1948년 9월 제주도의 임시도청으로, 1952년에는 제주도의회 의사당으로, 북제주군청의 임시청사로, 그리고 1956년에는 미공보원 상설 문화원으로 사용되는 등 역사 속에서 자리매김했다. 관덕정은 제주도에 현존하는 건물 중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로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22호로 지정됐다. 관덕정 내부에는 ‘관덕정’과 ‘탐라형승’, ‘호남제일정’의 현판이 걸려 있다. 관덕정의 편액(扁額)은 세종대왕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의 필치였으나 화재로 손실됐고, 현존하는 편액은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이산해(李山海)가 쓴 것이다. ‘호남제일정’은 1882년(고종 19) 방어사 박선양(朴善楊)이 중수하면서 쓴 글씨다. ▲ 도심 속 조선, 열린 문화공간으로 도약하다 최근 제주목 관아 일원에서는 한복을 입은 관광객의 모습을 쉽게 만날 수 있다. 보다 친숙한 문화공간으로 거듭나는 중이다. 5월부터는 야간개장에 돌입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제주목 관아의 역사 문화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알리고, 야간관광 분위기 조성으로 원도심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지난 1일부터 오는 10월까지 6개월간 제주목 관아 야간개장 ‘귤림야행’을 실시하고 있다. 야간개장 시간은 월·화요일을 제외하고 오후 6시부터 오후 9시30분까지다. 오후 6시부터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귤림야행’은 제주목 관아와 관덕정 일원에서 열리며, 야경산책, 야간공연, 버스킹, 수문장 교대의식, 자치경찰 기마대 거리행진, 체험 등을 총망라한 전통문화 복합행사로 마련된다. 정기공연 ‘귤림풍악’은 5월부터 10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진행되며, 전문공연과 클래식, 전통공연, 밴드 등 매월 다양한 공연과 함께 판소리와 재즈 공연도 진행할 예정이다. 김희찬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올해 문화재가 국가유산 체제로 전면 전환되는 만큼 제주에서 선도적으로 국가유산 활용사업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국가유산 방문의 해를 맞아 제주목 관아를 문화유산 활용 대표 야간 관광명소로 육성해 제주유산의 가치가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제주일보 김형미 기자 / 사진 고봉수 기자

  • 기획
  • 기타
  • 2024.05.13 16:16

[뉴스와 인물] 아일랜드 코크시장 '키아란 맥카티'를 만나다

정읍은 한국 근현대사에서 불꽃 같은 도시였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의 횃불을 밝힌 고부농민봉기는 부패하고 무능한 정치권력에 저항한 농민혁명의 시작이었고, 동학농민혁명은 한국 근대사의 서막을 민중들의 힘으로 열었던 세계적인 사건이었다. 무능한 정부를 혁신하기 위한 투쟁이자 외세에 맞선 의로운 전쟁이었다. 정읍시는 2021년부터 새로운 세상, 나라다운 나라를 위해 투쟁하는 전 세계 농민혁명 도시들과 함께 정신과 가치를 공유하는 혁명도시 간 연대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올해는 아일랜드 독립투쟁의 중심도시인 코크(Cork)시와 혁명도시 교류를 시작했다. 제3회 세계혁명도시 연대회의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아일랜드 코크 시장 키아란 맥카티(Kieran McCarthy·49)를 지난 10일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서 만났다. 맥카티 시장에게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반갑습니다. 정읍시에 대한 첫인상이 궁금합니다. “정읍시에서 이번 컨퍼런스를 열기 위해 인적‧재정적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공공 역사와 기념이라는 중요한 영역에서 도시 간 유대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어서 기쁘고 환대와 관심에 정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번 연대회의는 자유와 희생 독립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수백 년 동안의 역사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냈다는 점이 놀라웠습니다.” 아일랜드 코크(cork)시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코크시는 아일랜드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입니다. 22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으며, 가족 중심의 공동체 의식이 중요하고 역사와 자연이 아름다운 도시입니다. 대서양에 인접해 있어 아름다운 일출과 일몰을 맞이할 수 있고 비가 많이 내리는 등 기후의 영향도 큽니다. 특히 코크시와 아일랜드는 스토리텔링을 좋아해 해양 문화를 비롯해 다양한 문화적 영감이 존재하는 곳입니다." 세계 혁명도시 연대회의에 코크시장님께서 참여하시게 된 배경은 무엇입니까? “코크시는 지난해 세계혁명 도시 연대회의 컨퍼런스에 참여했습니다. 당시 굉장히 의미 있고 좋은 행사로 기억에 남았습니다. 무엇보다 공동체 이익을 자신의 이익보다 우선시하는 세계 혁명 영웅들에 대해 배울 기회인 듯해 오게 되었습니다." 올해 세계혁명 도시 연대회의의 주제가 ‘혁명과 평화’입니다. 5개의 세계 혁명 도시들이 모여서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같이 의논하였는데요. 코크시에서는 이와 관련해 특별히 노력하고 계시는 점이 있으신가요? “올해 코크시 공공 박물관은 공식적으로 연계와 국제 협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종류의 연대는 오늘날 세계 도시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인지 궁금합니다. “이를테면 코크 공립박물관에서는 ‘By a Treaty Divided’ 라는 제목의 아일랜드 남북 전쟁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이는 80년 역사 동안 박물관에서 열린 남북 전쟁에 관한 첫 전시였습니다. 아일랜드 남북 전쟁이 얼마나 분열적이고 충격적인지 강조했습니다. 전시회에서는 양쪽 모두를 인정했으며 더 잔인하고 논란이 많은 사건을 회피하지 않았습니다. 이를 통해 아일랜드 남북전쟁에 대한 더 큰 참여와 이해가 가능해졌으며, 그 전쟁의 쓰라리고 비극적인 사건으로 인한 지역적 상처를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코크시가 세계 혁명운동(독립전쟁)의 중심지라고 들었습니다. 정읍시에서 시작한 동학농민혁명과도 유사한 지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분명 유사한 지점이 있습니다. 더 나은 사회, 국가를 위해 보통의 평범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삶을 희생하고 투쟁한 지점입니다. 또한 내일은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과 미래를 향한 기대 등이 닮아 있습니다. 실제로 영국에 대항해 아일랜드에서는 독립전쟁이 일어났습니다. 동학농민혁명도 외세에 맞서 투쟁하는 모습 등이 많이 닮아있습니다.” 아일랜드 한국대사관과 함께 아일랜드 혁명과 관련된 영화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The Wind That Shakes, 2006)’을 서울에서 상영했다고 들었습니다. 영화에 대한 간략한 소개 말씀 부탁드립니다. “1920년대 초반을 배경으로 두 명의 형제가 아일랜드 독립운동에 참여해 평화조약을 맺는데 기여했으며, 자유를 위해 희생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허구의 이야기이지만 West Cork 출신의 헤일즈 브라더스(Hales Brothers)의 실제 이야기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톰 헤일스와 션 헤일즈는 아일랜드 공화국군에서 영국군에 맞서 함께 싸웠지만 남북전쟁에서는 서로 무기를 들고 싸웠으며, 이는 이전 동지와 친구, 가족들 사이에 발생한 분열을 대표합니다.” 혹시 정읍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콘텐츠(영화 등)를 접하신 적 있으신가요?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영화는 본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방금 진행됐던 행사(황토현 헌화 행사)에서 보게 된 영웅들의 조각상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여러 동상 가운데 혼자 손을 들고 있는 어린 소녀가 눈에 띄었습니다. 어쩌면 군중 속에서 길을 잃거나 혁명의 일부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계혁명 도시 연대회의에 대한 전체적인 소감을 듣고 싶습니다. “아주 좋았습니다. 아직은 초기 단계이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특별해질 무언가를 개척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평화와의 연결과 평화에 대한 소명을 좋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화를 향한 연대와 과거를 통해 배우는 지점을 흥미롭게 생각합니다. 물론 혁명은 자유와 미래를 향한 전진의 희망을 주지만, 희생도 가져옵니다. 이번 연대 회의의 주요 메시지가 ‘혁명과 평화’인 만큼, 과거로부터 배우고 미래로 나아가는 것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일랜드 키아란 맥카티(Kieran McCarthy·49) 시장은 1975년 코크시 출생으로 코크대학에서 고고학과 지리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일랜드 역사에 관해 30여권의 책을 썼고, 청소년 교육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2009년부터 코크시의원으로 활동했으며 2021~2022년 미래의 유럽지방의회 대표를 역임했다.

  • 기획
  • 박은
  • 2024.05.12 17:40

김제시 "활력 넘치고 지속 가능한 농촌 만든다"

김제시가 농촌지역의 계획적인 개발을 통한 농촌인구 유지와 지역별 특화발전을 유도하고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지난 4월 준공한 공덕면 두루누리활력센터·용지면 황토빛나눔센터와 함께 총 11개 읍·면에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3개 읍·면(만경, 금산, 금구)에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로써 농촌지역에 필요한 기초생활 기반 확충과 생활서비스 이용 접근성 향상 등 주민 삶의 질을 향상은 물론 정주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김제시가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노력과 성과, 앞으로의 계획을 살펴본다. 농촌공간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김제시는 농촌공간 전략계획 및 농촌생활권 활성화 계획 수립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와 최종 합의를 거쳐 2022년 7월 농촌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20년 단위의 농촌공간 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고 5년 단위의 농촌생활권에 대한 정주여건 개선과 지역공동체 활성화, 경제활력 제고 등을 통해 농촌지역공간 발전을 구상하는 통합적인 지역주도의 농촌발전계획이다. 본 협약으로 김제시는 국비 242억 5000만 원을 확보한 가운데 2022년부터 서부생활권(만경, 죽산, 부량, 청하, 성덕, 진봉, 광활)을 대상으로 2026년까지 5년 동안 국비 포함 총 346억 5000만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아울러, 김제시 동부생활권인 용지면에 형성된 한센인 정착촌 축사 밀집지역의 난개발 요소를 해소하고 정주여건을 개선하는 농촌공간정비사업이 공모에 선정되어 휴·폐업축사 매입 및 철거, 빈집철거, 다목적 체육마당, 마을공동시설, 환경정비사업 등 총 250억 원을 투입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농촌협약의 연계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김제시는 365 희망농촌 구축을 위한 농촌공간 재구성과 농촌다움 회복, 경제활력 기반 구축과 일자리 확충, 주민역량 강화를 목표로 설정하고 지역특성에 맞는 공간전략을 바탕으로 거점시설은 물론 배후마을까지 연계되는 운영체계 조성을 위해 순차적으로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 3월 제정된「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을 통해 농촌지역도 도시와 마찬가지로 장기 계획수립을 바탕으로 공간을 체계적으로 관리·지원할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로써 농촌의 일정 지역을 용도에 따라 구획화(zoning)하는 ‘농촌특화지구’를 도입하여 난개발을 방지하고 주거, 산업지역 등을 여건에 맞게 재배치할 수 있게 된다.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추진 김제시는 읍·면 거주자의 비율이 50%에 육박하는 농촌 도시임과 동시에 초고령사회다. 청년층은 도시로 이주하여 인구감소를 가속화시키고 남아있는 고령인구는 지역경제 및 사회활동을 제한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인구감소로 서비스 수요가 감소하고 농촌 중심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들이 폐업하면서 주민 생활이용에 불편을 겪는 지역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김제시는 관내 모든 읍·면에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시·군역량강화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역주민의 기초생활수준을 높이고 정주여건 개선 등을 통해 삶의 질 향상과 농촌인구 유지 및 지역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은 일반농산어촌 읍·면 지역에 개소당 최대 150억 원의 사업비로 문화, 복지, 보육 등 복합서비스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김제시는 금산면(금산문화복지센터)과 금구면(금구복지관)이 기 완료되어 운영하고 있으며 만경읍이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중에 있다.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은 개소당 40억 원의 사업비로 농촌지역의 새로운 문화와 삶의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소재지 중심 공공거점기능 보완과 교육, 문화, 복지시설 등 생활 SOC를 확충해 주민 삶의 질을 높이고 배후마을 주민을 위한 서비스 공급 거점을 마련한다.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지역을 제외한 11개 읍·면이 해당한다. 지난 4월, 공덕면 두루누리활력센터와 용지면 황토빛나눔센터가 준공식을 성황리에 마쳤으며 매년 2∼3개 읍·면의 거점시설이 완공될 예정이다.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행복지수 UP! 김제시는 소외되고 낙후된 농어촌 오지 마을 주민들이 최소한의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주거, 안전, 위생 등 주민생활과 밀접한 기초생활 개선을 위해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 봉남면 신덕마을을 시작으로 2023년 부량면 제월마을, 2024년 광활면 신광마을 등 3년 연속 공모에 선정되었으며 성덕면 다복마을과 백산면 원부마을이 2025년 사업으로 공모 신청했다.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은 산사태, 침수 등 재해예방과 축대, 담장 등 노후 위험시설 보수, CCTV 설치 등을 통해 주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간이상수도 및 하수처리시설 설치, 화장실 개량, 다목적 커뮤니티시설 등을 조성함으로써 쇠퇴해가는 농촌마을에 활력을 주고 행복지수를 높여나가고 있다. 공동체 활성화·살고 싶어 하는 농촌 만들다 김제시는 농촌협약에 따라 2022년부터 서부생활권인 만경읍, 성덕면, 부량면에 마을만들기 자율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과 2026년은 각각 광활면과 진봉면 내 지원요건을 갖춘 마을에 대해 자체심사를 거쳐 선정된 지역에 최대 5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마을의 다양한 유·무형 자원과 특성을 기반으로 주민들이 추진위원회를 직접 구성하여 사업을 주도하는 상향식 사업으로 기초생활 기반 확충(노후 마을회관 리모델링 등), 지역소득 증대(가공시설 등), 경관 개선(담장 개·보수, 마을안길 정비 등, 주민역량 강화(주민교육, 선진지 견학 등) 등에 주력해 나갈 계획이다. 주민들이 다양한 사회적 연대를 형성하고 주민과 마을을 잇는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농촌지역 생활서비스와 인프라가 남아 있지 않은 읍·면 지역에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고 농촌 정주여건이 크게 개선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하면서 “살고 싶고, 일하고 싶고, 쉬고 싶은 농촌 조성울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기획
  • 최창용
  • 2024.05.12 16:18

‘무산 위기 극복’ 익산 코스트코 생활권 열린다

물건너간 줄 알았던 익산 코스트코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수도권이나 광역자치단체 등 대도시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코스트코가 호남권 최초로 익산에 들어설 예정이다. 익산시는 지난 8일 ㈜코스트코코리아와 왕궁면 일대 점포 개점을 위한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 지난해 왕궁물류단지 조성 예정지 입점이 무산되면서 좌초 위기에 처했지만, 발 빠르게 대체 부지를 찾고 경기도 광명시의 ㈜코스트코코리아 본사를 오가며 입점과 관련된 사항들을 조율하는 등 각고의 노력을 펼친 끝에 코스트코 익산 입점 협약을 이끌어 냈다. 이제 막 첫발을 내디딘 격이지만, 남은 절차가 계획대로 속도감 있게 추진되면 연내 착공 및 2025년 말 개점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9일 시청 상황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긴 기다림 끝에 맞이하는 코스트코 익산점 유치 과정과 파급효과에 대한 기대를 밝혔다. △호남권 첫 코스트코…장보기 원정 이제 그만 수많은 익산시민의 기대와 염원이 모여 호남권 첫 코스트코 입점이라는 결실이 맺어졌다. 코스트코는 회원제로 운영되는 대형 창고형 할인 매장으로 전 세계 곳곳에 870여 개 매장이 운영되고 있다. 국내에는 현재 18개 매장이 운영되고 있으나, 대부분 수도권이나 광역시 중심으로 분포돼 있는 상황이다. 호남권에서는 이번에 개점하는 익산점이 첫 사례인 만큼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코스트코가 있는 다른 지역으로 장보기 원정을 가던 익산시민을 붙잡고, 이에 더해 인근 지역 소비자들을 끌어당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좌초 위기 이겨 낸 뚝심 익산시와 코스트코가 투자협약서에 서명하기까지 그 모든 과정이 녹록지만은 않았다. 계약 해지와 부지 변경 등 우여곡절이 있었고, 그간의 모든 노력이 무산될 위기의 순간들 앞에서 정헌율 시장의 뚝심과 끈질긴 노력, 적극적인 문제 해결 능력이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애초 코스트코 익산점은 왕궁물류단지에 입점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1월 코스트코 측에서 사업 진척이 더디다는 이유를 들어 익산왕궁물류단지㈜ 측에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이에 익산시민뿐 아니라 전북도민들까지 큰 실망에 빠졌다. 그런 상황에서 정 시장은 곧바로 행동에 나섰다. 경기도 광명시의 ㈜코스트코코리아 본사를 방문해 시 차원의 강한 유치 의사를 전달하며 3~4개의 대체 입점 부지를 제안했다. 지역구 한병도 국회의원도 시민의 아쉬움을 대변하며 직접 설득에 나섰다. 진심은 통했다. 조민수 ㈜코스트코코리아 대표가 익산이 제안한 대체 부지 현장 실사에 나섰고, 현장을 둘러본 코스트코 측은 익산에 우선 입점을 검토한다는 입장을 굳혔다. 이후 새로운 토지주에게 입점을 위한 의향서를 전달하고 토지 매매계약 협의를 진행했다. △발 빠른 대응으로 연내 착공 목표 익산시도 지원 사격을 위해 신속하게 움직였다. 코스트코 입점 대응 TF를 구성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마다 여러 차례 실무진 회의를 열고 성공적인 유치를 위한 방안을 찾았다. 아울러 지역 소상공인을 보호할 대책을 논의하는 등 행정력을 집중했다. 그 결과 현재 코스트코 익산점 입점 절차에 속도가 붙고 있다. 지난달 지구단위계획구역 변경 제안서가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통과했고, 지난 3일에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고시됐다. 코스트코 익산점의 전체 부지는 3만 7511㎡(1만 1347평) 규모이며, 800억 원 규모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건축 설계와 허가를 거쳐 연내 착공이 이뤄지면, 1년 여 기간 공사를 거쳐 이르면 2025년 말 왕궁면에서 코스트코 익산점을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지역 소상공인 상생 전략 모색 시는 향후 코스트코와 맺을 상생 협약에 담을 구체적인 지역상권 보호 전략을 모색 중이다. 상생 협약에 지역민 우선 채용, 지역 우수 제품 입점, 지역사회 공헌 등의 내용이 주요 골자다. 앞서 시는 지난 2022년 소상공인 전담 부서를 신설해 지역상권을 위한 맞춤형 정책을 적극 발굴·추진해 오고 있다. 다이로움 지역화폐 사업과 전통시장·지역상권 활성화, 카드수수료 전액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앞으로 시는 코스트코 입점으로 인해 직·간접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을 분석해 다이로움 정책 수당을 확대하는 등 지역 소상공인과의 활발한 소통을 통해 상생 강화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뛰어난 접근성…인구·소비 유입 기대 코스트코 익산점 입점이 이뤄지면 지역사회에는 유동인구가 늘고 일자리가 창출되는 등 대형 유통기업 유치에 따른 낙수 효과가 기대된다. 왕궁면은 호남고속도로 익산 나들목과 국도1호선 등이 위치해 전북은 물론 광주·전남, 경상 등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맞닿은 전주·군산·김제·완주, 충남 논산 등과 함께 코스트코 생활권도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거대 유동인구가 유입되는 만큼 인근 관광지와의 연계 상승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한때는 백제의 수도로서 번성했던 왕궁면은 1400년 전 백제 왕궁이 있던 터에 왕궁리5층석탑이 여전히 위용을 뽐내고 있고 곳곳에 고대 문화유적이 산재해 있다. 또 코스트코 익산점 입점 예정지에 인접한 왕궁보석테마관광지에는 보석박물관과 다이노키즈월드가 있어 가족 단위 관광객에게 특별한 즐길 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미니 인터뷰 = 정헌율 익산시장 “고대하던 코스트코, 익산에 새로운 활력” “시민 여러분들의 염원을 모아 호남권 첫 코스트코를 익산에 유치하게 됐습니다. 코스트코가 앞으로 익산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800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맺으며 코스트코 익산점 개점을 준비하는 여정의 출발선에 선 정헌율 익산시장은 9일 기쁨과 함께 큰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성공적 개점을 위해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결의를 내비쳤다. 사실 코스트코 익산점은 지난해 한 차례 입점 좌초 위기를 겪었다. 정 시장은 실망감에 빠진 시민을 대신해 ㈜코스트코코리아 측의 마음을 돌리고자 직접 본사를 찾아가 강력한 유치 의사를 전달했다. 지역사회 내 여러 의견이 공존하는 상황이었지만, 어떤 비난을 감수하고서라도 반드시 유치하겠다는 일념이었다. 투자유치 보조금이라는 강력한 인센티브 마련을 위해 익산시의회를 설득하고, 끈질기게 코스트코 측의 문을 두드렸다. 각고의 노력 끝에 결실을 맺은 정 시장은 이날 가장 모범적인 코스트코 지역 정착 사례를 만들어 내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골목상권을 지키는 소상공인과의 상생 방안을 지원해 시민 모두가 환영하는 새로운 지역 발전 기회로 삼겠다는 것이다. 정 시장은 “전국에 20개에 가까운 코스트코 매장이 있지만 호남권에서는 이번에 생기는 익산점이 첫 사례이며, 27만 익산시민의 간절한 염원은 물론 시 직원들과 지역 정치권의 끈질긴 노력 끝에 얻은 귀한 성과”라며 “그동안 코스트코에 가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원정을 가야 했던 우리 익산시민들과 인근 도시 주민들에게 좋은 선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완주, 논산 등에 인접하고 고속도로 나들목이 있는 왕궁은 뛰어난 접근성이 강점인 만큼 유동인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끝까지 긴장감을 놓지 않고 개점까지 남은 절차를 하나하나 차분하게 추진해 시민 기대에 부응하고, 관련 관광 상품 개발과 지역경제 활성화 및 소상공인 보호 전략도 세심하게 준비하겠다”고 다짐했다.

  • 기획
  • 송승욱
  • 2024.05.09 13:41

[참여&공감 2024 시민기자가 뛴다]쓰레기 없는 장터는 가능한가?

며칠째 이어지는 궂은 날씨가 하늘을 덮치기 전이던 지난 4일, 여름에 가깝던 더운 날씨에 사람들의 옷차림은 어느 때보다 가벼웠고, 어디든 연휴의 첫날을 즐기려는 인파로 북적이던 날이었다. 그 중 전주 팔복동에 위치한 팔복예술공장은 특히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막바지 이팝나무 철길을 눈에 담기 위해 찾은 가족과 연인, 해외 유명 팝아트 작가의 전시를 보기 위해 나선 관객들, 그리고 ‘쓰레기 없는 비건 장터- 불모지장’을 찾은 시민들 때문이다. 푸릇푸릇한 팔복예술공장의 잔디 광장을 가로지르는 길에 마련된 장터. 햇수로 4년, 8회째를 맞은 ‘불모지장’은 축제 현장 어디서든 흔히 보이는 다른 플리마켓과 확연히 다른 점이 있다. ‘쓰레기’가 없다는 것. 적당히 타협하며 줄이려는 노력 정도가 아니라, ‘아예’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에 차별점이 있다. 전주의 유일한 ‘쓰레기 없는 장터’인 불모지장의 입구에서부터 ‘일회용품’의 반입 제한을 알리는 안내 부스가 눈에 들어온다. 날이 더워 테이크아웃으로 구매한 커피, 편의점에서 구매한 음료 등은 잠시 보관대에 맡겨야 출입이 가능하다. ‘이렇게까지?’ 의문이 들 수도 있지만 이 행사의 규칙이라 하니 따라 본 시민은 일회용품을 내려놓고 발을 들이는 순간, 생소하고 특별한 경험을 마주하게 된다. 지난 4일 열린 쓰레기 없는 장터 ‘불모지장’/목서윤 판매 부스는 총 50여 개. 지구에 무해한 채식을 경험할 수 있는 식음료 부스뿐 아니라 다양한 제로웨이스트, 업사이클 제품과 소품을 판매하는 모든 부스에서도 일회용기나 포장지를 찾아볼 수 없다. 시원한 생맥주는 다 먹고 반납하면 되는 전용 유리잔에 제공된다. 토마토와 호박 등 농산물은, 마트에서 구매하고 남은 양파망을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포장된다. 비건 빵과 음식은 시민들이 챙겨온 다회용기에 담기고, 지참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무료 다회용기 대여 부스도 마련되어 있다. 5월 햇살이 내리쬐는 한낮에 사람들은 비닐포장과 막대 쓰레기가 발생하는 아이스크림 대신, 위쪽 껍질만 벗긴 오이 한 개씩을 들고 장터 구석구석을 거닌다. 현장에는 쓰레기통 자체가 비치돼 있지 않았으며, 판매자부터 불필요한 포장이나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쓰레기가 발생할 일도 없다.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 열린 짧은 행사에 1만여 명이 찾으며 ‘쓰레기 없는 장터’가 실현 가능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행사를 마친 후 주최 측이 수거한 보관대의 일부 일회용기 음료, 오이 꼭지 등의 쓰레기양은 5리터 종량제 봉투를 채 채우지 못할 정도였다. 많은 인파가 몰려 복잡한 공간이었지만 ‘노 키즈’나 ‘노 펫’ 등 차별적 제한을 두지 않은 곳. 무해한 삶을 지향하는 비건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곳. 그리고 버릇처럼 구매하고 버리던 일회용 쓰레기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곳. 불모지장은 ‘불편한 모험을 통해 지속가능한 지구를 만드는 장터’의 약자이다. △150 명에서 4년 만에 1만 명으로.. 불모지장의 놀라운 성장 시작은 평범했다. 필요한 만큼의 식자재를 쓰레기 없이 구매하고 싶은데 쉽지가 않았다. 이에 같은 고민을 갖고 있던 평범한 전주 시민 몇몇이 머리를 맞댔다. 마트에선 ‘불가능’한 쓰레기 없는 장보기를 ‘우리가 실현해 보자’고. 그렇게 삼삼오오 모인 마음 맞는 시민들은 직장인으로서, 자영업자로서 본업을 유지하면서도 틈틈이 아이디어를 나누며 불모지장은 기획했다. 2020년 처음으로 열린 불모지장은 기획단 구성원이 운영하는 게스트하우스 마당에서 작은 규모로 시작됐다. 10여 개의 농산물 부스. 행사장을 찾은 사람들도 기획단의 지인들이 다수였다. 작지만 의미 있는 시작이었고, 그렇게 불모지장은 ‘환경 불모지인 전주를 비옥지로 만들겠다는 포부로 행사를 이어왔다. 연 1-2회씩 열리며 지속된 게 어언 4년. 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며 참여 업체 규모도, 장터를 찾는 시민의 수도 계속 늘어갔다. 1회 때부터 불모지장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시민 박선 씨는 “예전에는 뜻 있고 마음 맞는 사람들이 모여 하는 느낌이 강했다면 이제는 다회용기를 무료로 빌려주는 역할을 공기업(한국환경공단 전북환경본부) 등이 맡아준다든지 시민 주도 환경 운동의 확장성이 느껴지는 시간”이었다는 의견이다. 또, “주최 측이 정한 규칙을 전반적으로 잘 따르는 시민들을 보며 앞으로도 많은 축제장이나 행사장이 공익을 위해 ‘쓰레기 없는’ 행사로 규정 짓고 규율을 정하면 누구나 방향성에 공감하며 어느 정도 불편함을 감수하지 않겠냐”며 불모지장이 아닌 다른 곳에서도 이 같은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길 희망했다. 전주 동서학동에서 비건 제로웨이스트샵을 운영 중인 허지현 씨는 2년 연속 판매 업체로 참여하고 있다. 일반 플리마켓에 참여하면 다른 부스에 비해 시민들의 관심이 저조해 빛을 발하지 못하기 십상인데 불모지장에서만큼은 쉴 새 없이 바빴다고 한다. “다른 데서는 비건이나 제로웨이스트 제품을 알리기도 무척 어렵고 한계가 분명 있는데. 불모지장에 오시는 분들은 관심이 있는 편이니까 실제 매출로도 이어진다”며 행사의 좋은 취지와 더불어 친환경 제품을 만들고 판매하는 소규모 영세업자들의 판로가 확대되는 효과까지 있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길 건너 이팝나무 철길에서 열린 다른 플리마켓을 구경하다 불모지장에 들른 또다른 시민은 “다른 세상에 와 있는 것 같다”며 “처음에는 일회용 반입 금지라는 규칙이 어색하게 느껴졌는데 공간 안 모든 사람이 규칙을 따르고 있다는 게 놀랍다. 많이 불편할 줄 알았는데, 바로 옆에서 다회용기를 대여해 주니 생각보다 실천하기 쉬운, 의미 있는 경험이 된 것 같다”라며 쓰레기 없는 장터를 찾은 소감을 전했다. △지속가능한 환경과 모두가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해 푸르른 잔디밭에서 어른이며 아이며, 사람이며 동물이며 모두가 어우러져 ‘장벽’ 없이 접근할 수 있는 비건 문화 공간. 기획단이 지향하는 불모지장의 모습이다. 기존의 불모지장은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홍보로 ‘관심 있는 사람들’이 찾아보고 오는 장소였다면, 올해는 황금연휴에 갖가지 행사가 겹치면서 평소 환경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대거 ‘우연히’ 불모지장을 찾고 알게 되었다는 게 큰 변화이다. 기획자 몇몇이 머리를 맞대 마련한 행사가 별도의 후원이나 지원 없이 쑥쑥 성장하고 있다는 게 고무적이긴 하지만 그만큼 고민도 늘었다. 기획 인원은 한정돼 있는데 행사의 규모는 점점 커지니 장소 선정부터 운영 방식까지, 꼼꼼히 정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여러 회의를 거쳐 다음 불모지장은 올가을에도 어김없이 열릴 예정. 불모지장의 기획자 중 한 명인 서지석 씨는 불모지장의 목표와 계획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했다. “지속가능한 환경과 모두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삶을 위해서, 작은 실천을 격려하고, 비건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소수의 시민들’이 모여 시작한 불모지장. 시민 주도의 노력이 이미 큰 물결을 만든 현시점에서 불모지장의 행보와 성장이 더욱 기대된다. 목서윤 전주MBC 아나운서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기획
  • 기고
  • 2024.05.08 13:52

김병옥 익산농협 조합장 “전국에서 가장 부러워하는 조합 만들 것”

익산농협은 지난 2015년 김병옥 조합장 취임 이후 해마다 뚜렷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기존의 신용사업만으로는 갈수록 급변하는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고 판단, 생산·가공·유통 전문 조합으로 거듭나겠다는 김 조합장의 결단과 과감한 실행, 그리고 6500명에 달하는 조합원과 240여 명의 임직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보다 나은 조합을 위해 쉼 없이 달려온 결과다. 9년째 익산농협을 이끌어 오고 있는 그는 변함이 없다. 조합원 소득 증대가 조합의 존재 이유라는 평소 신조대로 어떻게 하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한다. 전국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떡 방앗간의 생크림 찹쌀떡이 여전히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 주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고객들에게 한 발 더 다가가기 위해 지점을 늘리는 공격적 마케팅도 그 일환이다. 매사 열정적인 모습으로 익산농협을 이끌어 가고 있는 그를 만나 익산농협의 현재와 미래 비전을 들어 봤다. 익산농협은 해가 갈수록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것 같습니다. “조합원들과 임직원들의 노력으로 지난해 결산 결과 역대 최대 당기순이익을 다시 한 번 갱신했습니다. 대면 고객 감소,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 변동 등에도 불구하고 떡 방앗간 약진과 신규 지점 개점, 마트 이전 개점 등을 통해 2023년 결산 기준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4억 3000만 원가량 증가한 54억 100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법으로 정한 최고 배당률을 적용한 조합원 출자 배당 16억 6000만 원과 이용고 배당 16억 4000만 원을 현금 배당하고, 13억 2000만 원은 조합원 사업 준비금으로 적립했습니다. 합계 배당률은 12.5%이고, 배당 규모는 전년 대비 약 3억 8000만 원 증가한 46억 3000만 원입니다. 올해는 본격적인 떡 방앗간 가동을 통해 매출 100억 원 돌파를 목표로 하고 있고, 이를 통한 수익으로 조합원들의 쌀 수매를 전국 최고가로 할 예정입니다.” ‘뛰어야 한다. 변해야 한다. 안 될게 없다’는 올해 슬로건이 인상적입니다. “지난 2015년 3월 11일에 조합원들의 선택을 받아 취임했습니다. 그때부터 앞으로는 신용사업만으로는 경쟁력을 갖출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경제사업을 활성화해야 하고, 열심히 뛰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판단이었지요. 전북도나 익산시 같은 행정기관은 세금으로 지역 발전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러 가지 사업을 하지만, 협동조합은 농민과 조합원들을 위해 결국은 벌어야 사업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직원들에게 세 가지를 주문했던 겁니다.” 지난해 영등지점과 배산지점에 이어 평화지점과 하나로마트 평화점이 문을 여는 등 공격적 마케팅이 눈에 띕니다. “첫 취임 당시 직원이 242명이었는데, 9년이 지난 올해 사업 공고 때 직원이 243명입니다. 떡 방앗간과 하나로마트 평화점, 영등·배산지점 등이 다수의 사업장이 생겼지만 직원은 1명 늘었습니다. 조직은 슬림화하고 적자 사업장은 과감히 정리하되, 수익을 낼 수 있는 곳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효과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고객들에게 한 발 더 다가가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입니다. 다른 곳들을 보면 비싼 땅을 사서 사업을 하는데, 익산농협은 수십억 원이 들어가는 사업이 아니라 오래된 창고나 기존 소유 부지를 활용하거나 농협은행이 철수하는 위치를 먼저 선점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존 인테리어와 집기류를 활용해 개점 비용을 최소화했습니다. 고객들에게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우리의 강점으로 삼아, 기회를 놓치지 않고 신규 점포를 늘려 공격적으로 영업해 나갈 계획입니다.” 떡 방앗간 인기가 식을 줄 모르는 분위기입니다.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데, 비결이 있다면. “떡 방앗간은 2015년에 공약을 하고 2017년 9월에 정식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사실 여러 가지 어려움이 참 많았습니다. 정말 열심히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벤치마킹을 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소비자들이 필요에 의해 떡을 사서 먹더라는 것이었습니다. 설에는 떡국을 먹고 추석에는 송편, 수능 때는 찹쌀떡을 먹는데, 대기업을 봐도 떡으로 성공한 사례는 찾기 어려웠습니다. 건강한 재료로 맛 좋은 떡을 만들어 승부수를 띄웠고, 계속해서 성공 신화를 쓰고 있는 것을 넘어 신제품 개발에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노력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2022년 매출 20억 원을 기록한 떡 방앗간은 지난해 매출 50억 원을 돌파했고 현대백화점에도 진출했습니다. 전국을 대상으로 한 통신 판매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임직원들이 정말 불철주야 노력한 성과입니다. 이미 전국적으로 입소문이 난 생크림 찹쌀떡은 물론이고 설에는 햅쌀로 만든 떡국떡을, 추석에는 조합원이 생산한 쌀로 만든 송편을, 수능 때는 질 좋은 팥으로 만든 찹쌀떡을 전 국민이 맛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떡 방앗간에 이어 고추장 가공 사업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떤 구상을 하고 계신가요. “예전부터 만들어온 고추장을 보면 고춧가루 함유량이 12~17% 정도 됩니다. 근데 이 함유량을 75~80%까지 끌어올려 고급화하려 합니다. 옛날 어머님들 보면 고추장이 상하지 않게 하려고 소금을 많이 넣었어요. 하지만 저희는 소금을 많이 넣지 않아 짜지 않은 고추장을 만들 생각입니다. 매콤하지만 밥만 비벼 먹어도 짜지 않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고추장을 구상 중입니다. 시중에 순창고추장 같은 경쟁력 있는 제품들이 있지만, 저희는 고급화 전략으로 줄서서 구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고추는 토종 품종을 잘 선별하고 엿기름도 조합원이 직접 생산한 보리를 분쇄해 만드는 등 전 국민의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할 것입니다. 조합 본연의 역할은 조합원 소득 증진입니다. 거듭 강조하지만 신용사업만으로는 1금융권을 따라갈 수 없기 때문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경제사업을 해야 합니다. 조합원들이 가을에 통장을 보고 흐뭇해할 수 있는, 전국에서 가장 부러워하는 조합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올해 특별히 주안점을 두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투자 여력이 충분히 있다면 대규모 투자 사업을 해도 괜찮습니다. 인근 몇몇 곳은 실제로 커다란 투자를 하고 있고요. 하지만 익산농협의 경우 무리한 투자는 절대 금물입니다. 떡 방앗간의 경우도 처음엔 시범사업 방식으로 소량 생산을 하다가 생산량이 점점 늘어나면서 이제 80평 전체를 쓰고 있습니다. 이번 대의원회에서는 영농자재백화점을 건립하는 안이 통과됐습니다. 필요성이 인정되고 공감대가 형성된 상황이지만, 시내권에 비싼 땅을 사는 것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농지에 창고형으로 지어 운영할 예정입니다. 나아가 일부 대농 외에 고령화된 농민들을 위한 농작업 대행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꼼꼼히 살펴 진정 조합원들을 위한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조합원들과 익산시민, 전북특별자치도민 여러분들께 전하는 말씀 부탁드립니다. “사실 조합원 수가 6500명에 달하다 보니 생각이 각기 다르고 의견도 여러 가지입니다. 선출직 조합장이다 보니 힘이 드는 부분도 있고요. 오랜 기간 벤치마킹해 온 일본을 보면 토지와 기후에 맞는 특산물을 재배해서 경쟁력을 갖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저희 익산농협은 조합원 대부분이 수도작을 하고 있어 볏값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조합원이 지은 쌀을 구매할 때 볏값 결정을 두고 신경전이 벌어지는데, 그럴 때마다 제가 최고가를 말하면 박수로 화답하며 이사회 의결이 이뤄집니다. 조합원들을 위한 진정성을 알아주시기 때문입니다. 도농복합지역인 익산은 원래 농업 의존도가 높았지만 산업화가 이뤄지면서 갈수록 농업은 뒷전이 되고 있습니다. 우리 익산의 농업인들이 언제나 지역 발전 버팀목 역할을 하며 힘을 낼 수 있도록, 지산지소 운동을 꾸준히 펼치고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기획
  • 송승욱
  • 2024.05.07 16:22

[전홍철 교수의 ‘영상과 함께 하는 실크로드 탐방’] 그리스에서 완주까지 (4)

완주 송광사와 위봉사. 두 사찰을 비롯한 한국의 모든 불교 사원 입구에는 신성한 공간으로의 진입 그리고 불교의 해탈을 상징하는 산문(山門)이 있다. 이 출입문이 바로 일주문(一柱門)이다. 일주문이란 말은 기둥이 네 개인 가옥과 달리 두 기둥 위에 지붕을 얹은 데서 생겨난 말인데, 이는 고대 인도 건축의 아치형 출입문이었던 토라나(Torana)에서 유래한 것이다. 고대 인도에서 토라나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의 종교 건축물에서 의식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에도 영향을 미쳐 중국의 산문(山門), 일본 신사(神社)의 토리이(鳥居), 베트남의 탐꽌(Tam quan), 태국의 대추천(大秋千, Giant Swing)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한국 사찰의 일주문과 향교 출입문인 홍살문도 바로 인도 토라나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런데 고대 인도의 토라나는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이었을까?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중인도 산치(Sanchi)와 바르후트(Bharhut) 그리고 남인도 파니기리(Phanigiri)로 떠나야 한다. △ 인도 스투파의 전형, 산치대탑(Sanchi Great Stupa) 인도어인 스투파(Stupa)는 한자로 번역하면 ‘탑파(塔婆)’이고, 이것이 오늘날의 탑(塔)이 되었다. 원래 고대 인도에서 스투파는 유력 인사의 유골이나 유품을 안치한 무덤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불교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전파되면서 탑의 형태로 변모되고, 점차 목조 건축의 영향을 받아 다층 구조로 발전하게 되었다. 한편 산치 스투파는 인도 마디야 프라데시(Madhya Pradesh) 주 의 라이센(Raisen) 마을 언덕 위에 있는 불교 유적지로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석조 구조물 중 하나이다. 기원전 3세기 마우리아(Mauryan) 제국의 아쇼카(Ashoka) 왕이 불사리를 모시기 위해 지은 것이다. 초기에는 단순한 반구형 벽돌 구조물이었지만, 기원전 1세기경 정교하게 조각된 4개의 토라나와 난간이 추가되었다. 토라나 문은 석재로 만들어졌지만, 목재 건축처럼 조각되었다. 토라나에는 부처님 일대기 장면 뿐만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일상 모습도 새겨졌다. 또한 석조 조각에서 부처님은 아니코니즘(aniconism) 즉 우상 금기 때문에 인체로 묘사되지 않고, 말, 발자국, 보리수 등의 상징물로 표현되었다. 인체만으로는 부처님의 위대함을 다 표현할 수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지역 주민들은 영적인 공덕을 얻기 위해 돈을 기부하여 스투파를 장식하였다. 기부자들은 돈을 기부한 댓가로 부처님의 삶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장면을 선택해 조각에 새기고 본인의 이름을 새겨 넣을 수 있었다. 스투파에 특정 에피소드가 무작위로 반복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북문 횡량에 새겨진 유명한 항마성도(降魔成道) 부조를 보기로 하자. 횡량(橫樑) 좌우에 나선형 문양이 새겨져 있어 마치 두루마리 그림을 펼쳐보는 듯하다. 먼저 왼쪽 가장자리에는 보리수 아래의 빈 대좌로 부처를 상징하였다. 가운데는 악마인 마라와 그의 딸들이 등장하여 부처님을 유혹한다. 오른쪽 장면은 악마의 군대가 패배하여 도망가는 모습이다. △ 중인도 바르후트(Bharhut) 스투파 1873년 알렉산더 커닝햄(Alexander Cunningham)이 발굴한 바르후트(Bharhut)는 중인도 마디야 프라데시(Madhya Pradesh) 주의 사트나(Satna) 지구에 있는 마을이다. 바르후트 패널(panel)의 독특한 점은 각 조각판에 브라미(Brahmi) 문자로 무엇을 묘사하고 있는지 명시하고 있는 점이다. 바르후트 조각은 아쇼카 왕조 이후, 산치 2호 스투파 이전의 것으로 인도 불교 예술의 가장 초기 사례를 보여준다. 바르흐투 스투파는 산치와 유사한 배열로 돌 난간과 4개의 토라나로 둘러싸여 있다. 난간은 대부분 복구됐으나 토라나 4개 중 동문만 남아 있다. 토라나에 7개의 카로스티(Kharosthi) 문자 장인 마크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조각가들이 인도-그리스 왕국의 핵심 지역인 간다라 출신임을 알 수 있다. 이 장인들은 헬레니즘 기법과 양식을 토라나 제작에 도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면 동문 횡량(橫樑)에는 무엇이 그려져 있을까? 부처님을 상징하는 중앙의 대좌를 향해 동물들이 귀의하는 장면이 새겨져 있다. 사자 두 마리, 왼쪽에 그리핀 한 마리 그리고 인간 머리를 한 사자(스핑크스 또는 만티코어) 한 마리가 조각되어 있다. 아래 횃돌에는 네 마리의 코끼리와 두 명의 인간 신도들이 부처님을 에워싸고 있는 모습이다. 횃돌 사이에는 기둥들이 있는데, 그 중 일부에는 인도 인물상이 장식되어 있다. 이 기둥 기단에서 전체 8개 중 5개에는 카로슈티 조각가의 마크가 발견되었다. 위쪽과 중간 횃돌 사이에도 이런 기둥들이 있었겠지만 현재는 유실된 상태다. △ 21세기의 신발견, 남인도 파니기리(Phanigiri) 스투파, 스투파로 들어가는 출입문인 토라나는 기원전에 만든 산치와 바르후트 스투파에서만 확인할 수 있고, 기원후 남인도 스투파 유적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런데 21세기에 새롭게 조사된 텔랑가나(Telangana) 파니기리의 스투파 유적에서 토라나 부재가 발견되어 주목된다. 이것으로 기원후 남인도 스투파에도 토라나가 있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파니기리 스투파의 토라나 양끝에는 전설 속의 동물 마카라가 사자, 코끼리 등과 결합하여 탄생한 상상 속의 동물로 장식되었다. 또 긴 문 위에는 모두 석가모니의 인생 이야기가 새겨져 있다. 석가모니는 무우수(無憂樹) 나뭇가지를 짚고 선 마야 부인의 옆구리에서 태어났다. 먼저 석가모니의 탄생 장면이다. 하늘에는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뻐하는 천인들이 음악을 연주한다. 샤카족의 수호신도 석가모니의 탄생을 축하하고 있다. 성장한 석가모니는 성 밖으로 나가 생로병사의 괴로움을 보게 된다. 석가모니가 출가의 뜻을 밝히자 궁의 여인들이 슬퍼한다. 깨달음을 얻은 석가모니에게 사천왕이 다가와 발우를 공양한다. 석가모니가 사르나트의 녹야원에서 5명의 수행자들에게 첫 설법을 하는 초전법륜 장면. 대좌 앞의 사슴이 바로 그 장면을 상징한다. 토라나의 앞부분은 석가모니의 인생 이야기가 시간 순서대로 진행된다. 한편 뒷면의 이야기는 다른 순서로 진행된다. 여기에는 석가모니가 출가하기 전, 왕자 시절의 싯다르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석가모니가 나가왕과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 코끼리를 타고 가는 모습 등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신 스투파를 경배하는 모습이 확인된다. △ 일주문, 고대 인도 건축과의 깊은 연관성 토라나는 고대 인도 건축에서 유래한 장식적인 문 또는 출입구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원의 경계를 표시하고, 신성한 영역으로의 진입을 알리는 상징적 의미를 지녔다. 토라나는 상징적인 의미와 더불어 신성하고 경외할 만한 입구를 표현하며, 때로는 축제나 왕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 송광사와 위봉사의 일주문을 통해 우리는 고대 인도 건축의 영향이 아시아 전역에 미친 흔적과 함께 불교 해탈의 상징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다. /전홍철 우석대 경영학부(예술경영) 교수

  • 기획
  • 기고
  • 2024.05.06 15:19

[팔도 핫플레이스] 가평으로 떠나는 ‘유럽여행’

바야흐로 나들이하기에 제격인 봄. 푸르름이 짙어질수록 나들이객들의 발걸음은 바빠진다. 경기 가평군은 80% 이상이 산림으로 지역 곳곳이 봄의 기운을 만끽하기에 그만이다. 가평에는 산림청이 지정한 전국 100대 명산 중 경기도 최고봉인 화악산(1천468m)을 비롯해 명지산, 운악산, 유명산, 축령산 등 5개의 아름다운 산과 북한강, 가평천, 조종천, 미원천 등 이름난 강과 하천 및 계곡을 품고 있는 수도권 대표 휴양도시다. 여기에 10여 년 전부터 호명산, 화야산 등 주변으로 프랑스, 스위스 등을 모티브로 한 유럽마을이 조성되면서 다시금 가평이 주목을 받고 있다. ‘가평으로 떠나는 유럽여행’이라는 말은 이들 마을로부터 비롯됐다. 살랑살랑 봄바람 타고 가평속 유럽으로 가볍게 떠나보자. ■ 쁘띠프랑스·이탈리아 마을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모티브로 한 ‘쁘띠프랑스’와 ‘이탈리아 마을’은 2008년, 2021년 각각 개장했다. 이들 마을은 두 나라를 대표하는 동화 캐릭터 ‘어린 왕자’와 ‘피노키오’를 메인 콘텐츠로 각각의 마을에는 어린 왕자·피노키오 동상이 방문객을 맞이한다. 유럽 지도에서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이웃하고 있는 것처럼 두 마을은 가평군 청평면에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호명산 자락에 인접해 자리한 이들 마을 앞에는 가평 8경 중 첫번째 비경인 북한강 청평호가 유유히 흐르고 있다. 프랑스 해변 촌락을 옮겨다 놓은 쁘띠프랑스는 2014년 방영된 TV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를 비롯해 ‘베토벤 바이러스’ 등 다수의 드라마 등의 촬영지로 명성을 얻으며 지금껏 내국인은 물론 중국, 동남아 등 세계인의 이목을 끌고 있다. 쁘티프랑스는 200년 이상 된 건축자재를 재조립한 전통주택전시관, 프랑스 3대 시장 벼룩시장인 생투앙 벼룩시장을 모티브로 한 엔티크 벼룩시장, 생텍쥐페리 재단과 라이선스 계약을 맺어 설립한 생텍쥐페리 기념관, 명품 도자기 인형 등으로 꾸며진 프랑스 가정집 메종 드 마리&장, 수백년 된 유럽 인형의 집, 메종드 오르골, 유럽풍 거실, 회화 작품 갤러리 등 프랑스 문화 전시관 등으로 꾸며졌다. 마치 프랑스 거리를 거닐고 있는 듯한 낭만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유럽 동화 인형극이 열리는 ‘떼아뜨르 별’ 극장, 오르골 시연장인 ‘메종 드 오르골’, 마리오네트 퍼포먼스 등의 야외극장, 봉쥬르 산책길 등 유럽 문화체험과 공연을 즐길수 있다. 먼 지역에서 오거나 유럽 정취를 물씬 즐기고 싶다면 2인실, 4인실 등 숙박시설에서 하루밤 보내보는 것도 추억이 될듯 싶다. 인접한 국내 유일의 이탈리아 테마파크로 알려진 이탈리아 마을은 피노키오와 다빈치로 대표된다. 이탈리아 중북부 토스카나 지방의 건축물들을 모티브 한 이 마을은 이탈리아 중세시대 고성을 방불케 한다. 이탈리아 마을은 피노키오 모험관과 다빈치 전시관으로 구성됐다. 이탈리아 콜로디재단과 정식 계약을 체결한 피노키오 모험관은 인형극단의 방, 절름발이 여우와 눈먼 고양이, 장난감 나라, 푸른 요정의 방, 제페토 공방, 진짜사람 피노키오, 고래 수족관 등 동화 속 스토리 체험공간으로 꾸며졌으며 피오키오 극장, 야외극장 등도 운영된다. 르네상스 시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명화와 발명품 등을 볼 수 있는 다빈치 전시관은 발명품 전시관, 회화관, 영상관, 차륜관, 특별전시관 등의 작품들을 영상, 미디어 등을 활용한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다. 쁘띠프랑스·이탈리아 마을은 봄을 맞아 오는 5월31일까지 각각 ‘2024 세계 오르골페스티벌’과 ‘유럽 동화나라 축제’를 진행하고 있다. 2024 세계 오르골 페스티벌에서는 오르골 하우스 리뉴얼 개장과 함께 쁘띠프랑스만의 명물이자 국내에서 보기 힘든 오르골 150여 종을 만나볼 수 있다. 유럽 동화나라 축제는 어린 시절 읽어보았던 동화책 속 주인공들을 마리오네트 퍼포먼스 등의 인형극과 다양한 동화나라 포토존 및 전시체험을 통해 선보인다. ■ 에델바이스 스위스 테마파크(스위스 마을) 스위스는 높은 산과 깊은 계곡, 울창한 산림, 높은 고원지대의 방목지 등으로 이뤄진 유럽의 대표 산악 국가로 알려졌다. 가평군 설악면 ‘에델바이스 스위스 테마파크(스위스 마을)’도 화야산 자락 해발 300m 고지대에 조성됐다. 스위스의 작은 마을 축제를 주제로 만들어진 에델바이스 스위스 테마파크는 스위스의 아름다운 숲과 마을, 스위스풍 건축물과 다양한 테마를 통해 재현했다. 체험형 테마파크인 스위스 마을은 실제 단지 내에 입주민들이 거주하는 자연스러운 마을로 조성됐다. 스위스 마을은 총 32개 동의 건물 중 20개 동에는 입주민들이 거주하고 9개 동에는 각종 테마전시관과 카페, 휴게실 등 방문객을 위한 시설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 마을은 테마별 전시관이 자리하고 있는 스트리트 코스, 산책길·양목장 등의 마운틴 코스, 플라워 슬라이드 등의 엑티비티 존, 스위스 퐁뒤·스노우 체험관 등의 체험 프로그램 등 4가지 주제로 구성됐다. 특히 스위스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직접 스위스에서 들여온 치즈와 재료들을 사용하는 스위스 치즈 퐁뒤, 라클렛, 수제크림치즈 만들기 체험과 병속에 만드는 작은지구 테라리움, 핑거하트 석고방향제 만들기, 스위스연 만들기 체험, 4계절 스노우 체험 등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다. 또 테마별로 와인 뮤지엄, 뻐꾸기시계 뮤지엄, 하이디 도서관, 에델바이스 갤러리, 크리스마스메시지 뮤지엄, 베른베어관 등의 전시관도 마련돼 있다. 여기에 스위스의 대표적인 음악인 요들송을 직접 듣고 만날 수 있도록 토요일·일요일 각 1회씩 상설공연으로 방문객들과 호흡을 맞추고 있다. 5월에는 스위스 맥주의 신선한 맛을 느껴볼 수 있는 비어 페스티벌과 에델바이스 스위스 테마파크의 체험프로그램을 특별 할인하는 가정의 달 특집으로 운영된다. 이와 함께 방문객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스위스 전통의상 콘테스트’는 지난해 사진 부문에서 올해는 블로그, 인스타그램 및 유튜브 등으로 채널을 확대하면서 콘테스트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경인일보=김민수 기자

  • 기획
  • 기타
  • 2024.05.02 15:08

[참여&공감 2024 시민기자가 뛴다]모두를 위한 궁전, 도서관 공간혁신 사례와 정책과제(하)

△국내 공공도서관 현황과 중앙정부 정책 한계 최근 시민들은 기존 엄숙하고 딱딱한 도서관보다는 카페같이 편하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책을 읽고, 다른 사람들을 만나 교류하고 소통하는 공간을 선호하고 있다. 그렇다면 국내 공공도서관의 현황과 현재 정부의 도서관 정책은 어떠한가? 먼저, 공공도서관은 국내 문화기반시설 중 가장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공시설이다. 2022년 한 해 동안 전국 공공도서관 이용자 수는 약 1억 7500만 명으로서 박물관(약 6200만 명), 미술관(약 1600만 명) 등 다른 시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또한, 전국적으로 공공도서관 수가 양적으로 확대(‘18년 1096개소 → ’22년 1236개소)되고 있고, 도서관 공간 환경의 질도 점점 좋아지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 여건에 따라 도서관 방문자 수 역시 COVID-19 팬데믹 이후로 점차 회복되는 추세(전국 평균 1관당 방문자 수 ‘20년 7만6431명 → ’22년 14만2160명)이다. 하지만, 도서관 정책의 목표 중에 하나인 독서문화를 진흥하고 건물보다 사람이 중심이 되는 도서관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 2023년 국민독서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성인 종합독서율은 43%에 그쳤는데, 이는 성인 10명 중에 6명은 한 해 동안 책을 한 권도 읽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또한, 성인 종합독서율(‘13년 72.2% → ’23년 43.0%)과 성인 연간 종합독서량(‘13년 10.2권 → ’23년 3.9권)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기 때문에 문제는 더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정부의 도서관 예산이 축소되고, 도서관 정책이 퇴보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2024년 문체부 예산 및 기금 운영계획 자료를 보면 ‘도서관 정책 개발 및 서비스환경 개선’, ‘도서관 기반 조성’예산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도서관 실감형 창작공간 조성’예산은 전액 삭감되었다. 그로 인해 일선 도서관 현장에서는 신규 도서 구입 축소, 도서관 환경개선 사업 연기, 인문강좌·북스타트 등 도서관 프로그램 축소, 사서 1인당 업무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많은 국민들이 도서관을 이용하고 있고, 지역마다 특성화된 공공도서관과 독서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도서관 예산이 축소되고, 사업 지원이 중단되는 것은 도서관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독서문화를 진흥하고 도서관의 공간 혁신과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서는 정부의 일관성 있는 도서관 정책과 안정적인 예산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모두를 위한 도서관, 해외 사례 해외 도서관 선진 사례를 통해 국내 도서관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 번째 사례는 미국 시애틀 시에 있는 중앙도서관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가인 렘 콜하스가 ‘모두를 위한 도서관’이라는 컨셉으로 설계하였으며, 독특한 건물 외관 디자인과 개방적인 공간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많은 미국인들이 좋아하는 도서관이다. 시애틀 중앙도서관의 특징은 누구나 차별없이 시설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으로써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자료실이 비치되어 있고, 장애인들이 불편없이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두 번째 사례는 전주시의 자매도시인 일본 가나자와 시에 있는 이시카와 현립도서관으로 ‘책의 아레나’라는 별명과 같이 360도 원형 홀과 서가 배치로 최근 일본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서관 중 한 곳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이 곳에는 이시카와 현을 대표하는 도서관답게 지역의 자연환경, 역사, 전통문화, 공예품 등의 자료를 아카이빙하고 홍보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세 번째는 호주 사례로서 뉴사우스웨일스(NSW) 주립도서관과 시드니 시립 달링 스퀘어(Darling Square) 도서관이다. 먼저 NSW 주립도서관은 200년의 역사를 가진 그리스 신전 양식 건물로서 고풍스러운 분위기의 열람실, 아트갤러리, 세익스피어룸 등으로 유명한 곳이다. NSW 주립도서관에는 40개 이상의 언어로 된 도서 및 비도서 자료가 비치되어 있고, 비영어권 이용자에 대해 언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노인, 어린이, 장애인, 다문화가족 등 도서관 이용이 어려운 계층을 대상으로 특화된 타겟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노인을 위한 큰 글씨 책 및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어린이를 위한 문해력 향상 교육, 장애인을 위한 점자책·오디오북·DVD, 다문화 가족을 위한 컨설턴트 배치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다음으로 시드니 시립 달링 스퀘어 도서관은 일본 유명 건축가인 구마 겐고가 설계한 건축물로 광장에 인접하여 있고, 어린이 돌봄센터 및 상업시설과 복합적으로 조성된 도서관이다. 달링 스퀘어 도서관은 차이나타운 인근에 위치하여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등 이주민들을 위한 도서와 비도서 자료를 비치하고 있다. 또한, 영유아를 위해 그림책을 읽어주는 프로그램과 청소년들 대상으로 코딩 교육, 로봇 교육, DIY 및 체험 프로그램 등을 상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사례는 핀란드 헬싱키에 있는 오디(Oodi) 도서관이다. 이 도서관은 2019년 국제도서관협회(IFLA)에서 주관하는 올해의 도서관으로 선정된 곳으로 거대한 함선 또는 우주선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헬싱키의 심장이라고도 불리는 오디 도서관은 빼어난 건축 디자인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배움과 학습의 장이다. 메이커스페이스, 음악 및 영상 제작 스튜디오, 가상현실룸, 등 다양한 공간에서 시설과 장비들을 제공하면서 이용자들의 창의적인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유아, 청소년, 청년, 노인 등 모든 연령대가 자연스럽게 어울려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오디 도서관은 모든 이들에게 개방되어 있고 모든 이들을 환대하는 공간의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도민이 행복한 도서관을 만들기 위한 과제 도서관은 책을 위한 시설이 아니라 사람을 위한 장소이다. 장서 보관과 대출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와서 책을 읽고, 다른 사람들을 만나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제3의 장소’이며 교육·돌봄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가 제공되는 ‘사회적인프라’이다. 앞으로 모두가 행복한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환경 및 기능, 공공서비스 및 프로그램, 운영인력 및 예산 세 가지 측면에서 정책적인 지원과 변화가 필요하다. 첫째, 물리적인 환경 및 기능과 관련하여 전북 농어촌 지역에는 도서관을 비롯한 다수의 공공시설이 노후되어 있는데, 시설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때 전주시의 도서관 공간혁신 사례와 같이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공간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때 폐교 등 유휴부지를 활용하고 주민들의 수요를 반영하여 복지·돌봄·체육·여가·평생학습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책문화 중심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다. 둘째, 공공서비스 및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장애인, 고령자, 다문화가족 등 지식정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를 마련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시애틀 중앙도서관, 호주 NSW 주립도서관 사례와 같이 장애인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점자자료·오디오자료·독서 보조기기 등을 확충할 필요가 있으며, 고령자를 위해 큰 글자책과 건강, 노화, 여가 등에 대한 책을 비치하고, 어르신들의 고립과 고독, 치매 등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복지 파트와 연계하여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문화가족과 유학생의 경우 도서관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요 언어로 도서관 이용을 지원하고, 다문화가족 아이들의 모국어 자료를 비치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운영인력 및 예산과 관련하여 사서 등 도서관 운영인력을 확충하고, 노동 환경 및 처우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도서관의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충분한 예산을 마련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전 세계에 약 2500개의 도서관을 짓는 것을 후원한 미국 철강 기업가 앤드류 카아네기는 도서관을 ‘모두를 위한 궁전(Palaces for the people)’이라고 하였다. 전북에 있는 도서관이 누구나 찾아와서 읽고. 쓰고, 배우고, 만나고, 듣고, 발견하고, 탐험하고, 운동하고, 놀고, 쉴 수 있는 모두를 위한 궁전, 그리고 도민이 행복한 도서관이 되길 바란다. 장우연 독립연구자·전) 전주시 정책연구소 연구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기획
  • 기고
  • 2024.05.01 15:20

"5월엔 완주로 놀러 가자"

계절의 여왕이자 가정의 달인 5월, 완주가 축제로 들썩인다. ‘나만 알고 싶은 여행지’로 입소문이 났던 완주는 이제 2000만 명이 넘는 사람이 찾는 ‘모두가 아는 여행지’가 됐다. 고즈넉한 자연환경을 즐길 수도, 짜릿한 ‘엑티비티’도, 맛있는 먹거리도, 좋은 공연과 전시도, 훌륭한 문화재도 완주에 가면 다 만날 수 있다. 대표 여행지가 된 완주의 5월은 더욱 특별하다. 어린이날, 우리들의 세상 아동친화도시 완주군은 5월 4일 ‘어린이날 대축제’를 연다. 완주군청 어울림 잔디광장과 도서관 주차장 일원에서 펼쳐지는 축제는 완주군과 완주교육지원청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굿네이버스 전북지역본부가 주관해 열린다. 부스는 환경, 사회, 아동권리, 푸드, 놀이, 누에로 구분해 설치된다. 어울림 잔디광장은 환경마당으로 본부석, 재활용 용품을 판매하는 그린라이프 마켓, 환경을 주제로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는 그림 캠크닉 등이 꾸려진다. 도서관 주차장은 사회마당, 권리마당이 마련돼 지역작가와 함께하는 우리 고향 그림 그리기, 현대자동차의 심리 치료 서비스, 풍선아트, 바람개비 만들기 체험이 이뤄진다. 또한 아동 실종예방 지문등록, 교통사고 예방 홍보, 화재예방 홍보, 재난 안전 대피교육을 받을 수 있다. 테니스 주차장은 푸드마당이다. 푸드트럭에서 10종에 달하는 음식들을 맛볼 수 있다. 어울림 잔디광장은 놀이마당이다. 생태 놀이터, 에어바운스, 방탈출 게임, 100명의 어린이가 참여하는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 골든벨이 열릴 예정이다. 복합지구 누에에는 누에마당이 운영돼 딸기청 만들기, 목공, 도예, 공예 등의 체험이 가능하다. 특히, 친환경 축제를 목표로 축제장 내 1회용품 사용을 없애고 다회용기를 사용한다. 폐건전지와 우유 팩을 새 건전지와 휴지로 교환해 주는 등의 친환경 이벤트도 참여할 수 있다. 재활용을 실천하는 리싸이클 양말 만들기, 에코백 만들기, 대나무빨대 체험, 공기정화 화초 만들기 등의 친환경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군민의 날, 모두를 포용하는 대화합 축제 ‘완주군민의 날’은 올해 59회째를 맞는다. 완주군민의 날이라고 해서 완주군민만을 위하는 행사는 아니다. 다채로운 공연, 체험, 전시 프로그램으로 가득하게 채워져 방문객 모두가 함께 즐기는 대화합의 장이다. 5월 11일 군청 일원에서 펼쳐질 완주군민의 날은 기념식과 문화예술 한마당, 맨발걷기 행사로 꾸려진다. 기념식은 완주군민대상 7개 분야 8명의 시상이 열리고, 맨발걷기는 완주군청사와 모아미래도센트럴시티1차를 잇는 산책로에서 열린다. 이곳은 입소문으로 지역주민, 완주군청과 인근 직장인들이 다수 찾는 맨발걷기 명소다. 주말에는 전주에서 찾는 이들이 있을 정도다. 테니스장 주차장에서 열릴 문화예술 한마당에서는 댄스 경연대회, 버스킹 공연, 체험 프로그램, 먹거리부스가 다채롭게 준비된다. 또한, 18일과 19일 양일에는 소양오성한옥마을에서 오픈가든축제가 열릴 예정이다. 힐링의 관광지도 완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24년 우수 웰니스 관광지에 완주군은 무려 2개소가 이름을 올렸다. 소양 아원고택, 구이안덕건강힐링체험마을로 전북지역에서 완주군만 유일하게 2개소가 선정됐다. 올해 신규 선정된 아원(我園)고택은 ‘우리들의 정원’이라는 뜻을 가진 한옥스테이 공간으로 소양면 오성한옥마을에 위치한 곳이다. 종남산의 그윽한 능선을 품고 있는 이곳은 250년 된 고택을 이축했다. 현대식 건물의 조화로움 속에 갤러리와 대나무 명상 숲길이 조성돼 있어 방문객들에게 휴식과 명상의 시간을 선사하고 있다. 2019년 BTS(방탄소년단)이 ‘2019 서머패키지’ 영상과 화보를 찍으면서 유명세를 타고 있다. 또한, 2021년 최초 선정 이후 3회 연속 재지정받은 구이 안덕건강힐링체험마을은 전국 유일의 농촌마을에서 전통방식 이색한방체험이 가능한 곳이다. 안덕마을은 한방진료·진맥, 쑥뜸체험, 전통구들방식으로 10여 가지 한약재를 섞어 만든 황토 한증막과 옛 금광동굴 냉탕 체험 등에 많은 도시민들의 휴식처로 각광받고 있다. 유희태 완주군수 “완주에서 최고의 5월을 보내세요” 유희태 완주군수는 가정의 달인 5월, 많은 이들이 완주에서 휴식과 재충전을 하는 기회를 갖길 바란다고 밝혔다. 유 군수는 어린이날 축제와 군민의 날 행사도 직접 진두지휘하며,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찾는 행사장마다 5월 행사를 소개하며, 완주군 최고의 홍보대사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유 군수는 “5월은 어린이날, 어버이날 부처님 오신 날, 스승의 날, 성년의 날, 부부의 날 등 많은 기념일이 있다”며 “그만큼 가족을 한 번 더 돌아보게 되는 중요한 날로 완주가 함께하길 소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 기획
  • 김원용
  • 2024.04.30 17:34

[팔도 건축기행] 인천우체국

 인천 중구 개항장 문화지구 일대는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지은 근대 건축물이 밀집해 있으면서 잘 보존돼 있기로 전국에서 손꼽히는 지역이다.  제물포구락부, 옛 인천부청사(현 중구청), 만국공원(자유공원), 옛 일본 제1은행 지점(인천개항박물관), 옛 일본 제18은행 지점(인천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 옛 일본 제58은행 지점(요식업중앙회 중구지부), 옛 일본우선주식회사 인천지점(인천아트플랫폼 사무실), 옛 대화조 사무소(카페 팟알), 인천세관 옛 창고와 부속동, 답동성당 등 근대 건축물만으로도 시가지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즐비하다.  지역 자체가 거대한 박물관인 인천 개항장에서 랜드마크를 꼽는다면 예나 지금이나 단연 '인천우체국'(인천시 유형문화제 제8호)이다. 인천우체국은 1922년 12월1일 착공해 이듬해 12월10일 준공했다. 1924년 2월9일 공식 개청 행사(낙성식)를 한 지 올해로 100주년이다.  이 건물은 인천중동우체국이 2019년 5월24일 오후 6시 업무를 종료하고 인하대병원 옆 정석빌딩 임시청사로 이전할 때까지 95년 동안 우체국으로 쓰였다. 문화재로 관리되는 우체국 건물은 인천우체국, 진해우체국(1912년), 곡성 삼기우체국(1948) 등 3곳이 남아있는데, 이 가운데 인천우체국이 가장 규모가 크다.  '팔도건축기행' 인천우체국 편은 인천문화재단이 지난해 말 펴낸 '인천우체국 기록화 조사보고서'를 주로 참고했다.   △우체국 역사 첫 페이지 쓴 인천  인천은 우리나라 우체국 역사의 첫 페이지부터 등장한다. 조선은 1876년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을 통해 처음으로 일본에게 부산항을 열었지만, 외국에 문호를 연 실질적 개항은 1882년 미국과 조미수호조규 체결 이듬해 '제물포(인천항) 개항'이다.  1883년 개항으로 인천은 근대 도시로 변모하고, 개항장에는 외국인 거주 지역인 '조계'가 형성됐다. 이 때부터 서구 문물과 함께 자본주의 경제 체제가 물밀듯 인천으로, 한성으로, 조선으로 들어온다. 근대 통신 수단인 '우편' 업무를 담당하는 우정총국은 고종의 명에 따라 1884년 11월17일 수도 한성에 설치됐고, 그 다음날 우정총국 인천분국이 가장 먼저 설치됐다. 올해는 우리나라 우편 역사가 시작된 우정총국 인천분국 140주년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 달이 채 되지 않은 12월4일 우정총국 개설 축하연 자리에서 김옥균(1851~1894) 등 급진개화파가 일으킨 '갑신정변'으로 우체국도 문을 닫는다. 대한제국은 1895년 6월1일 한성과 인천에 다시 우체사가 설치돼 우편 업무를 재개하고, 1900년 1월1일 '만국우편연합'에 가입해 국제 배송망을 갖췄으나, 일본우편국과 '불편한 동거'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1905년 5월부터 일본 통감부는 대한제국 통신기관 탈취를 목적으로 인천을 비롯한 전국 우체사를 일본 우편국으로 편입했다. 일제강점기를 맞으며 대한제국 우체 업무는 해체돼 조선총독부 산하 체신국으로 개편됐다.  인천우체국은 해방 이후 일부 건물이 미군 우편국으로 사용됐으며, 한국전쟁 이후 반환돼 역시 우체국으로 운영됐다. 우여곡절의 역사를 더하면 인천우체국 건물이 갖는 상징성은 배가된다.  △100년 전 랜드마크 인천우체국  1918년 인천항에 최초의 근대식 갑문을 갖춘 내항이 건설되면서 재편된 도시의 중심에 인천우체국이 건립됐다. 축항과 해안 매립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항동 일대에는 인천우체국을 비롯해 인천세관, 오사카상선 인천지점, 조선상업은행 인천지점, 인천곡물협회 등이 이전해 물류 중심지를 이뤘다.  인천우체국은 현 중구 신포로와 제물량로가 만나는 모서리에 입지했다. 인천우체국 동쪽에 있는 신포로는 내항 1부두에서 성공회 내동성당까지 이어지는 길이고, 우체국 북쪽으로는 조선 시대부터 인천과 서울을 잇던 경인가도의 끝에 맞닿아 있다. 건립 당시부터 도심의 주요 간선도로의 교차점에 있고, 항만이 배후에 있으니 100년 전부터 이 지역 랜드마크였다고 할 수 있다.  인천우체국의 입지는 건물 배치와 디자인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인천우체국은 조적조 건축임에도 석조 건축의 외관을 갖춘 서양식 역사주의 양식을 따랐다. 일제강점기 초기 조선총독부가 선호했던 건축 양식이다. 안창모 경기대 건축학과 교수는 '인천우체국 기록화 조사보고서'에서 "우편 업무와 우편 금융 업무를 담당하는 성격상 역사주의 건축 양식이 구축한 신뢰의 이미지를 이어가겠다는 건축가와 건축주의 디자인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서양의 역사주의 건축물에선 건물 모서리에 출입구를 설치하지 않는데, 인천우체국은 '디귿(ㄷ)자' 형태임에도 건물 동북측 모서리에 정문을 낸 점이 독특하다. 안창모 교수는 "우체국에서 대민 서비스가 이뤄지는 공간의 동선을 최대한 줄여 기능성을 높이기 위함"이라며 "매립지에 형성된 업무중심지구의 2개 주요 간선도로가 만나는 곳에 출입구를 설치하고, 모서리를 둥글고 높게 처리해 시선을 집중시킴으로써 우체국의 존재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건물 배치로 인해 제물량로에서 개항장 중심가를 향해 비스듬하게 진입할 때 인천우체국이 갖는 시각적 효과가 크다. △우정통신박물관으로 탈바꿈 중  현재의 인천우체국은 본래의 '디귿(ㄷ)자' 형태가 아닌 사각형이다. 우체국 중정부에 해당한 1층 후면부는 목조지붕이었는데, 한국전쟁 당시 파괴된 것으로 판단된다. 1954년 전쟁 피해 복구 차원의 대수선 공사에서 중정부를 2층으로 증축해 현재의 형태를 갖췄다. 신축 당시 설계도는 남아 있지 않고, 1924년 1월 발간된 조선체신협회 잡지에 공사 개요가 기록돼 있다. 설계는 체신청 체신기사 오카다 준조가 맡았으며, 연면적 598평(약 1천977㎡)에 1층 268평, 2층 176평 등으로 구성됐다.  둥글게 처리된 동북측 모서리에 돌출된 정문은 석조를 사용해 위용 있는 디자인을 추구했다. 정문 양측에는 원형 기둥을 세웠고, 상부는 부조로 수평적 패턴을 새겼다. 2층 동북측 모서리에는 원형 기둥 5개를 둘러 건물의 정면성과 장식성을 더했다. 신축 당시 벽체는 연와조(벽돌)로, 슬라브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정문은 석재로 만든 혼합 구조다. 지난해 9월 인천우체국 원형 파악을 위한 일부 해체를 통해 원래의 구조와 재료 일부가 확인됐다.  인천시는 지난해 6월 정부로부터 인천우체국 건물을 매입하고, 용역을 통해 '건물 보존·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는 최근 인천우체국의 역사성과 상징성 등을 고려해 '우정통신박물관'으로 활용하기로 잠정 결정했다.  인천시는 1923년 기준으로 원형을 보존한다는 원칙으로 본관 중정부, 별관과 수위실은 철거할 방침이다. 인천시는 내달 중 인천우체국 보존·활용 방안을 확정하고, 행정 절차와 리모델링 등을 거쳐 2027년 박물관을 개관할 계획이다.  우정통신박물관 조성 과정에서 인천우체국과 관련한 새로운 역사가 발굴될 것으로 기대된다. 1948년 5월 노동당원의 인천우체국 소이탄 투척 사건, 1979년 한국 첫 여성 집배원 입사 등은 여전히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다. 인천우체국과 관련된 전보·전신 역사도 더욱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심을 키울 필요가 있다. 경인일보=박경호기자

  • 기획
  • 기타
  • 2024.04.29 15:28

임상규 지방자치인재개발원장 "지역서 사랑받는 기관 만들 것"

임상규(57) 전 전북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가 자리를 옮겼다. 고향 완주에 있는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으로다. "어느 곳에 가든 비굴해서 무능해서 전북인의 자부심에 흠집을 내면 안 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일해왔습니다. 공무원으로서도 주어진 일만 하는 공무원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만들고 변화를 이끌어가는 주도적인 공무원이 되려고 노력했습니다." 임 원장을 설명하는 두 가지 키워드는 전북인 그리고 공무원이다. 그는 "전북인, 공무원은 앞으로 제가 가는 길에서도 하나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전북인, 공무원이란 자부심으로 일한다는 그에게 자치인재원은 꼭 들어맞는 옷과 같다. 취임한지 한 달, 임 원장을 만나 고향에서 일하게 된 개인적 소회와 향후 기관 운영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전북자치도에서 멀진 않지만 자치인재원으로 자리를 옮기셨습니다. 소회가 어떠신지요. "거리·물리적으로 보면 10㎞ 정도 떨어져 있어서 그런지, 일상의 큰 변화는 없는 듯합니다. 다만 자치인재원에 오니 바깥 풍경이 눈에 들어오더군요. 무언가를 생각할 심리·시간적 여유가 생겼달까요. 그래서 주위 분들도 한 번 생각해 보고 청년이나 인구, 지역소멸 등 주요 어젠다에 대한 고민도 하고 있습니다. 자치인재원에 좋은 강의, 자료들이 많기 때문에 이를 적극 활용할 생각입니다." -밖에서 바라본 자치인재원과 안에서 바라본 자치인재원, 차이가 있던가요. "본청에 있을 땐 외부 소속·직속기관들은 조금은 편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직접 와보니 자치인재원도 일련의 교육 과정이 매일 바쁘게 돌아갑니다. 이를 적은 인원이 관리하는 것은 쉽지가 않습니다. 또 하나 놀랐던 것은 자치인재원의 교육 역량입니다. 내년이면 자치인재원이 개원 60주년을 맞습니다.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 전문기관으로써 자부심을 가져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치인재원 60주년 관련 구상 있으실까요. "내년은 자치인재원 개원 6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로 지난 60년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앞으로 자치인재원이 나가야 할 목표와 발전 방향을 재정립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기념식과 학술대회,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용역 등 다양한 사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자치인재원 운영에 있어 어떤 부분에 역점을 두실 계획이신지. "자치인재원의 교육 과정과 콘텐츠를 더욱 알차게 만들어 기관을 거쳐가는 교육생들이 리더십과 직무 역량을 갖춘 핵심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일부 부족한 시설 보강, 노후 시설 정비를 통해 교육생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겠습니다. 또 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으로 자치인재원의 시설 등 자원을 지역사회와 공유하고, 지역과 상생할 수 있는 사업들을 추가로 발굴·추진해 지역주민이나 지역사회로부터 사랑받는 자치인재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고향이 완주시죠. 공무원으로서 모습은 자주 언론에 비친 듯한데, 어린 시절 이야기는 많이 접해보지 못한 듯합니다. "어린 시절은 굉장히 어려웠습니다. 저는 완주 삼기초를 나왔는데, 입학 2년 전부터 누나를 따라 학교를 다녔습니다. 부모님이 일을 나가시면 저를 돌봐줄 사람이 없었거든요. 그렇게 8세 때 입학해 1∼2학년 때까지는 공부도 좀 못 했습니다. 그런데 3학년 때 어머니의 한탄 섞인 눈물을 보고 어머니와 약속했습니다. 1등 상장을 드리겠다고요. 4학년 때부터는 그 약속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 또 어린 시절 얘기를 할 때 누나를 빠트릴 수가 없는데요. 제가 초등학교 6년 동안 개근한 것은 모두 누나 덕이었습니다. 제가 몸이 아프면 누나가 저를 엎고 학교에 데려갔거든요. 제가 도시락 수저를 빼놓고 가면 본인 수저를 주고, 양말을 안 신고 가면 본인 양말을 벗어줬습니다. 그래서 누나에 대한 감사함이 크죠. 여동생들도 고생을 많이 했고요." -말씀을 들어보니 누나와 여동생들의 희생, 양보에 대한 부채 의식이 있으신 듯합니다. "당연히 있죠. 사실 그 부분이 늘 마음에 걸립니다. 지금도 누나와 여동생들은 저에게 부탁을 안 합니다. 어느 날은 누나가 저에게 이런 얘기를 하더군요. 상규 너는 고시 합격한 것으로 부모님께 효도한 것이다. 그보다 더 큰 효도가 어디 있느냐, 너는 그걸로 됐다고요. 그 말이 참 고마웠습니다." -행시 합격 이후엔 행안부와 전북자치도 등에서 주로 근무하셨죠. "전북자치도에서 4년 근무하고 비교적 이른 시기에 행안부로 올라갔습니다. 그러다 18년 만에 전북자치도 기획실장으로 처음 내려왔죠. 사실 기획실장으로 처음 내려왔을 때는 심적 부담도 컸습니다. 그 사이 도정도 많이 변화하고 언론인, 도의원, 시민단체 등 사회적 네트워크도 없었거든요. 그 시기엔 업무적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인간적인 관계도 맺어야 했기 때문에 하루하루 고군분투했던 것 같습니다. 행정부지사로 다시 왔을 땐 이전 경험 덕에 심적 부담이 훨씬 덜했습니다. 다만 부지사로 있을 때 새만금 잼버리라는 위기 극복에 집중하다 보니, 제가 하고자 했던 일들을 마음 놓고 펼치지 못했다는 아쉬움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어떤 게 있을까요? "청년, 인구, 지역소멸 등 전북의 거대 담론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등 실질적인 정책 효과 창출 방안에 대해 다 함께 고민해 보고 싶었습니다. 많은 것을 한다는 것은 하지 않는다는 것과 같은 얘기일 수 있습니다. 이제는 수요자 시각에서 정책을 살펴보는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해 도민 체감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공직에 계신 지 30년이 되셨습니다. 입교생들이 대부분 공직 후배인데 자주 해주시는 말씀이 있을까요. "두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송하진 전 전북도지사님이 자주 쓰는 말인 공심(公心)과 조감 능력을 강조합니다. 또 하나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입니다. 제가 30년 동안 공무원으로 생활하면서 승진도 빠르고, 주요 보직을 맡는 소위 잘나가는(?) 공무원의 공통점은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라는 데 있습니다. 덧붙이자면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공무원이 되라는 겁니다." -끝으로 도민 여러분께도 한 말씀. "부족한 제가 전라북도 마지막 행정부지사 그리고 전북특별자치도 초대 행정부지사로서 소임을 다할 수 있게 응원해 주고 도와주셨던 도민 여러분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앞으로 자치인재원이 지역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최고 전문 교육기관으로써 사명을 다하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습니다." △임상규 원장은 임상규 원장은 1남 5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귀한 사내, 일명 '귀남(貴男)'이었다. 여자는 공부시키지 않는 시대, 누나와 여동생에 대한 미안함과 고마움을 늘 마음속에 품고 있다. 특히 누나에 대한 애틋함은 부모님을 대하듯 특별하다. 그는 완주 토박이다. 완주 삼기초, 고산중, 고산고를 졸업하고 한양대 행정학과에 진학했다. 대학교 3학년 때 행정고시 1차에 합격했지만 4학년 때 2차에 낙방하면서 다소 긴 수험 생활을 했다. 육군 방위병으로 입대하고, 제대한 다음 해 제38회 행정고시에 합격했다. 전북도에서 첫 공직 생활을 했다. 2000년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같은 해부터는 행정안전부로 올라갔다. 국무조정실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추진기획단, 행정안전부 정보화평가과장, 세월호피해보상지원단 보상총괄과장 등을 지낸 뒤 2014년 부이사관으로 승진했다. 이후 국민안전처 정책기획관,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기획조정실장 등을 거쳤다. 전북도를 떠난지 18년 만인 2018년 전북도 기획조정실장으로 발령받았다. 3년 근무 후 다시 행정안전부로 돌아가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 선임행정관, 행정안전부 자치분권정책관·안전관리정책관을 역임했다. 2023년 전북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로 임명됐다. 2024년 4월부터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장으로 자리를 옮겨 근무하고 있다.

  • 기획
  • 문민주
  • 2024.04.28 17:48

[팔도 핫플레이스] 제주 가치 여행

여행을 떠나는 것은 익숙함보단 새로움을 느끼기 위한 경우가 많다. 색다른 것을 소비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나만의 여행지가 된다. 최근 ‘제주는 비싸다’고 말하며 외면하는 이들이 있다. ‘대한민국 1등 관광지’ 제주 여행이 뻔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색다른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공간과 자연이 넘치는 곳이 바로 제주다. 스토리를 품고 여행객의 입맛과 눈맛을 사로잡는 숨은 스팟들을 소개해본다. ▲제주의 맛…스토리가 있는 착한 맛집=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보면 매일 제주 핫플레이스와 신상 맛집이 넘쳐흐른다. 새로운 장소가 홍수처럼 넘쳐나는 이때, 비하인드 이야기가 담긴 맛집 곳곳을 ‘도장깨기’ 하는 것은 또 다른 즐거움을 준다. 제주관광공사는 제주 착한가격업소와 아너 소사이어티가 운영하는 식당 등을 ‘스토리가 있는 착한 맛집’으로 선정했다. 먼저 고물가 시대에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물가 안정에 도움을 주는 식당들이 제주 전역에 퍼져 있는데 바로 제주 착한가격업소다. 착한가격업소(한식 업종)는 이달 기준 제주시 163곳, 서귀포시 59곳 등 모두 222곳에 이른다. 이들 식당은 단순히 가격만 착한 것은 아니다. 가격뿐 아니라 위생 청결 기준과 기타 서비스 기준까지 모두 다 충족해야 착한가격업소로 선정되는 만큼 제주도지사의 이름을 걸고 추천된 맛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기부로 맛과 제주를 가치있게 만드는 곳들이 있다. 바로 아너 소사이어티(Honor Society) 가입자들이 운영하는 맛집들이다. 아너 소사이어티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 열매)가 설립한 고액기부자 클럽으로, 성실함과 손맛으로 제주 사랑의 열매를 통해 사회에 나눔을 전파하는 식당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음식을 통해 나눔의 손맛과 사장님의 온정을 느껴볼 수 있다. 제주 아너소사어티 5호 회원 박종선씨가 운영하는 태선갈비, 부부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이 운영하는 돈사돈, 제주 아너소사이어트 48호 회원이 운영하는는 델문도 등이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서귀포시 안덕면에 위치한 ‘봉you’ 식당은 ‘돈쭐내고’ 싶은 식당 중 하나다. ‘돈쭐내다’는 돈과 혼쭐내다를 합친 말로,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행사한 기업에 착한 소비로 보답하겠다는 의미로 쓰이는 신조어다. 동네 맛집으로 이미 소문난 ‘봉you’는 지난 4월 3일 정기 휴일임에도 문을 열고 제주의 아픔인 4·3을 추모하며 대표 메뉴를 무료로 제공했다. ‘봉you’의 추모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2년 이태원 참사 애도 기간의 마지막 날에도, 봉유는 음식을 무료로 제공하며 손님들과 슬픔을 나눴다. ▲제주의 멋…눈맛을 사로잡는 새로운 제주 스팟 제주에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는 새로운 장소가 탄생했다. ‘제주의 밤은 볼 것 없다’란 말이 있는 것처럼 휘황 찬란한 야경이, 운치 있는 야경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친환경이라면 말이 달라진다. 쓰임을 다한 물건이 제주 자연에 색다른 볼거리를 만들어냈다. ①탐라해상풍력단지=제주도의 해안도로를 따라 이동하다 보면 심심치 않게 풍차가 보인다. 바람 많은 제주도에서 풍력에너지를 얻기 위해 돌아가는 풍차가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은 그야말로 이색적이다. 신창 풍차 해안도로, 김녕-월정 해안도로, 그리고 녹산로를 따라가다 보면 보이는 가시리 풍력발전소까지…. 이미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는 풍차 스팟들이 있다. 하지만 해가 지면 그 풍경을 즐길 수 없다는 건 아쉬운 점이다. 그런데 최근 해가 진 어두운 밤에 가도 풍차와 함께 야경을 즐길 수 있는 장소가 생겼다. 국내 최초로 한경면 두모리와 금등리 탐라해상풍력단지 해상풍력발전기 10기에 조명을 달아 제주 밤바다를 형형색색 파노라마식으로 밝혀낸 것. 일몰 후 밤 10시까지 바다를 수놓은 조명들은 풍력발전의 잉여전력과 전기차 사용 후 폐배터리를 활용한 조명인 만큼 친환경적인 요소를 갖춘 야간관광지라는 점에서 더 매력적이다. ②탐나라공화국=상상 속 이상을 현실에서 구현해내려는 작은 공화국이 제주에 생겼다. 이곳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예약하고 여권을 발부받아야 하니, 제주 안에 또 다른 작은 국가를 방문하는 기분이 든다. 공화국 안은 생태와 예술이 만나 어우러진 문화공간으로 소위 ‘여행자가 가꾸는 여행지’다. 전국에 버려진 헌책 30만권을 보관한 헌책도서관과 중문관광단지 내 최초의 풍력발전기를 업사이클해 만든 바람탑과 하늘등대 등 쓰레기로만 여겨졌던 물건들이 저마다 역할을 하며 공화국을 구성한다. 인문투어와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한 이곳은 현재 전국 50여 개 기관과 협력해 교육과 체험이 가능한 교육 관광지이자 도내 친환경 관광지로 떠오르고 있다. ▲제주의 흥… 제주 인증샷 명소 최근 일본 여행이 늘면서 후지산을 배경으로 한 사진 명소가 인기를 끌고 있다. 제주 역시 해외 부럽지 않은 한라산 인증샷 명소가 있다. 낮에는 한라산을, 밤에는 밤바다를 한번에 즐길 수 있는 인증샷 명소를 추천해본다. ①위미웨이=제주 한 가운데에 우뚝 솟은 한라산은 보는 방향에 따라 그 웅장한 자태가 달라진다. 한라산의 역동적인 모습을 어느 방향에서 바라봐도 아름답지만, 최근 위미에 생긴 위미웨이에서 바라보면 한라산의 모습은 최근 SNS에서 화제인 후지산을 배경으로 한 사진보다 더 아름답다. 제주 올레길 5코스를 걸으며 위미웨이를 건너면서 바라본 한라산은 마치 한라산이 산 아랫마을을 품고 있는 듯한 모양새이다. 낮에는 한라산을 바라보며 위미웨이를 즐길 수 있고, 밤이면 다리를 수놓은 조명 덕분에 아름다운 야경을 구경할 수 있다. 다리를 올라가는 데에 계단이 없어 무장애관광에도 적합한 제주의 새로운 관광 스팟이다. ② 새연교=‘제주의 폭포’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폭포는 단연 천지연 폭포다. 천지연을 구경하고 바닷가 쪽으로 걷다 보면 새섬과 연결된 새연교가 있다. 늘 제주에 오면 바다를 보기에 바빴던 마음을 내려놓고 새연교를 걸으면서 바라본 서귀포의 모습은 꽤 낯설 것이다. 밤이 되어 조명이 켜지면 새연교의 모습이 두바이의 버즈 알아랍과 비슷해 두바이가 익숙한 외국인 관광객에겐 새연교의 야경이 익숙한 듯 새로운 느낌을 줄 것이다. 서귀포시 원도심을 걷는 코스인 ‘하영올레’를 따라 걸어도 자연스럽게 새연교에 도착한다. 서귀포시민들이 조용히 휴식하던 장소에 관광객들을 초대한다. 제주일보=진주리 기자 사진 제공=제주관광공사

  • 기획
  • 기타
  • 2024.04.25 15:12

[참여&공감 2024 시민기자가 뛴다]찾아가는 문화현장, 예술이 우리 삶에 닿는 순간

△찾아가는 소리축제, 축제 현장과 다른 전하는 깊고 작은 감동 지난 4월 19일 군산예술의전당 로비, 할머니 한 분이 공연을 마친 프랑스 바이올리니스트 ‘티에리 위예’를 와락 껴안았다. “아이고~ 잘 봤어. 잘 봤어. 사진 좀 찍어줘요. 아유 어쩜 그리 잘해.” 파란눈의 연주자도 웃고, 로비를 가득 채운 관객들도 함께 웃음을 터트린다. 지켜보는 이들의 웃음에는 ‘그 감동, 나도 이해한다.’는 공감이 담겨있었다. 그 할머니 관객이 평소 공연을 자주 보는 분인지, 루마니아 음악을 아는 클래식 애호가인지 알 수 없지만, 그날의 감동을 누구보다 멋지게 표현한 관객이었다. 주름진 손으로 연주자의 손을 토닥이며, 마치 오랜만에 만나는 손주를 보듯 애정 가득한 미소로 바라보는 할머니, 예술은 그렇게 할머님의 삶에 닿아 감동의 순간을 선물했다. 이 순간은 전주세계소리축제(이하 “소리축제”)의 사업 중 하나인 ‘찾아가는 소리축제 군산편-루마니안 랩소디’ 현장에서 있던 일이다. ‘찾아가는 소리축제’는 2015년부터 진행한 사업으로 전주에서 개최되는 소리축제의 일부 현장을 전북특별자치도 13개 시군에도 전하고자 시작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팬데믹 상황시 4개시군으로 축소 운영한 것을 제외하고, 매년 13개 시군을 부지런히 찾아가 도민을 만났다. 순창의 한 교장 선생님은 “우리 학생들이 이렇게 춤추며 즐거워하는 것을 처음봤어요.”라며 눈물을 글썽였고, 선유도 공연에서는 멀리있는 섬에서 단 한 명의 학생을 위해 배를 타고 온 멋진 선생님을 만나기도 했다. 고창에서는 사춘기 중고등학생들이 모두 일어나 춤을 추기도 하고, 장수에서는 해외 연주자들과 산서중학교 관악부 학생들이 깜짝 합동연주를 하며 한무대에 서기도 했다. 남원 김병종 미술관 공연에서 감동받은 관객은 전주 본축제 현장을 찾아주기도 했고, 임실의 폐교 위기의 학교 선생님은 내년에도 학교를 찾아달라 몇 번이나 당부를 한다, 이런 감동의 순간이 축적되어 찾아가는 소리축제 사업을 지속 할 수 있는 힘이 되고 있다. 찾아가는 소리축제는 주어진 과제가 많다. 전북특별자치도민을 위한 문화예술 향유 저변확대,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다양한 예술교육, 본 축제 홍보와 모객 활동, 지역예술단체와의 협업 모색, 문화예술과 관광을 연계하는 콘텐츠 발굴 등 하나의 사업에 담긴 목적과 바람이 크고, 소리축제 본 축제와 다른 가치를 추구한다. 전주 외 전북 13개 시군을 모두 순회하니 운영도 만만치 않다. 함께 협업할 수 있는 각 시군의 공연장소를 섭외하고 모두 답사하는 것은 당연하다. 예상되는 관객의 성향과 장소에 맞는 콘텐츠를 선정하고, 공연을 위한 기술적인 여건을 준비하고, 사전 홍보와 모객, 현장 운영인력 배치 등 규모 차이만 있을 뿐 소리축제를 준비하는 여타의 과정이 대부분 실행되고 있다. △<신나는 예술여행>을 비롯한 문화예술 향유 지원사업 찾아가는 소리축제와 같은 문화예술 향유 사업의 비슷한 형태는 2004년에 시작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예술위”)의 ‘신나는 예술여행’이다. ‘신나는 예술여행’은 초기에는 복권기금을 활용한 소외계층 문화순회사업으로 시작됐는데, 현재는 문화시설로부터 먼 거리에 거주하거나, 비용 부담 또는 군복무와 같은 특수한 상황을 이유로 문화예술을 접하기 어려운 국민들에게 예술단체가 직접 찾아가 향유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가 단위 사업이니 예산도 높고 아동, 청소년, 장애인, 노년, 군인 등 수혜 관객층도 다양하며, 장르 또한 공연, 문학, 시각, 연극, 다원예술 등 폭넓게 진행된다. 20년을 진행한 사업인 만큼, 전국적으로 많은 예술단체가 ‘신나는 예술여행’을 통해 재정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여러 현장 여건 속에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관객층을 만나는 경험과 레퍼토리 개발의 기회를 얻었다고 고백한다. 약 14년 간 ‘신나는 예술여행’에 참여한 예술단체의 관계자는 본 사업에 참여하는 예술가들이 자신만의 독창성과 예술성에 대해 고민하고, 수혜 관객층에 대한 연구와 조사를 철저히 하길 당부하기도 한다. 문화예술을 많이 접할 수 없는 소외 지역을 찾아가기 때문에, 한번의 경험이 선입견을 심어 주거나, 문화예술 현장을 다시 찾지 않는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발적으로 찾아오는 준비된 관객을 만나는 공연보다 쉽지 않은 무대임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소중한 가치와 의미가 있으니 예술가들은 다시 짐을 싸고 공연장 밖 관객을 만나기 위해 나선다. △문화예술 향유 지원사업의 의미와 가치 서울사이버대 문화예술경영학과 이의신 교수는 ‘신나는 예술여행’의 가치를 세 가지로 말하고 있다. ‘문화예술의 향유를 통한 긍정적 삶의 변화’, ‘찾아가는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 공정성 실현’, 그리고 ‘예술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 고리’이다. 정리하자면 문화예술 향유 사업을 통해 국민이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보편적인(기본적인) 권리’를 누림으로 행복한 삶을 살아가고, 직접 ‘찾아가서 보여주는’ 방법을 통해 지리적·사회적·경제적 장벽을 낮추고 어느 국민이나 공평하게 예술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점, 그리고 더 나아가 예술가(단체)들에게 작품을 발전시키고 유통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어 지속적인 활동이 가능하게 돕는 것을 본 지원사업의 미덕이자 핵심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찾아가는 소리축제를 비롯해 지역에서 진행되는 문화예술향유 사업의 목적과 의미와도 연결된다. 전북특별자치도에는 서두에 소개한 ‘찾아가는 소리축제’ 외에도 문화예술 향유 지원사업이 운영되고 있다. 다양한 사업이 있겠지만 필자는 두 개의 공연 사업 - 전북문화관광재단(이하 ‘문화재단’)의 <청년문화예술 주문배달서비스>와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이하 ‘소리전당’)의 <찾아가는 예술극장>사례를 이야기하고자 한다. 자칫 문화재단, 소리전당, 소리축제에서 진행하는 사업이 ‘찾아가는’, ‘배달’이라는 유사 의미 단어를 사용하고 있어 사업 자체도 유사하다 오해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각 사업은 참여 예술가와 수혜 관객, 사업운영 중점 사항에 차이가 있다. 먼저 문화재단 사업은 청년예술가 지원과 문화소외계층 지원사업을 결합한 형태이고, 소리전당은 자격요건에 제한을 두지 않고 비영리기관 문화기반시설이나 복지시설, 의료기관 등 공연 장소 공모를 선행한 뒤 공연 단체를 선정하는 절차로 운영된다. 문화향유라는 공통의 과제 위에 한 기관은 청년예술가를 중심에 두고, 다른 기관은 협업기관(장소)에 중심에 두고 있어 운영방식과 콘텐츠에 차이가 있다. 소리축제의 경우에는 차별성 있는 작품과 장소에 중심을 둔다. 소리축제만이 소개할 수 있는 해외민속음악을 들려주거나, 선생님과 학부모가 아이보다 더 좋아하는 어린이극을 초청하거나, 모두 함께 판소리를 배워보는 강의형 공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찾아간 장소도 다양하다. 파도치는 채석강 바위에서 명창의 수궁가를 선보이거나, 때로는 야외 미술 갤러리에서 소풍하듯, 군립도서관과 협업하여 소규모 마을축제를 함께 만들기도 했다. △변화와 혁신으로 확장되는 문화예술 향유 경험의 축적 필자는 앞에서 거론한 문화재단, 소리전당, 소리축제 세 사업 모두 각각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더 보태자면, 우리 지역 기관이 문화예술 향유 사업을 각각 차별성 있게 운영하는 것이 반갑고 자랑스러운 마음이다. 문화예술 향유 사업은 마치 경작해야 할 자갈밭, 진흙밭, 마른밭 등 열악한 곳에 찾아가 문화예술이라는 씨앗을 심는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현대사회의 빠른 발전과 심한 경쟁과 인구와 재정 격차 등으로 인해 짐작하는 것보다 넓고 막막한 문화예술 사각지대를 마주하고 있다. 문화예술 향유를 지원하는 사업은 정답과 해결책 없이 넓어지고 있는 문화 격차를 붙들어 줄 힘이 될 수 있다. 물론 지금 씨앗을 심는다고 금방 결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은 알고 있다. 모든 씨앗이 열매를 맺는다는 보장도 없지만, 조금씩 반복적으로, 이 방법 혹은 저 방법, 정성과 경험이 더해지고 보태지면 그것을 거름 삼아 싹이 트고 꽃이 필 수 있다. 더욱이 수도권이 아닌 지역사회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강하게 반복적으로 시도해야 싹틔울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어떤 씨앗은 누군가의 마음 속에서 무럭무럭 자라 예술가를 탄생시키기도 하고, 열성 마니아 관객이나 기획자가 되게 하고, 삶의 어려운 순간을 마주했을 때 치유 받는 방법을 터득하게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청년예술가들이 제조업 공장의 노동자를 찾는 일도 문화예술의 씨앗을 뿌리는 것이고, 작은 노인복지회관으로 찾아가 흥겨운 노래를 선물하는 중견 가수도 좋은 예술가이며, 해외 공연시장에서 인정받은 유명 작품을 섬마을 작은 학교에서 선보이는 것도 무모한 일이 아닌 것이다. 모두 씨앗을 심고, 물을 주고, 꽃을 기다리는 과정이다. 문화예술 향유가 축적되어 우리 삶에 감동으로 닿았을 때, 그 순간이 변화와 혁신으로 확장되는 시작점이 될 것이다. 한지영 (사)전주세계소리축제 콘텐츠운영부장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기획
  • 기고
  • 2024.04.24 13:26

‘희망의 장수’로 새 단장⋯유휴 시설 깊은 고민으로 입체감 입혀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이 ‘희망의 장수’로 거듭나기 위해 그동안 이용이 저조한 여러 시설을 새롭게 단장하고 방문객의 발길을 유혹한다. 수려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장수군의 관문인 장수IC 톨게이트를 빠져나오면 유독 눈에 띄는 ‘빨간’ 건물 하나가 자리하고 있다. 강렬한 외관 덕분에 눈길을 사로잡는 이 건물은 오는 20일 개장을 앞둔 ‘장수 만남의 광장’이다. 장수군은 ‘만남의 광장’을 비롯해 △웹소설 작가 거점시설 △번암 물빛공원 파크골프장 △승마로드 메타세쿼이아 명품 길 등을 조성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이용 대상을 설정하고 맞춤형 전략을 통해 방문객을 기다리는 대신 발길이 끌리도록 숨겨진 유휴 공간을 저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도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사람과 사람 잇는 ‘장수 만남의 광장’ ‘장수 만남의 광장’은 만남을 주제로 지역주민은 물론 도시의 방문객들에게 사람과 사람을 잇는 소통과 힐링의 공간을 선보인다. 레드푸드 융복합센터와 휴게형 유리온실, 힐링센터 등으로 다양한 먹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청정 장수만의 독특한 매력으로 일상의 스트레스를 잊고 가족, 친구들과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조성한다. 특히 레드푸드 융복합센터는 장수의 우수 농특산물을 활용한 대표 메뉴 개발로 △베이커리 40여 종 △장수 사과커리 △장수 샐러드 △핀사(피자) 등 고객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동시에 식도락을 선도하는 창조적 공간으로 꾸며진다. 군은 오는 20일 ‘제2회 장안산 봄나물 축제’ 개막식에 맞춰 ‘장수 만남의 광장’을 개장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한다. 또한 만남의 광장 앞에 설치된 조형물은 장수가야의 정체성을 담은 ‘불과 철의 운율로 미래를 노래하다’를 테마로 용광로에서 흐르는 쇳물과 타오르는 불꽃을 상징화해 밤낮으로 꺼지지 않는 장수의 열정을 시각화했다. ㈜작가컴퍼니 웹소설 작가 계남면 정착 장수군은 ICT(정보통신기술)로 무장한 청년들의 발걸음을 이끌기 위해 귀농·귀촌인을 위한 거주 공간에도 입체성을 부여한다. 최근 계남면 귀농·귀촌 임시거주시설에 ㈜작가컴퍼니 소속 청년 작가 6명이 입주해 ‘웹소설 콘텐츠 거점 사업’의 첫 단추를 끼웠다. 4개 숙소와 게스트하우스 2실을 갖춘 공간은 이제 막 시골살이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저렴한 임대료로 장수의 삶을 경험할 수 있도록 조성했다. 웹소설 작가들은 장기간 체류하며 장수군이 가진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서 창작활동을 펼치게 된다. 군은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작가컴퍼니와 ‘웹소설 콘텐츠 거점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조체계를 구축했다. 또 지난 11일 최훈식 군수는 ㈜작가컴퍼니 작가들과 만나 독특한 매력의 장수를 청년들이 찾아올 수 있는 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이에 웹소설 콘텐츠 거점화를 통해 웹소설 인재 양성, 웹소설 콘텐츠 활용 프로그램 운영 등 민·관 공동 대응 실천으로 활성화와 안착이 기대된다. 전국 최장 메타세쿼이아 명품 길 장수군 장수읍 승마체험장과 천천면 장수승마장을 잇는 약 10㎞의 승마로드가 야외 승마 주로의 목적을 상실하고 방치돼 있다. 이에 군은 올해 안으로 메타세쿼이아 2000여 주를 식재, 사람과 반려동물이 함께 걷는 전국에서 가장 긴 메타세쿼이아 명품 길로 탈바꿈된다. 군은 조림의 특성상 성장에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눈앞의 성과보다 장수의 10년, 20년 뒤를 기대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활용성과 대중성을 고민해 조성계획을 수립했다. 산속에 자동차 없는 거리를 반려동물과 자유롭게 걷거나 달릴 수 있게 해 관광객의 발길을 유도하고 또, 군이 미래 전략으로 설계 중인 국제 산악관광지구 조성과 장수 트레일레이스와도 접목해 상승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특히 오는 6월 22일 제1회 장수 반려견 트레일레이스가 이곳에서 펼쳐져 참가자들이 반려동물과 함께 아름다운 풍광에서 달리며 눈부신 추억을 남길 예정이다. 번암 물빛공원, 파크골프장 품는다 최근 번암면 소재지에 파크골프 동호회원을 모집한다는 현수막이 걸려 눈길을 끌고 있다. 이용률이 저조해 애물단지로 전락한 물빛공원에 파크골프장이 조성된다는 소식에 건강관리와 레저활동에 관심이 많은 지역주민이 크게 호응하고 나선 것이다. 벚꽃 명소인 동화호와 죽림정사를 옆에 두고 호젓하게 걷기 좋은 ‘번암 물빛공원’은 그동안 벚꽃 시즌을 제외하면 즐길 거리가 미비해 아쉽다는 의견이 분분했다. 이에 공원의 활성화 방안과 지역민의 꾸준한 파크골프장 조성 요구에 행정이 오래 고민한 결과 공원부지를 활용한 파크골프장 조성을 결정했다. 따라서 군은 올해 말까지 공원 내 유휴 공간과 한국농어촌공사 부지를 활용해 파크골프장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유휴 공간이던 물빛공원 일대에 총 18홀의 파크골프장 조성을 통해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어 지역민과 방문객의 유입이 눈에 띄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훈식 장수군수 "100만 관광객 찾는 희망의 명소로 만들 터" 최훈식 군수는 민선 8기 출마 공약인 매관매직 타파에 이어 인사 근무 성적평정을 공개해 본인 위치를 확인하고 스스로 분발하도록 일하는 공무원 조직으로 일깨웠다. 또 각종 농업 보조금 지급 시 정량평가로 순위를 공개해 주민 불만을 일소하는 등 투명한 정책을 펼치며 군민의 두터운 신망을 쌓아가고 있다. 이번 장수군 관광객 100만 유치를 위해 관광 명소 개발을 공표한 최 군수의 소감을 들어 봤다. 최훈식 군수는 “취임 후 보여주기식 행정보다는 장수가 20년 뒤 더욱 빛을 발할 수 있는 정책으로 심사숙고 끝에 목적을 상실한 유휴 시설을 리모델링해 군민은 물론 100만 관광객이 찾는 희망의 명소로 되돌려 놓겠다”고 밝혔다. 특히 “4월 20일 개장을 앞둔 ‘장수 만남의 광장’을 빈틈없이 준비해 소통, 힐링의 공간으로 각광받는 장수군의 새로운 명소로 만들어가겠다”며 “장기적인 공간 계획을 통해 당장 눈앞의 성과보다 장수의 먼 미래까지 그려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저와 공직자들도 깊은 고민을 통해 그동안 다소 밋밋했던 공간들에 입체감을 부여하고, 성공적인 재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전반적인 새 단장을 통해 장수만의 독특한 매력을 알리고 방문객들의 발걸음이 향하는 ‘희망의 장수’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기획
  • 이재진
  • 2024.04.18 15:27
기획섹션